성북소리 피드 http://softbook.co.kr/book/magazine/seongbuk/feed/rss2 <![CDATA[시론 OPINION (사) 한국지반공학회 동남권지부의 설립에 대한 인사말]]> (사)한국지반공학회는 6개의 기술발전특별위원회를 지역별로 두고 있습니다. 각 지역별 회원수 분포 를 2015년 자료로 인용해보면 강원지역은 172명으로 전회원수 대비 2.4%, 광주·호남지역은 215명으로 3.0%, 인천지역은 251명으로 3.5%, 대전 충청지역은 411명으로 5.8%, 대구·경북지역은 144명으로 2.0%, 부산·울산·경남지역은 1377명으로 19.4%, 제주지역 19명의 0.3%, 그리고 서울·경기지역 4,522명으로 63.6%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한국지반공학회의 역사 33년을 통해 회원의 증가율은 완만하게 증가추세를 보여 왔으며 이와 더불어 학술연구용역 수주율도 동반 성장되어 와 2개의 연구회와 16개의 기술위원회가 운용되는 국내 최대의 전문학회로 성장되어 왔음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현재 학회내 기술위원회의 운용이 있음에도 토목섬유학회와 터널공학회의 분화는 이루어 졌으며 이는 새로운 지반환경공학회의 분화를 유도하는 현실적인 환경변화로서 이러한 발전적 분화는 새로운 융합을 창조하므로 앞으로도 계속될 것임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로 받아들여집니다. 이러한 발전적 조직의 분화와 융합이 지반공학의 미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 인가에 대해 김 상규 고문님(동국대학교 명예교수님)께서는 학회창설 30년 역사의 회고록에서 외국사례를 통해 설파하신 바 있습니다. 동남권(부산.울산.경남지역) 지부도 지반공학회 조직에서의 분화로 볼 것인가? 위에서 언급된 각 지역별로 지반공학회 회원 수 분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서울·경기·인천지역만 해도 67.1%나 되는 많은 회원들이 학회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그 외 지역은 자발적인 학회활동이 불가능할 정도의 미소한 회원분포를 이루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전국 각 지역 곳곳에 지반공학회의 필요성이 대두될 수 있고 실현화 될 수 있도록 지역기술발전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음은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10%를 초과하는 회원 수를 가진 부산·울산·경남지역은 서울 중심의 학회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대다수의 기술자들이 겪는 소외감과 무능력감은 차라리 학회에 대한 무관심으로 표출되어 왔으며, 이런 현상은 우수한 고급 지반기술자들이 세계화로 약진하는 도약의 발판으로 지반공학회를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과 너무 동떨어진 암담한 지역 문제로 인지되어 왔던 게 사실입니다. 따라서 지역의 조직체(지부)를 중심으로 다수의 지반기술자들의 전문지식과 경험이 회원 간 서로에게 공유, 함양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전문기술자(지반, 지질, 발파, 지반환경 등)들의 협업을 통해 지역에서 발생되는 지반공학적 문제들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조직을 염원해 온 것은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자생적 진화과정의 일환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자생적 발전을 염원하는 동남권지부의 설립 목적은 본회의 설립목적을 벗어 날 수 없고, 동남권지부의 자치적인 운영 또한 본회의 운영 속에서 가능한 종속적 산하 조직체로서 운영될 것입니다. 동남권 지역 회원들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회원관리와 학회 참여 유도를 도모하여 명실공히 동남권지부란 이름으로 (사)한국지반공학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유기체 역할을 담당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지역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을 앞세워 동남권지부의 설립을 추진하여 왔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동남권지부의 설립은 본회로부터의 분화가 아닌 지역에 대한 집중으로 본회에 의해 관리되어 져야 할 조직체라고 생각합니다. 끝으로 “어떤 방법으로든 융합과 집중 없이는 미래가 준비되지 않으며 우리 지반공학의 미래도 개혁과 창의성을 가지고 무장해야 앞날을 기대할 수 있다”는 김 상규 고문님의 학회창설 30년 역사의 회고록 말미에서 하신 말씀을 인용하면서 동남권지부의 설립에 대한 인사말에 갈음하고 자 합니다. ]]> Thu, 22 Mar 2018 14:03:01 +0000 0 <![CDATA[19th ICSMGE 9월 17일 제 19차 세계지반공학대회 놓치지 마세요!]]> 19차 세계지반공학대회가 9월 17일부터 9월 22일까지 6일간 열립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 대회 전 9월 16일과 9월 17일 양일간 iYGEC가 열리며 9월 18일과 9월 19일에는 Terzaghi 기조 연설을 비롯하여 5편의 특별강연(Special Lecture)과 11개의 명예강연(Honours Lecture)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본 강연들은 저명한 지반공학자들이 집대성한 연구 결과와 그들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입니다. 9월 20일과 9월 21일에는 전세계 80여 회원국에서 제출한 750여편의 논문발표와 여러 기술위원회 워크숍 (Technical Committee Workshop)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각 국가를 대표하는 지반공학자들이 최신의 지반공학기술과 연구결과를 선보일 것입니다. 이번 세계지반공학대회는 한국 지반공학자들의 역량을 전 세계에 알리고, 세계적인 전문가들과 교류를 통해 한국지반공학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한편, 연구자들에게는 최신 지반공학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공학적 식견을 넓힐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더불어 전 세계 80여 회원국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지반공학자들 과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참가자들은 미래의 지반공학기술을 논의하고 더 많은 자극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2017년 5월31일 기준, 국외에서 511명, 국내에서 181명의 지반공학자들이 등록을 하였습니다. 대회가 다가옴에 따라 등록자 수는 더 늘어나서 1000명 이상 참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올해 세계지반공학대회는 국내에서 개최되기 때문에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저희 조직위원회에서는 600여명의 국내 참가자 등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조직위원회의 김동수 위원장과 수많은 위원들이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마지막 준비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Thu, 22 Mar 2018 14:12:57 +0000 0 <![CDATA[공감,한장의 사진 내가 자란 성북 어린이청소년 명예기자 취재수첩 ]]> 공감 : 한장의 사진이달의 사진 <황홀한 아침>황홀한 아침을 맞이한 두물머리!두고두고 잊지 못할 황금빛 여명을 가슴에 담는다.작가 이금선   내가 자란 성북김남중(종암동) 내가 성북으로 이사온 지 59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시골에서 정덕초등학교로 전학을 왔는데 아이들이 시골뜨기라고 놀리고 더러는 폭력을 행사하여 학교에 가기가너무 싫었다. 하지만 ‘배워야 산다’는 부모님 뜻을 받들어 아이들이 놀려대도 열심히 학교에 다녔다.나 어릴 때 아리랑고개 주위에서 병정놀이와 메뚜기를 잡으며 놀았던 곳, 성북!여름에는 정릉 청수장에서 수영도 하고 풍뎅이, 사슴벌레잡으며 유년기를 보낸 곳.그리고 지금은 정릉2동주민센터 앞에 흐르는 시냇물로 목욕을 하며 물고기를 잡던 추억이 그리워진다. 또한, 길음교 밑에서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을 설치해 어린이들에게 겨울 맛을 즐겁게 하고 가을에는 가설극장을 설치하여 주민들에게 영화 상영도 하였다.옛날 성북구에 비해 지금의 성북구는 많이 발전했으나 잃은 것 또한 있다. 성북구는 문화재가 많아 잘 관리하고 보전하여 후손에게 물려줘야 한다. 옛날에는 정릉4동주민센터 앞 소나무에 큰 그네가 있어 단오날에는 그네 대회가 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없어져 아쉬움이 남는다. 이런 민속놀이는 구청에서 신경을 써서 보전하면 좋겠다.나는 택시 운전을 하며 가끔 이 길을 지나곤 하는데 어릴때 그 높은 그네를 쳐다보며 즐거워한 그때를 생각하니 그리움이 쌓인다. 또한 배밭골에도 개구리, 메뚜기, 여치가 많아 여름방학숙제는 이 곳에서 해결했었다. 성냥알로 상자를 오려 여치집을 만들어 개학날을 기다리며 과연 선생님께서 칭찬을 하실까 궁금했던 생각….성북에서 자라 군대를 다녀와 45년 택시운전을 하고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30년을 하고 나니 내 나이 70세가 넘었다. 세월이 정말 빠르게 흐른다. 앞으로도 남은 여생을 성북과 함께 하겠다. 성북소리는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주제 제한없음 분량 A4 1장 내외 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 이메일 kim1202@sb.go.kr 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 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청소년 문화 융합 프로그램, 뮤지컬 ‘우리 마을’과 함께하다성북구 청소년 명예기자 이민지(개운중학교)                                                                       얼마 전, 성북구 청소년들이 열심히 연습해 온 뮤지컬 ‘우리 마을’이 큰 박수 소리와 함께 막을 내렸다.뮤지컬 ‘우리 마을’은 동덕여자대학교와 동아일보사, 서울시 성북교육지원청 그리고 성북구가 공동주최한 청소년 문화 융합 프로그램이다. 나를 포함해 이 공연에 참여한 31명의 성북구 청소년들은 지난 10월 23일 금요일 공개 오디션을통해 선발되었고,2개월간 공연을 위해 열심히 연습했다. 연습 도중 기말 고사나 수능등 연습에 어려움을 갖게 하는 장애물도 있었으나 누구보다도 열심히 연습하고 노력한 우리들의열정으로 12월 22일과 23일, 이틀에 걸친 총 3회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이번 공연을 통해 같은 팀과 함께하고 배려하는협동심과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고, 평소 체험할기회가 흔치 않던 뮤지컬에도 참여해볼 수 있었으며 내 꿈에 한 발짝 더 다가간 느낌이 들어 뿌듯하고 행복했다. 앞으로도 이렇게 좋은 기회가 있다면 참여해 평생 동안 기억될, 인생의 소중했던순간 중 하나가 될 행복한 추억도 쌓았으면 좋겠다고 느꼈다.               input image                 사랑받는 정릉3동 구립 청수도서관, 이유가 있었네!성북구 어린이 명예기자 박정욱(서울청덕초등학교)                                                                       얼마 전, 성북구 청소년들이 열심히 연습해 온 뮤지컬 ‘우리 마을’이 큰 박수 소리와 함께 막을 내렸다.뮤지컬 ‘우리 마을’은 동덕여자대학교와 동아일보사, 서울시 성북교육지원청 그리고 성북구가 공동주최한 청소년 문화 융합 프로그램이다. 나를 포함해 이 공연에 참여한 31명의 성북구 청소년들은 지난 10월 23일 금요일 공개 오디션을통해 선발되었고,2개월간 공연을 위해 열심히 연습했다. 연습 도중 기말 고사나 수능등 연습에 어려움을 갖게 하는 장애물도 있었으나 누구보다도 열심히 연습하고 노력한 우리들의열정으로 12월 22일과 23일, 이틀에 걸친 총 3회의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이번 공연을 통해 같은 팀과 함께하고 배려하는협동심과 자신감을 기를 수 있었고, 평소 체험할기회가 흔치 않던 뮤지컬에도 참여해볼 수 있었으며 내 꿈에 한 발짝 더 다가간 느낌이 들어 뿌듯하고 행복했다. 앞으로도 이렇게 좋은 기회가 있다면 참여해 평생 동안 기억될, 인생의 소중했던순간 중 하나가 될 행복한 추억도 쌓았으면 좋겠다고 느꼈다.               input image ]]> Thu, 24 Mar 2016 10:50:57 +0000 1 <![CDATA[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시대 찾아가는 복지, 따듯한 이야기를 품다 ]]> 우리 아들 좀 살려주세요최정애(월곡2동 방문간호사) 동 방문간호사로 첫 발걸음을 내디딘지 7개월째. 사무실 환경이나 여건이 보건소와는 사뭇 다른 모습, 외부에서 볼 때에는 등·초본을 발급하는 일이 전부인줄 알았는데 민원인이 생활의 어려움을 상담하면 대상자들의 눈과 귀가 되어 발로 뛰고 있었고 주민의 어려움을 안팎으로 어루만져주는 중요한 요충지가 바로 주민센터인 것을 알았다.여느 날과 다름없이 오후 방문을 다녀온 후 전산입력을 하고 있을 때 70대 중·후반으로 보이는 어르신이 “우리 아들…당…주스…” 안절부절하며 알 수 없는 말로 복지민원을 보는 직원에게 뭔가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다.할머니가 바라보고 있는 곳을 보니 청년이 앉아 있어 대화를 하려고 하니 막무가내로 거부하여 잠시 살펴보니 눈동자에는 힘이 빠지고 의식은 몽롱해지고 있었다.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어 혈당을 측정하니 30mg/dl이었다.예상대로 저혈당 쇼크가 온 것이다. 저혈당 쇼크란 일반적으로 혈당치가 70mg/dl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의식을 잃거나 혼수상태에 빠지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방치하면 뇌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거나 사망에 이르기까지 하는 위험한 상태이다.대상자를 흔들어 깨워 오렌지 주스를 마시게 하고 혈당을 재측정하였으나 37mg/dl로 혈당은 올라가지 않고 의식이 없어지는 급박한 상황이 되어 옆에 있는 직원에게 119 신고를 부탁하였고, 전화상으로 119 상담원에게 환자 상태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그 후 계속적으로 환자의 혈압, 맥박, 호흡 상태를 확인하고 기도 확보를 위해 편안한 자세로 누워 있을 수 있게 하였다.그 사이 119 구급차가 도착하였고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설명한 덕에 응급구조사와 협력하여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119 구급대에서 제공한 포도당 수액을 정맥 주사한 10여 분 후 대상자는 의식을 되찾았고 127mg/dl로 정상 수치를 회복하였다. 숨죽이고 이 광경을 지켜보던 직원들과 민원인들은 모두 안도의 숨을 내쉬었고 따뜻한 눈빛으로 나에게 수고했다 토닥토닥 해 주는 것 같았다.이 분은 치매를 앓고 있는 노모와 주민센터에 서류발급을 위해 내방하였으며 원래 희귀성 당뇨를 앓고 있었다고 한다. 병원에 가지는 않아도 된다고 하여 119 구급대는 돌아가고 주민센터에서 좀 더 휴식을 취한 후 조금은 부끄러운 듯 몇 번이고 고맙다는 말을 하였고 민원 서류를 발급 받은 후 무사히 어머니와 나란히 주민센터 문을 나섰다. 치매를 앓고 있는 어머니는 감사의 뜻을 잘 전하지 못한 것이 아쉬운 듯 계속 뒤를 돌아다 보셨다.아쉽게도 거주하는 곳이 우리 동이 아니라 계속 돌봐 드릴 수는 없겠지만 마음으로 두 분의 건강을 빌었다.이 모든 일은 고작 1시간밖에 걸리지 않았고 나는 내 자리에서 내 역할을 충실히 한 것 뿐인데 “간호사 선생님 있어서 정말 다행이에요”, “우리는 당황해서 아무것도 못했을 거예요”, “간호사쌤 최고!!!” 등 동료 직원들과 민원인들의 칭찬과 격려가 나에게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방문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 번 각오를 다지게 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찾아가서 어르신들을 만나뵙고 건강생활을 지원하고 주민들과 가까운 곳에서 응급상황의 위급환자를 돌보고 주민 누구나에게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방문간호사들이 있기에 우리 성북구 주민들은 참으로 든든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흐믓한 미소를 지어 본다.        성북구의 사회적경제기업을 소개합니다!  우리 문화, 예술을 널리 알리는‘(주)참이앤씨’ ㈜참이앤씨는 한국 전통문화의 진흥과 우리 문화, 예술에 대한 자긍심을 함양하고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각종 축제·체험 등의 문화, 교육 기획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input image- 연등회 글로벌 서포터즈 양성 사업- 썸머 K-POP페스티벌 한류 서포터즈- 전통사찰 위크 외국인 사업- 전통시장 활성화 외국인 홍보사업- 문의 : 참이앤씨 ☎ 02-723-9618※ 홈페이지 : www.cham.me 자연에 관심을, 숲과 생명체를 지키는 ‘(주)숲과사람들’ ㈜숲과사람들은 자연의 섭리와 더불어 함께하는 방법을 깨우치며, 아이들에게는 오감체험·감성체험을 통해 사회성과 창의성을 키워주고, 성인들에게는 스트레스 해소와 심신안정에 도움을 주는 숲 힐링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input image- 숲 체험 프로그램 : 유아, 다문화가정, 지적장애인 대상맞춤형 숲 체험 프로그램 진행- 숨 쉼터(숲 힐링) 프로그램 : 성인을 대상으로 한 숲 해설 및힐링 프로그램 진행- 교사연수 프로그램 : 숲 체험 관련 교사연수 프로그램 진행문의 : 숲과사람들 ☎ 02-826-1771~2※ 홈페이지 : www.unifam.co.kr]]> Thu, 24 Mar 2016 23:30:27 +0000 1 <![CDATA[<돈암2동> 기부의 즐거움,돈암2동에서 꽃을 피우다 外 ]]> 정릉1동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282청소년에게 꿈과 희망을! 정릉1동 통장협의회는 지난 1월 25일 정릉1동주민센터회의실에서 정릉1동장, 주민자치위원장, 통장협의회장,통장 등의 내빈과 장학금 수혜자, 학부모를 비롯해 관내 모범청소년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학금 전달식을 가졌다.정릉1동의 통장들이 혼연일체가 되어 조금씩 쪼개어 모아온 성금으로 2012년부터 매년 관내 청소년 10명에게 30만원씩 장학금을 만들어 지원하여 올해로 총 54명의 학생에게 1,040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하였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꿈을 잃지 않고 열심히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사기를 진작하는 이웃의 따뜻한 마음을 키워나가고 있다.장학금을 전달하며 박상금 통장협의회장은 “비록 많은 금액의 장학금은 아니지만 학생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열심히 공부하기를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다. 정릉2동  정릉2동주민센터 ☎ 02-2241-53521지역사회 희망을 전달하는‘저소득가정 설날 떡국 떡 전달식’ 지난 1월 26일 정릉2동주민센터에서는 정릉2동 적십자봉사회 ‘저소득 가정 설날 떡국 떡 전달식’이 진행되었다.이날 정릉2동 적십자봉사회에서는 저소득가정 42가구와정릉2동에 있는 장애인 그룹 홈 등 3개 시설에 떡국 떡과쇠고기를 전달하며, 어려운 시기와 상황 속에서도 힘을 잃지 말라는 따뜻한 격려의 말도 함께 전했다.그동안 정릉2동 적십자회는 정릉2동주민센터와 함께 어르신 추석맞이 행사, 점심 나눔 행사 등 지역사회 홀몸 어르신들을 위한 정서지원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그 외 저소득 가정 후원물품 지원 사업, 지역사회 복지관과 연계한 자원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해왔다.지난해에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위기 가정에 긴급지원으로 생계비와 의료비를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힘써왔다.이날 행사 이후 이석훈 회장은 앞으로도 정릉2동 적십자봉사회가 지역사회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많은 일들에 동참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했다.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80정릉골 공부방의 하모니 고즈넉한 언덕 위에 자리한정릉골 공부방은 성모의 집수녀님들과 여러 단체 그리고 독지가들에 의해 운영되는 공부방이다. 지난 1월 13일, 공부방에 어르신 30여 명이 모이셔서 성모의 집 수녀님들이 준비해 오신 맛있는식사를 하며, 덕담과 함께 이야기꽃을 피우셨다.어르신 입맛에 맞춰 간이 적당히 밴 육개장과 닭볶음탕,전, 김치 그리고 수녀님들이 직접 수확한 돼지감자김치등을 잡수시며 올 한 해도 건강하고 무탈하게 마무리하자는 다짐들을 하셨다.어르신들의 식사가 끝날 무렵에는 수녀님의 “일송정 푸른솔~~” 멋진 노래를 시작으로 어린이들의 연주가 시작되었고 송 할아버지와 류 통장님의 노래가 우리 가슴을따뜻하게 해 주었다.집으로 돌아가시는 어르신 손에 수녀님들이 정성껏 마련한 떡과 돼지감자김치를 쥐어주시며 눈 한번 더 마주치고,손 한번 따뜻하게 잡아 주는 그 마음에서 우리 정릉은 효와 덕이 함께 머무는 아름다운 동네임을 새삼 확인하였다.과거는 멈춰 있고 미래는 더디 오고 오늘은 빠르게 지나가지만 우리 정릉골의 세대 간 유대감은 다가오는 미래에도영원할 것 같기에 눈바람이 흩날리는 추위에도 불구하고정릉골 어르신들의 건강은 이상무일 것이다.명예기자 김수희input image 월곡1동  월곡1동주민센터 ☎ 02-2241-55803고사리 손으로 모은 ‘사랑의 꿀돼지 저금통' 고사리 손으로 모은 수백 마리의 돼지가 사랑으로 가득한 배를 열었다.어려운 이웃을 위해 숭곡초등학교 전교생의 ‘사랑의 꿀돼지저금통’을 통해 250여 만원을 기부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관내 어린이집 원아들의 기부 릴레이가 이어졌다.숲속반디어린이집 56명과 목자어린이집 36명, 영광어린이집 99명, 월곡어린이집 43명 등이 그동안 부모님께 받은 용돈을 아껴 모은 저금통을 전달하였으며, 이날 모아진 후원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달되어 어려운 이웃을 위해 소중하게 사용할 예정이다.이번 전달식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이끌어갈 꿈나무 아동이 이웃에 대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계기가 되어 지역사회에 좋은 모범이 되었다.또한 매년 원도어패럴에서는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위해 사용해 달라며 백미 10kg 200포와 라면 100박스를기부해 왔으며, 숲속반디어린이집 학부모회에서도 라면5박스와 쌀 20kg을 기부하여 나눔 정신을 실천하였다.명예기자 차온순input image 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63221함께 아름다운 동행, 장위1동 청소년 자원봉사  겨울방학 동안 장위1동 청소년들이 아름다운 봉사활동을벌인다는 소식이 들렸다. 이번 자원봉사는 새롭게 단장한새마을문고 책을 정리하고 관내 공원 및 골목길 청소 등환경을 정비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추운 겨울 날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봉사활동에 임하는모습에서 주민들은 훈훈한 감동을 받았으며, 청소년들 역시 자원봉사를 통해 주변을 돌아보며 가치있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을 것이라고 기대해본다.명예기자 문영임 장위2동 장위2동주민센터 ☎ 02-2241-5680‘정은 더하고 행복은 나누고’사랑의 좀도리 쌀 전달식  지난 2월 3일, 돌곶이역 부근이 떠들썩하기에 찾아가보니,새마을금고 돌곶이점 앞마당에서 이색적인 행사가 있었다.이날 행사는 장위2동 새마을금고에서 2015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모은 백미 5,460kg(20kg, 273포)을 장위2동주민센터를 통해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옛날 우리 어머니들이 밥 지을 때 쌀을 미리 한술씩 덜어내어 부뚜막 단지에 모았다가 남을 도왔던 ‘좀도리’의 전통적인 십시일반 정신을 오늘에 되살린 ‘사랑의 좀도리 쌀나눔행사’는 한겨울 추위를 녹이는 훈훈한 사랑이 되어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과 용기를 안겨주고 있다.명예기자 강희자 input image]]> Thu, 24 Mar 2016 23:47:25 +0000 1 <![CDATA[성북구의회,제239회 임시회 폐회 ]]> 성북구의회, 제239회 임시회 폐회  input image      이광남 의원성북구의회(부의장 김원중)는 2월 16일부터 22일까지 7일간의 일정으로 열린 제239회 임시회를 폐회했다.이번 임시회에서는 16일 제1차 본회의를 통해 2016년도 구정업무계획을 청취하고 2015년 회계연도 결산검사 대표위원으로이광남 의원을 선임하였으며, 17일부터 19일까지는 각 상임위원회별로 조례안 등 각종 안건을 심사하고, 마지막 날인 22일제2차 본회의에서 상임위원회에서 심의한 13건의 안건에 대해최종 의결 후 산회했다.처리된 안건을 살펴보면 ▲서울특별시 성북구 출산축하금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행정기구 설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공유재산관리계획안 ▲만해 한용운 선양사업 지방정부행정협의회 규약안 ▲동북4구 행정협의회 규약안 ▲성북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민간위탁사무 구의회 동의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치회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서울특별시 성북구 1회용품 사용규제 위반사업장에 대한 과태료 부과 및 신고포상금 지급 조례 폐지 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통·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11건은 원안가결되었고, ▲서울특별시 성북구 저소득주민 국민건강보험료 등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애인복지위원회 설치 및운영 조례안 등 2건은 수정가결되었다.한편, 다음 제240회 임시회는 3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진행되며, 주요 안건을처리한다. 제239회 임시회 의원 발의 조례 제·개정 현황(의안 번호순) 성북구 장애인복지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정형진 의원 대표발의 input image송대식 의원은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의 임기 조정, 위원장 선출 단서조항과 주민자치위원회 분과위원회 구성근거를 마련하여 주민자치위원회의 체계적이고 원활한 운영을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김률희ㆍ김원중ㆍ송대식ㆍ송영옥ㆍ안향자ㆍ이미영ㆍ조민국ㆍ진선아의원발의)송대식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치회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원안가결되었다. 본 일부개정조례안은주민자치위원회 임원의 임기(연임규정 포함)와 일반위원의 임기 일치, 위원장 선출 기준(위원의 잔여임기가 1년 이상인 위원 중에서 선출) 신설,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 임원연임규정 변경(1회⇒2회), 주민자치위원회 분과위원 구성 근거 마련, 자치회관 사용료부과 상한 기준 제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성북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민국 의원 대표발의 input image조민국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원안가결되었다. 본 일부개정조례안은 주차요금 감면 인용 법령의 제명 정비,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주차요금의 할인율 조정(최초 2시간까지의 주차요금 면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조민국 의원은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의 주차요금 할인율을 조정함으로써 전통시장 활성화 및 이용객 편의 제공에 기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성북구 자치회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송대식 의원 대표발의 input image송대식 의원은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의 임기 조정, 위원장 선출 단서조항과 주민자치위원회 분과위원회 구성근거를 마련하여 주민자치위원회의 체계적이고 원활한 운영을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김률희ㆍ김원중ㆍ송대식ㆍ송영옥ㆍ안향자ㆍ이미영ㆍ조민국ㆍ진선아의원발의)송대식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자치회관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원안가결되었다. 본 일부개정조례안은주민자치위원회 임원의 임기(연임규정 포함)와 일반위원의 임기 일치, 위원장 선출 기준(위원의 잔여임기가 1년 이상인 위원 중에서 선출) 신설,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 임원연임규정 변경(1회⇒2회), 주민자치위원회 분과위원 구성 근거 마련, 자치회관 사용료부과 상한 기준 제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성북구 1회용품 사용규제 위반사업장에 대한 과태료부과 및 신고포상금 지급 조례 폐지, 김일영 의원 대표발의 input image(권영애ㆍ김원중ㆍ김일영ㆍ임태근ㆍ정형진의원 발의)김일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1회용품 사용규제위반사업장에 대한 과태료부과 및 신고포상금 지급 조례 폐지안은원안가결되었다.김일영 의원은 “1회용품을 사용하거나 무상으로 제공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 기준은「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41조 제3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고, 이에 따라 같은 법 시행령 제50조 및 별표8에서 그 부과기준을 규정하고있으며, 과태료 부과기준에 대해서는 조례로 위임한 바가 없는바, 상위법령의 내용과다르게 조례로 정하는 것은 상위법령에 위배된다. 또한, 1회용품 사용위반 신고 시 사업주에게 과태료 부과라는 침익적 행정처분이 이루어짐에도 법률이 아닌 환경부 지침에 따라 제도가 운영되어 「자치법」 제22조의 법률유보의 원칙에 반하는 문제점이 있어환경부에서는 2008. 5월 해당 지침을 폐지하여 현재 신고포상금제는 위임 근거가 없는상태임으로 본 조례를 폐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성북구 통·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 김일영 의원 대표발의성북구 (김률희ㆍ김일영ㆍ송대식ㆍ안향자ㆍ유경상ㆍ이인순·조민국의원 발의)김일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통·반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원안가결되었다. 본 일부개정조례안은 통장의 임기를 3회 이상 공개모집 후 신청자가 없으면 추가 1회 연임할 수 있는 단서 규정을 신설하고, 복지대상자 파악, 틈새계층·위기가정 발굴 연계 업무 등 통장의 임무를 추가 신설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김일영 의원은 “통장의 임기를 2년에 2회 연임으로 제한함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신규 신청자가 없어 행정 공백이 초래되고 임기 말 통장의 사기 저하 및 책임감이 결여되는 등 역기능적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런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 Fri, 25 Mar 2016 00:32:31 +0000 1 <![CDATA[아동친화도시가 답입니다 ]]>             ‘아동친화도시’가 답입니다 OECD 국가 중 아동행복지수 최하위!OECD 국가 중 청소년 자살률 1위!방과 후 나홀로 방치된 아동 97만명!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절벽! alt 성북구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생존·보호·발달·참여의 4대 권리를 보장하여 아이들이 마을공동체 속에서 스스로 결정하고 ‘시민’으로 성장하며 행복해지는 길을 함께 합니다.■ 서울시 최초 친환경 무상급식 시행■ 대한민국 최초 공립초등학교 전학년 친환경 과일급식■ 서울시 최초 어린이 권리선언(어린이 가라사대)■ 대한민국 최초 「어린이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 제정■ 대한민국 최초 아동청소년복지플래너 운영■ 대한민국 최초 구립지역아동센터 ‘꿈나무키우미 돌봄센터’■ 대한민국 최초 통합형 돌봄체계 구축 ‘성북아동청소년센터’ 왜 아동친화도시일까? ‘저출산 시대의 대안’  저출산에 대한 대책으로 2006년부터 정부가 각종대책을 쏟아내고 무려 123조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저출산 추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이는 정책과 예산투입에 덧붙여 사회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아이를 낳아서 행복하게 키울 수 있다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유럽에서 가장 아동친화도시가 많은 프랑스(250개도시)의 출산율이 2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이는 저출산 시대의 대안으로써 아동친화도시가 왜 필요한지 단언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input image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아동친화도시유엔아동권리협약은 1989년 11월 20일 유엔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협약으로 아동을 소극적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존엄성과 권리를 지닌 주체로 인식하고 생존, 보호, 발달, 참여의 기본적 권리를 제시유니세프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기본정신과 아동의 권리 보장을 실천하는 도시를 아동친화도시(ChildFriendly City)로 선정(전 세계 1,300여개 도시)생존의 권리(Right To Survival) 기본적인 삶을 누리는 데 필요한 권리보호의 권리(Right To Protection) 아동에게 유해한 모든 것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발달의 권리(Right To Development)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데 필요한 권리참여의 권리(Right To Participation) 자유롭게 의견을 말하고 존중받을 권리 해외 선진 아동친화도시 사례(프랑스)프랑스가 2002년부터 아동친화도시 조성 사업을 시작해 250여개 도시를 아동친화도시로 지정하면서 저출산 문제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프랑스는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장기적으로 고민해왔으며, 아동에 대한 마인드와 현실적인 프로그램을 함께 추진하고 매년 11월 아동권리주간을 지정하여 아동권리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를 해왔다. 특히, 숄레市는 ‘국가가 아이를 책임진다’는 보육·육아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공무원의 아동보육 책임감과 동의 권리, 차별없는 성장, 감각을 통한 성장의 중요성 인식 등 아동 관점의 보육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input image 아동·청소년도 시민이다 우리 사회에서 세금도 내지 않고 선거권도 없는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은 거의 없다. 또한, 우리나라는 아동·청소년 정책의 전달체계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등으로 나누어져 있어 분절적이며 대상 연령도 법률마다 제각각으로 통일된 정책수립의 어려움이 있다.성북구는 아동을 보호의 대상이 아닌 시민으로서 권리의 주체라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생존·보호·발달·참여의 4대 권리보장을 정책방향으로 정하고 아동의 범위를 아동복지법을 적용하여 18세 미만의 사람으로 정했다.어린이·청소년의회 등 운영어린이·청소년의회, 청소년구정참여단, 어린이명예기자단을 구성·운영하고 청소년참여정책창안대회와 학생참여예산제를 개최하여 정책과 예산에 반영2015 성북구 어린이·청소년의회 활동내용의원수 : 총 90명(어린이 36, 청소년 54)임기 : 1 년회의개최 : 본 회의 1회, 임시회의 3회 개최활동내용 : 본 회의시 10개 안건 상정 및 가결(6개 조례안 상정) 등을 통해 의정활동 체험아동·청소년 총회 개최- 올해 동별로 아동·청소년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하여 아동시설의 기획과 설계, 시공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하여 아동의 요구에 맞춤- 총회를 통해 아동·청소년이 주도하는 의사결정체계를 확고히 하고 아동 관련 모든 사업에 아동의 목소리를 듣는 아동·청소년 참여 프로젝트 추진 예정 input image ‘통합돌봄체계 구축’ 성북모델이 대한민국을 바꿉니다 전국 최초 구립지역아동센터 설치- 길음동에 전국 최초로 구립지역아동센터를 설치(2012. 3), 현재 4개소에서 운영 중- 돌봄의 문제를 학교와 가정만이 아닌 지역사회 전체의 문제로 승화시켜 지역의 각 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하고자 함 전국 최초 아동청소년복지플래너 운영- 성북구 20개 전 동에 각 1명씩 배치- 가정방문을 통해 아동청소년들과 직접대면하고 집중상담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 연계- 아동·부모 맞춤형 복지 혜택 연계 촘촘한 복지 실현 전국 최초 통합돌봄체계 구축- 아동청소년센터를 중심으로 복지부의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상담센터, 교육청의 돌봄기능·교육복지센터 업무들을 종합 연계하는 지원망을 작동- 학교폭력, 가정폭력, 유아문제 등을 경찰서를 비롯한 유관기관과 협력해나가는 통합적 아동안전 시스템 구축 예정             input image구립 길음동 꿈나무 키우미 돌봄센터 개관식 온 마을이 모여 아이를 키웁니다 2016 서울형혁신교육지구로 지정- 기획에서 실행단계에 이르기까지 민·학·관이 주체가 되어 시행되며, 총 15억원의 예산으로 5개 분야 20여개 사업 본격 추진- 주요사업 :  ▲혁신교육 공감대 조성사업 ▲자치활동으로 민주주의를 배워요 ▲중학생이 만드는 마을교과서  ▲대학생과 청소년, 동아리로 만나다 ‘성북대청(大靑)마루’  ▲마을과 학교가 만나는 1동1교 ‘동교동락(洞校同樂)’  ▲안전한 마을품 틈새돌봄 등- 기존에 학교에만 의지했던 교육과 관련된 것들을 이제는 지역주민,학교, 마을이 함께 고민하고 참여하여 행복한 교육, 모두에게 신뢰받는 공교육 구현 아동청소년 전용보건소 운영예정(2016. 상반기)- 간호사와 의사 및 사회상담사 등 전문가 상근- 주민들에게 아기를 갖기 전부터 임신·출산·육아·질병까지 아이를 키우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와 상담 등 실질적인 도움 제공 영유아 부모지원센터 운영- 기존의 부모지원센터를 육아뿐만 아니라 영유아 건강까지 책임지는특화공간으로 활용하여 모든 아동에게 시기별 맞춤 건강관리 지원 5월은 ‘어린이달’, 11월은 ‘아동·청소년 권리의 달’ 지정 ]]> Fri, 25 Mar 2016 10:51:04 +0000 1 <![CDATA[다가오는 봄, 성북동을 함께 걸을까요? ]]> 다가오는 봄,성북동을 함께 걸을까요?끝나지 않을 것 같던 겨울이 지나고 어느덧 입춘을 지나 봄이 성큼 다가왔다.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혹은 연인과 함께 담소를 나누며 성북동을 걸어봄으로써 조금은 특별한 봄을 맞이해 보는 것은 어떨까? 성북동은 예부터 수많은 작가들이 창작의 고향으로 뿌리를 내렸고, 수도를 지키는북악산과 어울려 경관이 수려했다. 지금도 서울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살아보고픈 동네로 손꼽을 만큼 성북동은 그 기품과 호젓함이 여전하다.한양도성의 북쪽 마을이라 성북동(城北洞)이라 불리는 이 특별한 동네를 경험하기위한 걷기코스의 시작점은 한성대입구역이다. 개찰구를 빠져나와 아래와 같은 매력적인 볼거리를 구경하고 한양도성길까지 걷는다면 더없이 멋진 봄날의 마무리가 될 것이며, 한나절이 어렵다면 선잠단지-길상사-심우장 코스를 호젓하게 산책하는 것도 탁월한 선택이다.한성대입구역 → 최순우옛집 → 선잠단지 (※ 북악산 한양도성길은 군사보호지역이라 신분증을 소지해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것이 아름답다최순우옛집성북동의 이름 난 전통찻집, 수연산방은 상허 이태준이 1933년부터 14년 동안 살던 집이다. 이태준은 문체가 탁월해 그가 활동할 당시‘상허의 산문, 지용의 운문’이라 할 정도였다고. 100여평이 조금 넘는 규모에 이어진 안채와 사랑채, 아담한꽃밭, 사철나무 등 아늑하고 정겨운 풍경이 많다. 전통차의 그윽한 향기와 함께 격조있는 한옥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어 외국인에게도 인기가 많다.※ 동절기에는 휴관이니, 사전에 문의가 필요하다.최순우옛집 ☎ 02-3675-3401 도심 속 청정도량길상사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최고급 요정이었던대원각이 도심속 청정도량이된 것은 1997년. 연인 백석을 평생 기다리며 살던 대원각의 주인 故김영한 여사가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 받아대원각을 스님께 시주했다. 여사의 법명(길상화)을 따길상사가 되었으며 일반인은 물론 외국인도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다.길상사 ☎ 02-3672-5945 만해 한용운의 마지막 11년심우장독립운동가이자 승려, 시인이었던 만해 한용운이 말년을 보낸 곳이다. 3·1 운동으로 옥고 후 성북동 골짜기 셋방살이를 하던 한용운은 지인들의 도움으로 집을짓게 되었는데 그곳이 바로 그가 유일하게 소유했던 집,심우장이다. 「님의 침묵」을 출판해 저항 문학에 앞장섰던 그의 저항 정신은 조선총독부를 등지고 지은 동북향집에서도 잘 볼 수 있다. 방 안에는 그의 친필 원고와 논문집, 유품 등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의(衣)의 풍요를 빌다선잠단지선잠단지는 조선 성종 (1457~1494) 때 ‘뽕나 무가 잘 크고 살찐 고치 로 좋은 실을 얻게 해달라’는 기원을 드리기 위해 혜화문 밖에 세운 제단이다. 나라에서는 일반 백성들에게 누에치기를 장려하기 위해 왕비가 손수 뽕잎을 따고 누에에게 뽕잎을 먹이는 행사인 ‘친잠례’를 열기도 했다. 지금은 터만남아 있지만 왕비들의 기원을 아직도 간직한 듯한 역사적인 유적지로서 의미가 있다. 매년 5월 이곳에서 선잠제례가 재현된다. 오랜 명성 그대로이태준가옥(수연산방)성북동의 이름 난 전통찻집, 수연산방은 상허 이태준이 1933년부터 14년 동안 살던 집이다. 이태준은 문체가 탁월해 그가 활동할 당시‘상허의 산문, 지용의 운문’이라 할 정도였다고. 100여평이 조금 넘는 규모에 이어진 안채와 사랑채, 아담한꽃밭, 사철나무 등 아늑하고 정겨운 풍경이 많다. 전통차의 그윽한 향기와 함께 격조있는 한옥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어 외국인에게도 인기가 많다.이태준가옥(수연산방) ☎ 02-764-1736 가벼운 산책이 제격와룡공원와룡공원은 삼청공원, 창경공원, 북악산 도시자연공원이 인접해 있는 곳으로 용(龍)이 길게 누워 있는 형상이라 와룡동이라고도 한다. 봄에는 벚꽃, 산수유, 매화, 진달래, 개나리 등이 피어나 가족 단위로 즐기기 좋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운동, 산책,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성북여성회관 2016 봄학기 수강생 모집안내input image ※ 그 외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성북문화재단 : www.sbculture.or.kr)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 서울 성북구 성북로 4길 177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녹색장터 개장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 또는 교환하여 자원을 활용하고 순환시키는 아_나_바_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성격의 녹색장터를 개장합니다.이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사용하지 않는 의류나 용품, 장난감 등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판매자 접수방법접수기간 : 2016. 3. 2.~3. 23.접수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월곡)접수인원 : 총 30팀접수방법 : 방 문접수(1층 안내데스크),전화접수(☎ 02-918-8080), 선착순 접수구매자 이용방법일시 : 2016. 3. 26.(토) 11:00~15:00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3층 아리알찬홀(서울시 성북구 오패산로 10길 19)대상 : 이용을 원하는 누구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장난감(부분작동하지 않거나,분실부품을 구할 수는 없지만 놀이 가능한 장난감)은오후 1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아이조아(월곡) ☎ 02-918-8080  2016년도 1학기 문예체멘토링 멘토 모집성북구 관내의 아동청소년들과 문예체 전공 대학(원)생들을 매칭하여 멘토와 멘티가 함께 성장하는 [문예체멘토링-살짝 활짝 단짝] 프로그램에 참여할 멘토들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본프로그램은 전시와 공연까지 진행하는 문예체 프로그램으로 멘토링의 경험이 없는 대학(원)생들에게는 슈퍼멘토(전문강사)를 연결시켜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니 지역 문화예술에 관심이있는 대학(원)생 멘토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alt프로그램 운영방식멘토링 경험이 없는 멘토들은 슈퍼멘토(전문강사)와 함께 프로그램진행, 자체적으로 운영해보고 싶은 멘토링 프로그램이 있는 멘토들은 독립적 진행프로그램 운영기간 : 2016년 3 월부터 7월까지(주 1회, 총 10~15회활동장소 : 성북구 내 학교 및 도서관, 아동청소년센터지원내용 : 교 육봉사활동, 교보재, 슈퍼멘토 컨설팅▒▒모집기간 : 2 016. 2. 5.~2. 27.프로그램input image문의 : 성북문화재단 성북청소년문화공유센터 ☎ 070-8644-8122성북구 동소문로26다길 8-2 sb장난감도서관 마주프로그램‘베이비 마사지&놀이요가’신설 강좌 안내특강일 : 2 016. 2. 18.(목) 14:00~3. 31.(목) 14:00(매주 목요일, 7주 과정)대상 : 2 ~10개월 영아 + 부모 10명수강료 : 회 차당 아이 1인 2,000원※ 회원가입 후, 안내데스크에서 선착순 접수 후 이용 가능합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2시는 강좌로 인해 새싹놀이터 이용이 불가합니다.이용에 불편 없으시길 바랍니다.※ 환불은 하루 전까지 방문으로 가능, 당일은 취소불가※ 자세한 사항은 장난감도서관으로 문의 바랍니다.               2016 성북유소년FC 축구교실 참가자 모집운영일시 : 2016. 3월~12월주 1회 또는 주 2회(수요반, 금요반)대상 : 성북구 관내 초등학생 200여명(추가모집)장소 : 월곡인조잔디축구장접수기간 : 2016. 2. 11.~3. 1.접수방법 : 구청 홈페이지 전산접수 또는 전화접수참가비 : 월 2만5천원(3개월씩 납부 7만5천원)※ 유니폼비 5만원 별도주최 : 국 민생활체육 성북구축구연합회input image문의 : 성북구축구연합회 ☎ 02-913-5343, 손영수 사무국장 ☎ 010-9145-2221, 정진행 감독 ☎ 010-4707-6792                       ]]> Fri, 25 Mar 2016 12:46:16 +0000 1 <![CDATA[아이에게는 든든하게 부모에게는 편안하게 시간제 보육 ]]> 보육정원 - 영아 : 3~5명(24개월 미만이나 장애아 보육 시각 반 3명으로 제한) - 유아 : 3~5명(장애아 보육 시 3명으로 제한)프로그램 - 아기 도토리교실(월곡), 아기 밤토리교실(보문) :표준교육과정 - 유아 도토리교실(월곡) : 누리과정급·간식 : 별 도의 급·간식 제공하지 않음(부모가 준비해 올 경우에 가능)구비서류 : 아 동명 가족관계증명서, 보호자 신분증,아이행복카드(첫 이용시 위의 서류지참과함께 방문 후 ‘운영규정 서약서’ 작성요함)준비물 : 개 인물(컵), 여벌옷, 손수건(물티슈) 등(영·유아가 낮잠을 자야할 경우, 개인 침구류를 꼭 준비함)신청방법‘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로그인(회원가입 및 공인인증 로그인) ※ 은행에서 공인인증서 발급 필수→ 시간제 보육 영·유아 인적사항 등록(아이행복카드 발급한 자)→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성북구) 선택→ 시간제 보육 신청(월곡/보문 선택, 이용시간 및 요일 선택 후 예약, 1시간 단위로 예약 가능)→ 예약된 시간에 기관 방문(최초 이용시, 보호자 신분증, 영·유아명 가족관계증명서, 아이행복카드 지참)→ 퇴실 후 아이행복카드로 결제※ 아이행복카드 미발급시 현금으로 납부해 주시고(현금으로 납부 시 1시간당 4,000원),30일 이내에 아이행복카드를 가지고 재방문시 정부지원금 적용하여 재결제 가능함※ 온라인 신청은 1일 전까지 예약가능, 전화 신청은 당일예약만 가능(보육 정원을 준수하므로 당일 예약시 이용이 불가할 수 있음)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시간제 보육 ☎ 070-8644-8172      조상땅 찾기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돌아가신 조상님 소유의 땅을 찾지 못하셨나요? 성북구청 지적과에서는 상속인에게 조상님 소유의 땅을 찾아주는 ‘조상땅 찾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돌아가신 분의 사망신고를 하실 때 생전에 보유했던 토지, 금융, 자동차, 세금, 보험 등 재산현황에 대하여 한꺼번에 조회를 하실 수 있는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를 2016. 2. 15.부터 실시하고 있습니다.여러분의 많은 신청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alt 조상땅 찾기 서비스 신청자격 : 법 정 상속인, 상속인의 위임을 받은 대리인구비서류 : 법정상속인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제적등본(사망일기준 2007. 12. 31.까지), 기본증명서(사망일기준 2008. 1. 1.부터), 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 상속인의 경우 :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여권, 국가기관에서 발급한 사진이 있는 신분증) ☞ 대리인의 경우 : 위임장과 위임자 및 대리인의 신분증 사본※ 조상땅 찾기 서비스 신청서 및 위임장은 성북구청 홈페이지 ‘민원서식’란에서 다운받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신청방법 - 상속인 또는 대리인이 직접 성북구청 3층 지적과를 방문하여 신청 - 사망신고를 할 때 상속자가 구청 민원여권과 또는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조회 신청 - 사망신고가 이미 되어 있는 경우 전국 읍·면·동에서 신청문의 : 지적과 ☎ 02-2241-4635 어르신과 대학생이 함께 사는 룸셰어링 신청 안내 비어 있는 방을 보며 외로움을 느끼시는 어르신들!주변 임대료보다 저렴한 주거공간을 찾고 있는 대학생들!이제 룸셰어링 신청하세요.집의 남는 방을 싼값으로 세를 주고자 하는 어르신과 저렴한 주거공간이 필요한 대학생을 연결해 드립니다.사업대상성북구에 주택을 소유한 60세 이상 어르신성북구 소재 대학의 학생 및 휴학생사업내용어르신 : 1 실당 환경개선비용(도배·장판) 100만원 이내(시비지원)대학생 : 월 20만원~30만원 저렴한 임대료※ 월 임대료 및 추가 발생 비용(전기료, 수도세 등)은 주거상태 등을 감안하여 어르신과 대학생 상호간 협의에 의해 조정문의 : 주택관리과 ☎ 02-2241-2704 2016년 1기분 환경개선부담금 납부 안내 부과대상 : 자동차관리법에 의거 등록된 경유자동차※ 시설물분 환경개선부담금은 2016년부터 부과 폐지사용(부과)기간 : 2015. 7. 1.~12. 31.납부기간 : 2016. 3. 16.~3. 31.납부방법 : 고지서(전용계좌), 인터넷(http://etax.seoul.go.kr),ARS(1599-3900), 현금인출기, 편의점 납부※ 환경개선부담금은 6개월 사용분을 3개월 뒤에 부과하는 후납제 성격으로 차량말소 및 소유권 이전 이후에도 사용일을 계산하여 1~2회 더 부과 될 수 있습니다.문의 : 환경과 ☎ 02-2241-3004, 3006 찾아가는 장애인보조기구출장수리서비스 실시 2016년부터 수리센터에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장애인의 편리를 위하여 집으로 찾아가는 수리서비스를 제공합니다.이용대상 : 성북구 거주 장애인 중 보장구 이용자신청방법 : 성북장애인보장구클린센터 방문 및 전화 접수지원사항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 장애인 : 연간 30만원까지 수리비 지원 - 일반 장애인 : 수리비의 50%를 연간 15만원한도에서 지원센터 위치 : 성북구 삼선교로 23가길 7(삼선동4가)문의 : 성북장애인보장구클린센터 ☎ 02-921-7230 alt 2016년 생활체육교실과 함께 건강해지세요 접수기간 : 2 016. 3. 2.~3. 11.(근무시간 내)접수방법 : 문화체육과 유선접수 및 현장방문 접수 input image※ 장소사용료 본인 부담, 장소사정에 따라 운영시간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접수 및 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24 승용차요일제 전자태그 갱신하세요 갱신 대상 : 2006년~2010년 발급된 승용차요일제 전자태그 부착자갱신 기한 : 2016. 3. 31.까지갱신 절차1. 신청 - 구청, 동주민센터           - 서울시 승용차요일제 홈페이지2. 전자태그 발급 - 구청, 동주민센터 : 직접수령                          - 홈페이지 : 우편수령3. 전자태그 부착 - 운전석 앞면 유리창 하단부위4. 차량부착 후 인증샷 - 사진 2장 촬영(차량번호판 사진 1장, 차량에 전자태그가 부착된 사진 1장)-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폰 앱에서 사진올리기(비회원도 가능)5. 전자태그 발급기관에서 승인처리※ 승용차요일제 전자태그 갱신을 하지 않을 경우 기존에 받아왔던 혜택이 중단됩니다.문의 : 성북구 교통지도과 ☎ 02-2241-3482 및 각동 주민센터 alt 2016년 3월 2일부터 단속 실시어린이보호구역 불법 주·정차CCTV 집중 단속 우리구 관내 어린이보호구역에 설치된 CCTV 불법 주·정차 단속을 2016년 3월 2일부터 실시합니다.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금지 꼭 지켜주세요!단속일시 : 2016. 3. 2.~계속과태료 부과 : ‘ 어린이보호구역’ 내 오전 8시~오후 8시 사이에 불법 주·정차 단속시 과태료 2배 부과(승용차 8만원, 승합차 9만원)설치장소 : 총 16개(초등학교 2개소, 보육시설 14개소)input image※ 서울시 및 성북구에서는 걷기 편한 보행친화 도시를 위하여보도 위 불법 주·정차를 지속적으로 단속하고 과태료를 부과합니다!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510         불법 주·정차 CCTV 단속휴대폰 문자 알림 서비스 신청하세요 서비스 내용 : 불 법 주·정차 CCTV 단속지역(현장단속 제외)에 주·정차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단속지역임을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안내서비스 대상 : 거 주지와 관계없이 성북구 관내를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서비스 신청기간 : 연 중 계속신청방법성북구 인터넷 홈페이지에 직접 신청 - 성북구 홈페이지 www.seongbuk.go.kr ▶ 마을·생활정보 ▶ 교통 ▶ ‘주·정차 위반 휴대폰 문자알림’ 클릭 ▶ 신청 - http://parkingsms.seongbuk.go.kr에 접속, 신청신청서를 작성하여 동주민센터 또는 성북구청 교통지도과에 제출(방문 또는 FAX : 02-2241-6559)※ 본 서비스는 성북구 지역 안에서 성북구가 설치한 고정식 CCTV 단속시에만 제공되며, 성북구 외 타 지역과 타 기관에서 설치한 CCTV는 서비스가 제공 되지 않습니다.※ 서울시가 성북구 내 주요 간선도로에 설치한 10대의 CCTV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문자 알림 서비스는 서비스 차원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수신여부와 관계없이불법 주·정차 단속 및 과태료가 부과됩니다.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510 ]]> Tue, 29 Mar 2016 10:57:10 +0000 1 <![CDATA[기부 릴레이 부른 어르신들의 빛나는 명연기 현장 속으로 ]]> 성북구 돈암2동 신년인사회에서 역할극에 참여하고 있는최현자(중앙), 박정신(왼쪽 마이크를 들고 있는 이) 할머니 현장을 찾은 내·외빈 180여명은 아낌없는 박수와 갈채를 보냈으며 ‘적어도 내곁의 이웃만큼은 연극과 같은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마을이 함께 돌봐야 한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졌고 어려운 이웃을 돕고 싶다는 따뜻한 기부가 이어졌다. 이처럼 이웃이 이웃을 돌보는 사례를 기존의 딱딱한 프레젠테이션 발표가 아닌 주민과 직원 그리고 복지협의체 위원이 함께 하는 역할극을 통해 발표하면서 보다 설득력 있게 내용이 전달되고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어르신들의 숨은 재능과 나눔의 마음이 소외이웃에게 꼭 필요한 도움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어 일석이조의 효과도 톡톡히 누리고 있다.앞으로도 돈암2동주민센터는 최현자, 박정신 어르신을 비롯해 연기에 동참할 어르신을 발굴하고 이들과 본격적으로 마을복지 홍보 연극을 준비할 계획이다.어르신들의 실감나는 연기에 감동을 받아 소외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김영수 돈암2동장에게 500만원기부 서약서를 건네고 있는 주민 정병천씨(오른쪽)문의 : 돈암2동주민센터  ☎ 02-2241-5195 2016년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 수강생 모집배움의 시기를 놓친 성인에게 초등학력 취득 기회를제공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학력인정문해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합니다.■교육명 : 학력인정 성인 문해교육 프로그램(초등과정)■기간 : 1~3년(초등 6년 과정을 3년에 수료)■과정input image■내용 : 한글교육 위주(성인문해교과서 사용)■교육비 : 전액 무료■특전 : 3 단계 이수자에게 서울특별시교육감 명의 학력인정서 발급■운영기관별 모집기간input image문의 : 성북교육지원청 평생교육건강과 ☎ 02-944-9353 혈당계 및 염도계 대여안내 ■혈당측정기 대여- 대상 : 당화혈색소 7.5% 이상인 당뇨병 환자- 대여기간 : 4개월■ 염도측정기 대여- 대상 : 혈압관리가 필요한 자 및싱겁게 먹기에 관심있는 주민- 대여기간 : 1개월■위치 및 장소 : 성북구 화랑로 63(하월곡동 46-1)                         성북구보건소 2층 만성질환관리실문의 : 만성질환관리실  ☎ 02-2241-6100]]> Tue, 29 Mar 2016 21:36:12 +0000 1 <![CDATA[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 계획 ]]> 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07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 계획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켜 출산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해 기존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대상 :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출산가정(현재지원)         기준 중위소득 80% 초과 100% 이하 출산 가정 중 예외지원 해당자에 속하는 가정(추가지원)※ 예외지원 해당자 : 희귀난치성질환 산모, 장애인 산모 및 장애 신생아, 쌍생아 이상 출산가정,둘째아 이상 출산 가정, 새터민 산모, 결혼이민 산모, 미혼모 산모(만 18세 이하청소년 미혼모, 단 미혼모 시설에 입소한 산모는 18세 초과 하더라도 지원가능)지원기간 : 2016. 1. 1.~12. 31.지원내용 :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지원※ 건강관리 : 산모 식사관리, 세탁물관리, 신생아 돌보기 등 지원지원 서비스 가격 (단위 :천원) input image※ 특례 지원기간 및 지원금 : 라형(정부예외지원)과 동일함 ※ 출산일부터 출산 후 60일 안에 사용가능※ 월~금(07:00~22:00 중 휴계시간 1시간 포함 9시간)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6~7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07 내 아이를 위한 「편식식품 캐릭터 도시락」 만들기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시켜 출산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해 기존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추진기간 : 2016년 3월~6월, 셋째주 토요일(10:00~12:00)/넷째주 화요일(17:00~19:0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대상 : 편식아동 엄마, 아빠, 조부모, 중학교 이상 형제 등(1가구당 1회분 식재료 제공)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 2016. 2. 25.~3. 31. 선착순 전화접수(☎ 02-2241-5951)교육방법- 이론 : 아이의 발달, 아이의 시선으로 편식이해 및 편식개선 TIP제공- 실습 : 우리아이 편식식품을 이용한 캐릭터 도시락 만들기월별교육 세부주제월별교육 세부주제 input image※ 도시락명은 식재료 수급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4 행복한 엄마와 아이를 위한 아장아장 오감발달 신체활동 놀이터모집기간 : 2016. 2. 25.~3. 31. 선착순 12쌍(총 24명) 전화접수참여기간 : 2016. 3월~6월 매월 둘째·넷째 토 10:30~11:30운동장소 : 보건소(월곡본소) 9층 sb문화홀프로그램 대상 및 내용 (비용 : 무료) input image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6, 5948 올바른 이유식 시연 강의「생애 첫 밥숟갈」추진기간 : 2016. 3월, 5월, 9월, 11월 / 해당일 10:00~12:0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대상 : 임신부, 12개월 미만 영아 보호자(부모, 조부모) 등신청기간 및 방법 : 2016. 2. 25.~3. 31. / 선착순 전화접수(☎ 02-2241-5950)1인 1회 가능(2회 이상은 대기자 신청가능)교육방법 : 초·중·후기·완료기 이유식 이론 및 조리시연·시식교육내용 input image※ 내용은 식재료 수급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4 건강튼튼 운동교실 대상자 모집교육기간 : 2016. 3월~7월대상 : 만 20세~만 64세 대사증후군 검진 대상자모집기간 : 2016. 3. 2.(수)~3. 4.(금) (각 운동교육별 선착순 25명/대기자 10명)장소 : 동선보건지소 4층 강당(성북구 아리랑로 3길 8(동소문동6가))접수방법 : 전화접수(대사증후군관리센터 ☎ 02-2241-6221, 6226(09:00~17:00))※ 운동교실은 3가지 중 1가지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교실 신청 후 4회 이상 결석 시 자동탈퇴 됩니다.순환운동 :매주 월·목요일, 13:30~14:30(3. 9.~7. 21.)매트 위에서 전신을 이용한 근력체조 및 스트레칭 운동짐스틱 및 코어운동 : 매주 화·목요일, 17:00~18:00(3. 8.~7. 21.)짐스틱 및 폼롤러 등 소도구와 자신의 몸을 이용하여 전신의 근력과 밸런스를 강화하며 몸의 중심부인 척추와 골반을 강화시키는 운동라인댄스 :매주 화·목요일, 18:30~19:30(3. 8.~7. 21.)즐거운 음악에 줄을 맞추어 추는 춤으로서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동작으로 구성된 유산소 운동문의 : 대사증후군관리센터 ☎ 02-2241-6221, 6226]]> Tue, 29 Mar 2016 22:02:00 +0000 1 <![CDATA[[2016년 상반기 성북구 인문학강좌] 수강생 모집 ]]> 역사강좌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하는 역사강좌 - 사극, 그 상상력과 역사적 진실의 사이운영 기간 : 3. 3.~5. 12. (매주 목) 10:00~12:00 강의시수 : 10강input image문의 : 성북구평생학습관 ☎ 02-2241-2420~5 2016 상반기 성북구평생학습관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안내접수 : 구청 홈페이지 인터넷 접수(3. 1.까지), 전산추첨(3. 2.), 선정 공지(3. 3. 예정)장소 : 성북구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뉴시티 업무동 3층)※ 수강료는 선정 공지 후 선정 메시지를 받고 입금※ 수강접수 및 프로그램 내용은 성북구청 홈페이지 참조input image문의 : 성북구평생학습관 ☎ 02-2241-2420~5 구민정보화교육 3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2. 25.(목) 09:00~26.(금)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2. 29.(월)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청 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다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마을주민학교 봄학기 수강생 모집   input image문의 :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마을소통기획팀 ☎ 02-916-9193홈페이지 참고(www.lifelineseoul.or.kr)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과 교보생명이 함께하는제45회 ‘다솜이가족사랑캠프FOR’ 참여가족 모집일시 : 2016. 3. 26.(토)~3. 27.(일) (1박2일)신청기간 : 2016. 3. 9.(수)까지발표일 : 2016. 3. 10.(목) 15:00 이후장소 : 강화도그레이스힐대상 :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정(부모와 자녀가 모두 참여 가능한 가정)내용 : 가족레크리에이션, 다른가족과의 소통시간, 희망케이크만들기, 부부프로그램,청소년프로그램, 아동프로그램참가비 : 1인당 30,000원(예 : 4인가족 신청시 120,000원)문의 :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이웃지원팀 ☎ 02-916-9193input image]]> Tue, 05 Apr 2016 13:09:25 +0000 1 <![CDATA[서울이야기 남산 예장자락 새로 태어난다 ]]> 남산 청사 건물 3동 철거…남산 예장자락 새로 태어난다8649서울시민의 허파, 남산이 원래의 모습에 한층 더 가까워진다. 단절된 보행로 연결, 공공청사 철거, 곤돌라 설치로 시민의 품으로 돌아가는 남산의 새모습을 미리 살펴보자. 2016년 말 착공, 2018년 2월 완공 서울시는 2018년 2월까지 현재 교통방송 주변의 22,330㎡를 시민이 편리하게 찾아가서 휴식을 취하는 본래 남산의 모습과 기능에 가깝게 복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남산자락은 1900년대 일본 상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며 훼손되기 시작하여, 해방 이후 지금까지 중앙정보부 청사 등으로 활용 되면서 한 세기가 넘도록 제 모습을 찾지 못했다. 서울시는 남산 예장자락을 복원하고, 시민의 사랑을 받는 문화관광 중심지로 만들기 위해 재생설계 공모전을 진행해 ‘샛·자락 공원’을 선정했다.남산 재생 설계 공모전…당선작 ‘샛·자락 공원’ (주)시아플랜 건축사 사무소가 제출한 1등 당선작은 예장자락을 사람·나무·역사·문화의 네 길의 특성을 가진 공간으로 이해하여 이를 입체적으로 연결하고, 남아 있는 기존 청사와 식생물을 보존하여 예장자락을 숨쉬는 ‘유기체공간’이 되도록 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밖에 ▲2등 자연과 문화유산으로 이끄는 숲의 관문을 만들다(건축사사무소 우리공간) ▲3등 도시에 스며든 남산자락(건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공유)을 비롯해 가작 4편 등 총 7개 작품이 선정됐다. 당선작을 비롯한 입상 작품들은 오는 2월 22일부터 3월 4일까지 2주일간 시청 1층 로비에 전시해 시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앞으로 당선자와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2016년 말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에 진행되는 재생사업은 단절된 명동~예장자락 보행환경 개선, 기존 공공청사 철거 및 공원·관광버스 주차장 조성, 곤돌라 신설 등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먼저, 명동역에 연결 통로를 신설하여 남산 진입광장을 통해 바로 남산으로 이어지는 보행로를 만든다. 또, 이 일대 교통체계도 개편한다. 퇴계로~1호터널, 소파로~1호터널 지하차도를 폐쇄하여 공원으로 만들고 퇴계로~소파로 진입도로는 보행 친화형으로 개선한다. 대신 혼잡을 피하기 위해 삼일로~소파로를 잇는 대체 우회도로가 소방재난본부 앞에 신설된다.두번째, 시는 공공청사 총 4개동 중 남산2청사를 제외한 나머지 3개동을 철거하고 지상에는 공원을, 지하1층에는 총 30면의 관광버스 주차장을 만들어 이 일대 교통체증 및 공기질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철거되는 기존 교통방송 건물은 2016년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로 이전할 계획이다. 셋째, 소방재난본부 앞~남산 정상까지 888m에 이르는 8인승 곤돌라가 설치된다. 곤돌라는 ‘남산 대기청정지역’ 지정에 따라 2018년부터 관광버스 등 화석연료차량의 정상부 운행 통제에 따른 친환경 대체 교통수단으로 도입하는 것이다.서울시는 예장자락 재생을 통해 남산의 자연 경관을 회복하고, 도시와 자연의 공존, 다양한 역사 문화를 아우르는 소통의 공간으로 탈바꿈 하여 많은 시민의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input image문의 공공재생과 ☎ 2133-8649  해빙기 안전 사고 조심 하세요 ○ 결빙과 해빙의 반복으로 절개지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낙석 위험이 있는지 살핀다.○ 낙석방지책, 낙석방지망 등이 훼손된 곳이 있는지 살핀다.○ 축대나 옹벽의 균열 또는 지반침하로 기울어져 있는 곳이 있는지 살핀다.○ 배수구나 배수로가 막힌 곳이 있는지 살핀다.○ 석축 등이 지반 침하나 균열 등으로 무너질 위험이 있는지 살핀다.○ 절개지나 축대, 석축 등 붕괴우려가 있는지 평소 점검하고 보수·보강 한다.○ 위험지역 표지판 등은 함부로 치우거나 위험지역에 들어가지 않는다.○ 위험요인 발견시 120번에 신고한다 문의 산지방재과 ☎ 2133-2179              승용차요일제 전자태그 갱신 하세요 ○ 대상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전자태그 발급차량 소유자 (미 갱신시 인센티브 중단)○ 기간 : 2016. 3. 30까지○ 방법 : 주민자치센터나 승용차요일제 홈페이지(no-driving.seoul.go.kr) 갱신 신청문의 기후변화대응과 ☎ 2133-3611             에코마일리지 가입 하세요○ 에코마일리지란? 가정, 기업 등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절약하면 서울시에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민 자발적 에너지 절약 참여 프로그램.○ 참여 방법 ⓛ 온라인신청 : 홈페이지(ecomileage.seoul.go.kr) 가입또는 다산콜(02-120)이나 거주지 자치구에 문의② 회원별 사용량 수집 및 확인 방법- 한국전력, 가스업체 등으로부터 사용량 자동수집-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의 사용량 확인 가능③ 인센티브 대상 선정 기준- 전기 필수, 도시가스, 수도, 지역난방 중 두 종류 이상의 사용량을 6개월 단위로 직전 2년 같은 기간 평균 사용량과 비교하여 5%이상  대상 심사 선정input image※ 마일리지는 친환경제품, 상품권, 티머니 교통카드 충전권, 기부 등 인센티브 신청 가능문의 기후변화대응과 ☎ 2133-3602~7 input image            ]]> Tue, 05 Apr 2016 23:18:22 +0000 1 <![CDATA[생활쓰레기 배출(수거)요일안내 에너지 절약하고 인센티브도 받자 ]]> 재활용품 배출(수거)요일 일 부 동의 경우 2016. 1. 1.부터 재활용품 수거 업무가 청소 대행업체로 이관됨에 따라 배출요일이 조정되었으니 배출방법에 맞춰 지정한 요일에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input image※ 수거여건상 한시적으로 월곡1동의 경우 오패산로3길 기준 좌측(서쪽) 월·수·금, 우측(동쪽) 화·목·토,장위2동의 경우 돌곶이로 기준 좌측(서쪽) 월·수·금, 우측(동쪽) 화·목·일 수거※ 삼선동의 경우 화·목·일로 수거일자가 통일되며, 배출 및 수거 시간이 변경됨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에너지 절약하고 인센티브도 받자2016년도부터 에코마일리지 인센티브 지급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input image에코마일리지 가입방법o인 터넷 홈페이지(http://ecomileage.seoul.go.kr)에서 직접 회원 가입o 인터넷 사용이 힘드신 분은 성북구 소재 동주민센터에 가입신청서 작성 제출※ 전기, 수도, 도시가스 중 2개 이상의 개별 고객번호가 있어야 인센티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input image문의 : 환경과 ☎ 02-2241-3014 2016 성북구민대상 수상자를 추천해주세요!성북구에서는 밝고 건전한 사회기풍을 진작시키고 구정과 지역사회발전을 위하여 애쓰는 숨은 일꾼을 발굴하여 『2016년 성북구민대상』을 시상하고자 하오니, 평소 주위에서 남달리 헌신 봉사하며 바르게살아가는 훌륭한 구민 및 단체를 적극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시상 예정인원 : 5개 부문 5명(지역사회발전, 선행봉사, 미풍양속,문화·체육, 모범청소년)추천대상자: 추천기준일(2016. 2. 15.) 현재 3년 이상 성북구에 계속 거주하고 있거나 소재하고 있으며, 부문별로 공로가 있는 구민 또는 단체추천권자o 성북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동일세대원이 아닌 주민 10인 연명o 동장, 학교장 등 관내에 소재하는 관계기관장 및 구청 국장 이상 간부제출서류o구민 10인 이상 연명 또는 관계기관장에 의한 추천서 1부o공적조서, 공적요약서 각 1부o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o기타 공적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 1부※ 추천서 양식은 성북구청 홈페이지(www.seongbuk.go.kr)에서 다운접수기간 : 2016. 2. 15.(월)~3. 25.(금) 【40일간】접수처 :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단, 관계기관 및 구청 국장 이상 간부 추천의 경우 성북구청 자치행정과로 접수)공적심사 : 지역 저명인사로 구성된 『성북구민대상공적심사위원회』에 서 심사·선정시상내용 : 상패와 메달수상자 발표 및 시상일시 : 수상자 결정 후 개별통지문의 :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자치행정과 ☎ 02-2241-4355 사랑하는 가족과 친지에게 보내는 감동릴레이 편지쓰기무관심하기 쉬운 우리 가족과 친지에게 편지를 통하여 서로에게 사랑과 관심을 전하고자 성북구청에서 2016년 감동릴레이 편지쓰기 행사를 추진합니다! 매월 둘째주 금요일 성북구 편지쓰기의 날에 말로는 전할 수 없었던 소중한 마음을 1통의 편지로 전해보세요. 마음이전달되면 감동이 되고, 감동이 모이면 서로의 마음이 하나가 됩니다.공모기간 : 2016. 2월~9월공모대상 : 성북구민(학생, 학부모, 직원, 직장인 등)공모방법 : 마음전달 창구를 통해o 성북구청 홈페이지 감동릴레이 편지쓰기 창구(성북구청 홈페이지 →구민참여마당 → 참여광장 → ‘감동릴레이 편지쓰기’ 메뉴)o 마음릴레이 SB우체통 창구(성북구청 1층 및 12층 위치/마음편지지비치)마음전달 창구를 통해 전달된 편지는 아래와 같이 활용됩니다.o 심사단을 통해 감동을 주는 작품을 ‘좋은 편지’로 선정o 5월 가정의 달 및 10월 한글날 기념행사(여성문학제 병행) 시,구청장 표창(일반인), 교육감 표창(학생), 편지낭독 등o 성북구청 홈페이지, 성북소리, 성북마을TV, 작품집 등에 소개, 우수편지 전시o 배달을 희망하시는 분의 편지는 배달서비스 실시(편지지 하단에 주소 기재 요망/단, 배달 사고의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문의 : 여성가족과 ☎ 02-2241-2572input image]]> Wed, 06 Apr 2016 11:43:50 +0000 1 <![CDATA[뜻깊었던 만해로드 대장정 外 ]]> 삶의 흔적장희한(종암동)가을하늘은 쟁기로 갈고 있는 구름밭이다어느 한 곳 부름의 곳에는꽃구름 피어내고는 가야한다가지 않고 피지 않는 곳은 없어라피면서 울고 지면서 울고한 줄기 흘러내린 산높으면서 낮고 낮으면서 높은 삶의 흔적나무라면 묵묵히 한 자리에 서서살아온 만치 부침의 세월을 몸으로 익혀늠름한 표상으로 삶의 운치를 삼는다면천만년 살다 가겠네 산사에서정자경(월곡2동)초가을 향기가은은히 풍기는통나무 벤치에 앉아차 한 잔을 마신다.병풍처럼 둘러쳐진사철나무 숲바람결에 흔들리는아카시아 이파리문득오래전에 돌아가신어머니 모습이 떠올라내 눈동자에 이슬이 맺힌다.염주알을 굴리시며묵묵히 앉아계시던인자하신 어머니의 모습!어머니오늘따라 당신이 많이 보고 싶고그립습니다당신의 막내딸이...input image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Sat, 24 Sep 2016 13:46:02 +0000 10 <![CDATA[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시대 찾아가는 복지, 따뜻한 이야기를 품다 ]]> 뇌병변 3급, 지적장애 3급인 이OO(57세)님은 어린 시절부터 올해 초까지 장애인시설에서 거주하였습니다. 그녀가 전하는 시설의 생활은 “꼬박꼬박 밥이나왔고, 시간표에 맞춰진 생활에 익숙해져 편리하기는 했지만, 답답하고 스스로 결정하고 의지대로 할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지인의 도움으로 자립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중증여성장애인이 홀로 자립하기에 지역사회는 녹록지 않았지만 안암동주민센터에서는 전입 이후 동 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복지욕구에 맞춘 공공서비스를 비롯하여 민간자원을 연계하고 지속적으로 방문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민자치기금으로 지원되고 있는 동복지협의체 「우리 마을 뚝딱뚝딱 손길 프로젝트」 사업의 첫 대상자로 선정되어 집안 곳곳의 집수리가 진행되었습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한 블라인드, 겨울 냉기를 막아줄 욕실 문을 비롯하여 휠체어를 타고 외부로 편리하게 다닐수 있도록 경사로도 설치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이OO님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안전하고 당당하게 자립할 수 있도록 복지플래너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우리마을의 소통창구, 복지통·반장에게 맡겨주세요input image‘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이 시작된 이후 따뜻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안암동에서 지난 상반기 복지통·반장을 대상으로 ‘우리마을 복지통·반장 워크숍’을  진행했다. 이날 워크숍은 ‘우리마을의 정다운 이웃되기’라는 주제로 지난 1년 동안 안암동의 어려운 이웃을 위해 노력한 직능단체, 복지통·반장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시청한 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복지통·반장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알리는 순서로 진행됐다. 참석한 복지통장은 “지난 한 해 동안 안암동에서 크고 작은 나눔들이 꾸준히 이어진 것 같아 보람을 느낀다. 하지만 직원들이 우리 동네 주민의 사정에 대해 속속들이 아는 것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주민과 동주민센터 사이의 소통창구로서 복지통·반장의 역할을 잘 해내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앞으로도 안암동은 복지통·반장의 참여 확대와 유기적인 협조를 통해 보다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만들어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문의 : 안암동주민센터 ☎ 02-2241-5223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거래, 성북구 공정무역센터 성북구 공정무역센터(FAIR ROUND)는 지속가능한 공정무역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공정무역의 가치를 공유하는 문화기지가 되고자 합니다.input imageinput image[1층 : 공정무역 오픈 스튜디오]공정무역 교육 및 클래스 운영 : 공정무역 아카데미, 공정무역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수공예·뷰티·쿠킹 클래스, 초청강사 특강 등[2층 : 공정무역 라이프스타일숍]공정무역 제품 판매 및 전시 : 공정무역 의류, 액세서리, 리빙제품, 화장품, 커피, 차,견과류, 오일 등문의 : 1층 오픈 스튜디오 ☎ 02-929-7943 / 2층 라이프스타일숍 ☎ 02-929-7944이메일 : fair-round@naver.com, 페어라운드 블로그 : blog.naver.com/fair-round페어라운드 페이스북 : www.facebook.com/fairround주소 : 서울시 성북구 동소문로22길 33-8(동선동 1가), 성북구 공정무역센터 [페어라운드]성북구 사회적경제 홈페이지 : www.seongbuk.go.kr/social 마을행사 물품 걱정, 이젠 그만~성북구는 나눔경제·공유경제의 가치를 기본으로 하는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하여 물품공유 사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하였다. 이 사업은 지난해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참여자 간담회에서 나온 제안으로, 마을장터·체험활동·홍보부스 운영 등 마을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파라솔, 의자, 테이블 등의 물품들을 대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호소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주체로 길음1동 주민자치위원회가 선정되었고, 길음물품공유지원센터와 연계하여 운영된다. 이번 사업을 통해 마을 곳곳에서 벌어지는 공동체 행사의 임차비 부담을 줄여 좀 더 내실 있는 행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이웃과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여 ‘공유’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공유물품은 캐노피천막, 파라솔, 접이식 테이블 및 의자 등 행사용품과 전동드릴, 다용도 공구류 등의 생활공구류이며, 1회 최대 3일간 대여가능하다. 사용료는 1 ,000원~6,000원 이내로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다.문의 : 길음1동마을복지센터 ☎ 02-2241-5444, 길음물품공유지원센터 ☎ 02-2241-5459 성북동·보문동·삼선동 마을총회에 함께 해주세요 마을총회란?마을의 주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의견을 나누고 마을계획을 주민투표로 결정하는 것.진행 프로그램 :  마을의제 발표·질의응답, 마을계획 우선순위 주민투표, 마을비전 수립, 축하공연 등input image ]]> Sat, 24 Sep 2016 14:07:30 +0000 10 <![CDATA[이웃과 함께하는 훈훈한 추석맞이 外 ]]> 정릉1동 새마을부녀회가 추석을 앞두고 이웃의 관심과 사랑이 필요한 이웃에게 겨울맞이 이불 20채를 정릉1동주민센터에 전달했다. 주민센터를 통해 홀몸어르신·지체장애인·저소득 가정에 전달되고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에게는 새마을부녀회 회장(성영숙)이 각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온정을 전하기도 했다. 새마을부녀회는 지난 6월 28일에도 부녀회원들이 모여직접 담근 된장과 나박물김치, 도토리묵, 양말을 홀몸어르신 20분께 전달한 바 있으며, 다가올 겨울에는 매년 하고 있는 김장담그기 행사를 통해 홀몸어르신 가정에 김장김치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명예기자 우은주 [정릉2동] 정릉2동주민센터 ☎ 02-2241-5343무더위보다 뜨거운 사랑 (어르신 건강한 여름나기)input image지난 7월부터 9월까지 두 달간 정릉2동 직능단체가 관내 12개 경로당에 찾아가 건강한 여름나기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무더위보다 뜨거운 사랑을 실천했다. 이는 1:1 매칭된 경로당에 단체원들이 직접 찾아가 수박과 떡 등 다과를 나누며 어르신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따뜻하게 격려해 드리는 시간을 가진 것이다. 한 어르신은 “무더운 날씨에 기력이 없었는데 건강과 마음까지 챙겨주는 주민들이 정말 고맙다”고 말씀하셨으며, 새마을협의회 최남주 회장은 “어르신들이 좋아하시는 모습을 보니 우리가 더 행복하다. 작은 정성이지만 어르신들이 더운 여름을 잘 보내시는데 보탬이 되었으면한다”고 전했다.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60태양에너지로 우리 마을 전기세 문제없어요8월 25일 오후 뜨거운 태양이 온 대지를 익히고 있을 때 KBS 보도국에서 정릉3동 삼덕마을 에너지 자립 현황을취재하러 왔다. 우선 삼덕마을 중견기업인 대한니트 박영섭 대표와 함께 태양열 전기에너지를 설치한 후의 전기료 감액 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2년 전 설치한 태양열 전기판으로 한 달 약 500kW를 생산해 냄으로써 봄·가을은 거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요즘과 같은전력 소비철에도 한 달 사용액이 2만원 안팎이라고 한다. 이는 설치 전과 비교해 약 15만원의 전기세가 감소되었으며, 초기 설치비용은 2~3년만 지나면 모두 회수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정부 보조금을 받고 설치할 수 있는 태양열 에너지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 같다.명예기자 김수희 [길음2동] 길음2동주민센터 ☎ 02-2241-5480‘꿈·피자 페스티벌’ 개최, 교류 연주회 선보여8월 10일부터 13일까지,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의 단원들은 <Special Combination. 꿈, 피자! 페스티벌>을 통해 춘천 신나는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서로의 소리를 들으며 화합하는 캠프에 참여했다.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성북구, 성북문화재단이 주관하는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이며, 2013년 처음으로 단원을 모집한 이래 성북구에 거주하는 아동·청소년 65명이 모여 멋진 화음을 만들어내고 있다. 8월 13일 마지막날은 서경대학교 문예홀에서 교류연주회를 통해 페스티벌의 결실을 보았다. 모두가 한마음으로하나가 되는 오케스트라 음악과 함께 협동의 즐거움을 배우고 단원들의 작은 소리가 온 마을에 퍼져나가 아름다운마음을 키워가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라본다.명예기자 김수정 [종암동] 종암동주민센터 ☎ 02-2241-5520마을 주민이 엮어가는 도농교류사업8월 5일 종암동 주민자치위원회 및 직능단체 관계자 30명이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에서 열린 둔내 고랭지 토마토 축제에 참석하였다. 종암동주민센터가 둔내면과 자매결연을 맺은 2015년 11월 30일 이후, 둔내면 자치프로그램 경연대회, 도서기증등으로 교류를 시작하였고 이번 축제 행사도 함께하게 되었다. 종암동은 둔내면의 농·특산물을 주문·판매하고 둔내면은 종암동 주민이 둔내면 관내 시설을 사용할 때 할인혜택을 제공하며 횡성군 축제에도 함께 참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협력을 하고 있다. 청정한 자연 속에서 자매마을을 방문, 텃밭에서 옥수수를 수확해 나눠먹고, 수확한 옥수수는 종암동 소재 어린이집과 저소득층에 전달하여 이웃 나눔도 실천하였다. 종암동과 둔내면이 지속적인 도농교류사업 추진을 통해 둔내면 마을 주민과 종암동 주민들의 행복한 일상 만들기가 계속되기를 기원한다.명예기자 정우연 [월곡1동] 월곡1동주민센터 ☎ 02-2241-5560광복절 기념 태극기 달기 캠페인에 나서8월 11일,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날씨에도 아랑곳없이 태극기 게양을 위해 월곡1동 주민들이 모였다. 71주년 광복절을 맞이하여 새마을운동 성북구지회 주관하에 월곡1동 새마을협의회, 새마을부녀회, 새마을문고등 직능단체 회원들이 주축이 되어 성북구 오패산로13길 상가 밀집지역에 국기 꽂이대를 설치했다. 뒤이어 어른, 아이 모두 한마음이 되어 상가 도로변에 일일이 국기를 꽂으며 나라사랑에 동참하였다. 약 200m에 이르는 상가 길을 365일 태극기가 휘날리는 상시 국기 게양 거리로 지정한 것이다. 앞으로도 태극기 달기 운동을 지속적으로홍보하여 국경일마다 더 많은 가정에 태극기가 펄럭이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명예기자 차온순 [월곡2동] 월곡2동주민센터 ☎ 02-2241-5600새마을문고와 함께하는 국회의사당 체험input image8월10일 월곡2동 새마을문고(회장 권미숙)는관내 월곡중학교 학생, 지역 학부모 등 45명과 함께 국회의사당 진로체험을 했다. 국회의사당 직원들의 안내를 받아 헌정기념관에서 직접 법안을 만들어보고 국회의사당의 숨겨진 스토리를 들으며 2층 관람석에서 진행과정 설명을 들었다. 월곡2동 새마을문고는 향후에도 독서를 통한 문화 공유와 소통의 기회를 갖고 독서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명예기자 최광순 [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5640청소년 봉사활동으로 마을만들기 실천!input image지난 8월 8일부터 12일까지 청소년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장위1동에서는 ‘쓰담 봉사’가 진행되었다. 쓰담 봉사는 청소년기에 꼭 필요한 금주·금연 교육 및 심폐소생술 교육과 더불어 새마을문고 책 정리, 동네 환경정비 등 마을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이다. 여름방학 기간이지만 청소년들이 자발적으로 마을의 환경정비를 위해 전단지를 제거하고 쓰레기를 줍는 모습을보고 주민들은 “더운 날씨 속에서도 마을을 위해 질서정연하게 일하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며 “우리 어른들도 아이들을 보며 배우는 것이 많다”고 말했다.명예기자 문영임 [석관동] 석관동주민센터 ☎ 02-2241-5797청소년들이 앞장서 퍼트리는 해바!지난 8월 20일 석관동주민센터에서는 석관동 새마을문고 ‘해바 청소년 봉사단’ 발대식이 열렸다. 해바란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들의 자발적참여와 재능 기부 형식으로 이루어진 청소년 봉사 동아리이다. 청소년들이 몸소 실천하는 나눔과 효행 봉사를통해 지역주민에게 해피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일에 청소년들이 앞장서 보겠다는 당찬 포부를 가지고 출범했다 .첫 활동으로 발대식 종료 후 단장과 단원들은 부채에 그림과 글씨를 새겨 석관동 내에 있는 경로당 2개소에 방문하여 어르신들에게 전달, 어르신들과 소통하고 어느 때보다도 무더운 여름을 힘겹게 나고 있는 어르신들에게 조그만 위로를 드렸다.명예기자 황규은]]> Sat, 24 Sep 2016 14:28:03 +0000 10 <![CDATA[성북구의회 제244회 임시회 폐회 ]]> 성북구의회(부의장 김태수)는 9월 5일부터 12일까지 8일간의 일정으로 제244회 임시회를 열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 상임위원회가 새로 구성됨에 따라 상임위원회별로 2016년도 주요업무보고를 청취하였으며, 2016년도 제1회 일반·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 등 7건의 안건 심사가 이루어졌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 현황과 처리된 안건 심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244회 임시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구성위 원 장 : 이미영 의원부위원장 : 김률희 의원위원 : 권영애, 김일영, 김춘례,박학동, 안향자,오중균, 윤만환 의원input image이미영 위원장input image김률희 부위원장 안건 심사 결과원안가결▲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서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독서문화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개선 및 교육용 전기요금 인하 등 전기요금 체계 개편 촉구 건의안수정가결▲2016년도 일반·특별회계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범죄예방디자인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달장애인 지원에 관한 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영유아 보육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성북구의회 정형진 의장, 서울특별시 구의회 의장협의회장 추대input image정형진 의장성북구의회 정형진 의장이 8월 30일 노원구의회 주관으로 열린 제7대 후반기 서울특별시 구의회 의장협의회 첫 모임에서 만장일치로 협의회 회장으로 추대됐다. 서울특별시 구의회 의장협의회는 서울시 25개 자치구의회 의장으로 구성되어, 각 지역의 공통의제와 현안문제에 대해 토론하고 협의하여 중앙정부 및 서울특별시에 의견 개진 등을 통해 지방자치 및 지방의회 발전에 기여하는 협의체이다. 의원 발의 현황(의안 번호순)성북구 범죄예방디자인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임태근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임태근 의원(김일영·김춘례·안향자·오중균·이광남·정형진·임태근 의원 발의)임태근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범죄예방디자인 조례가 일부개정되었다. 개정된 주요내용은 범죄예방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시 관할 경찰서의 범죄예방진단과 분석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다. 임태근 의원은 “범죄예방디자인은 디자인을 통해 범죄 심리를 위축시켜 범죄발생 기회를 사전에 차단하고 범죄를 예방하여 안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범죄예방디자인 기본계획 수립 시 관할 경찰서의 범죄예방진단과 분석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도록 명문화함으로써 제도 운영상의 미비점을 보완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성북구 발달장애인 지원에 관한 조례안, 김춘례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김춘례 의원(권영애·김일영·목소영·박학동·안향자·오중균·임태근·정형진·김춘례 의원 발의)김춘례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달장애인 지원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었다. 제정된 주요내용은 조례의 목적 및 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 구청장의 책무 및 복지단체의 보호·육성에 관한 규정, 발달장애인의 인권보호와 자립지원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등이다. 김춘례 의원은 “발달장애인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고 사회의 일원으로 설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호와 지속적인 지원의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권리 증진과 인간다운 삶 보장에 기여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성북구 영유아 보육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오중균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오중균 의원(권영애·김일영·김춘례·목소영·박학동·송대식·유경상·임태근·정형진·오중균 의원 발의)오중균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영유아 보육 조례가 일부개정되었다. 개정된 주요내용은 성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용료 규정 개정 및 신설,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용료 감면 대상 확대, sb장난감도서관 사용료 기준액 신설 등이다. 오중균 의원은 “성북구 육아종합지원센터(월곡, 보문)의 시설 이용대상 및 감면에 대한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료를 조정하여 지역주민의 보육서비스 만족도를 제고시키고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성북구 도서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김일영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김일영 의원(권영애·김일영·김춘례·목소영·박학동·송대식·유경상·임태근·정형진·오중균 의원 발의)김일영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서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일부개정되었다. 개정된 주요내용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서관 정책자문위원회’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서관 운영위원회’ 운영 등이다. 김일영 의원은 “도서관 정책자문위원회 운영의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전문적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도서관의 정책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으며, 도서관 운영위원회를 별도로 운영함으로써 세부적인 도서관 운영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성북구 독서문화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김일영 의원 대표발의(권영애·김춘례·목소영·송영옥·안향자·오중균·유경상·정형진·김일영 의원 발의)김일영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독서문화진흥 조례가 일부개정되었다. 개정된 주요내용은‘책 읽는 성북 추진협의회’ 구성 근거 마련, 독서문화 진흥을 목적으로 하는 관련 단체를 새마을문고와 사립도서관으로 확대 등이다. 김일영 의원은 “독서문화진흥 관련 단체를 새마을문고와 사립도서관으로 확대함으로써 독서문화진흥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고, ‘책 읽는 성북 추진협의회’의 규정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책 읽는 분위기를 활성화하여 구민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정서를 함양하여 평생교육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개선 및 교육용 전기요금 인하 등 전기요금 체계 개편 촉구 건의안, 이인순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이인순 의원(성북구의회 의원 일동)이인순 의원이 대표발의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개선 및 교육용 전기요금 인하 등 전기요금 체계 개편 촉구 건의안’이 원안가결되었다. 건의안은 전기요금 누진제를 도입한 1974년 이후 지금까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채 시행되고 있는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도 개선 및 1년 중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날 사용량을 기본요금으로 산정함에 따라 산업용보다 비싼 요금을 내야 하는 교육용 전기요금에 대한 인하와 함께 다른 전기요금 종별과의 형평성에 맞지 않는 산업용 전기요금에 대해 합리적인 전기요금 체계로 개편 및 개선할 것을 강력하게 건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Sat, 24 Sep 2016 14:51:58 +0000 10 <![CDATA[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바로알기 ]]> 조합원모집 과정에서 세대수, 층수 등 확정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95% 이상의 토지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지확보 가능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문의 : 주거정비과 ☎ 02-2241-2913, 2915 우리동네 자랑 ‘자원봉사캠프’ 엿보기자원봉사캠프란 ?자원봉사활동을 가까운 곳에서 할 수 있도록 각 동주민센터에 설치된 동네 자원봉사센터로, 자원봉사 상담가들이 자율적으로운영하는 활동처입니다. 자원봉사 상담가란 ?동 단위로 소규모 자원봉사활동 운영을 통해 주민들이 일상에서 자원봉사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내 지역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활동을 기획?운영하는 자원봉사리더(자원봉사자)입니다.※ 성북구에는 20개동 자원봉사캠프에서 188명의 상담가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자원봉사캠프에서 하는 일은 ?- 자원봉사 홍보 및 봉사자 모집- 신규 봉사자 상담 및 배치- 자원봉사자 활동관리 및 정보 제공-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자세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활동상담은 가까운 주민센터의 자원봉사캠프로 문의해주세요.※ 다음 호에는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1동, 돈암2동 자원봉사캠프에서 진행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소개됩니다.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63 주거위기가정 임차자금 지원사업 안내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모텔, 여관, 찜질방 등에서 거주하는 가족단위(미성년자 동반) 주거위기가정에게 불안한 주거환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지원내용 : 임차보증금 최대 500만원 지원신청자격가구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가구로 ① 또는 ②에 해당하는 가구① 모텔, 여관, 고시원 등에서 거주하는 만 18세 미만의 미성년 자녀 동반 가구※ 장애가 있는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 나이를 제한 두지 않음② 일정한 주거 없이 차 또는 공원 등에서 거주하거나 철거 및 퇴거 통보를 받아 잠재적 주거불안이 예상되는 미성년 자녀 동반 가정<신청 제외 대상>- 희망온돌광역기금 지원 받은 자- 세대주 및 세대원 중 주택, 상가(점포), 사무실, 토지 등 소유자- 친·인척 소유의 주택에 거주 또는 거주를 희망하는 자- 사실상 주택을 보유하고 있거나 거주할 주택이 있는 자※ 개인 접수 불가신청기간 : 상시접수(자치구·복지관·주거복지센터 ⇒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69 미디어로 만드는 마을, 성북마을TV 10월 주간편성표방송시간- 본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시청방법 :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다시보기 : 홈페이지 내 [성북마을TV] → [프로그램] 게시판편성표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Colour Yourself」 컬러링 놀이와 함께하는 청소년 취향·취미 탐구 워크숍공부와 반복되는 일상에 지친 청소년들을 위해 지역 청년예술가들이 청소년들의 취향·취미가 무엇인지 함께 고민해보고 탐구할 수 있는 워크숍을 기획하였습니다. 정작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몰라 고민하는 친구들, 자신만의 개성 있는 취미를 갖고 싶은 친구들의 많은 관심과 신청 바랍니다.input image모집기간 : 2016. 9. 1.~9. 30.모집대상 : 고등학교 1~3학년 10명모집방법 : 온라인 / 모바일 접수(https://goo.gl/forms/lw76nUbgWLOp724n2)워크숍 일정- 10. 1.(토) : 심리학자, 예술가들의 자아탐구법- 10. 8.(토) : 대중문화 속 나의 취향 탐구- 10. 15.(토) : 100명의 나를 칠하자워크숍 장소 : 성북청소년문화공유센터(서울 성북구 동소문로26다길 8-2)※ 참가비 무료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성북구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소개합니다청년 니트의 자립 지원 사업을 하는‘(주)K2인터내셔널코리아’input image ㈜K2인터내셔널코리아는 젊은 사람들에게 종합적 지원을 하는 성북구 예비 사회적기업입니다. 최근 두드러진 은둔형 외톨이, 청년 니트의 사회문제를 지역사회와 함께 해결할 실마리를 찾고 있습니다. 심각한 고민을 가진 청년들과 함께 살고(공동생활, 살 자리), 함께 일하고(고용창출, 일자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설 자리)을 만들어 가는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 청년, 청소년을 위한 대안 유학 알선 활동- Share House 공동생활 프로그램을 통한 청년 생활지도 및 상담- 고용 창출과 직업 훈련을 위한 요식업 운영(정릉시장 'Don Cafe' 운영)문의 : K2인터내셔널코리아 ☎ 02-322-5160홈페이지: www.k2-inter.com/korea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하는<허준약초학교> 대상 및 정원 : 성북구민 누구나(60명)운영기간 : 2016. 10. 5.~11. 18., 매주 수/금요일 14:00~17:00※ 현장실습 2회(11. 9.(수) / 11. 18.(금))교육내용 : 질병, 면역력, 관절, 다이어트 등에 좋은 약초 강의 및 현장실습교육장소 : 성북구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 업무동 3층)신청방법 : 구청 홈페이지 인터넷 접수(선착순)수강료 : 20,000원(우리은행 1006-401-304871, 예금주 : 성북구청)※ 교재 및 현장실습비 별도※ 수강료 입금시 ‘성명 및 강좌명’ 표시(예 : 김성북 허준)문의 : 성북구평생학습관 ☎ 02-2241-2420~5 2016년 성북어울림장터 개최사람과 물건 그리고 마을이야기의 어울림을 통해 자원순환과 나눔의 가치를 살리는 성북어울림장터가 개최됩니다. 이제는 나에게 필요 없지만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는 물품을 판매하고 구입도 가능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장터 일정 : 2016. 10. 29.(토) 11:00~16:00, 성북구청 바람마당장터 판매 참가신청 : 인터넷 선착순 접수(www.flea1004.com/special)신청기간 : 2016. 10. 4.(화) 10:00~마감시까지(40여 팀)장터 이벤트- 나눔캠페인 : 페이스페인팅, 에코팔찌, 양말인형 만들기 등- 전통놀이마당 : 대형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고리던지기 등- 폐건전지 교환행사 : 폐건전지 20개당 새건전지 2개 교환(새건전지 400개 한)문의 : 아름다운가게 나눔장터팀 ☎ 02-2115-7266청소행정과 ☎0 2-2241-4415 난방개선을 위한 집수리비용 융자지원 안내융자규모 : 150억원(서울시 기후변화기금)융자기간 : 2016. 12. 9.까지(단, 융자기금 소진 시 조기 종료)지원항목 : 단열창호, 단열재, 고효율보일러·고효율LED조명 교체 등취급은행 : 우리은행(보증보험은 서울보증보험 가입)융자절차 : 융자신청 → 융자심의 → 대출심사 → 사업시행 → 사업결과보고 → 대출실행융자대상 : 모든 주택(단독·아파트)지원대상 : 주택 소유자지원사업 : 에너지 절약시설 설치사업융자금액 : 공사비의 100%(200만원~1,500만원)융자조건 : 연리 1.45% 8년 균등 분할 상환기타 : 무담보 융자지원 시 보증보험 가입문의 : 환경과 ☎ 02-2241-3021 2016년 가을철 반려동물 광견병 예방백신 접종 실시우리구에서는 반려동물 광견병 예방백신 접종을 다음과 같이 실시합니다. 이 병은 사람이 감염된 동물에 물렸을 때 염전이 되는사람과 짐승 공통 전염병이므로 개와 고양이를 기르는 가정에서는 빠짐없이 예방접종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실시지역 : 성북구 포함 서울특별시 전지역접종기간 : 2016. 10. 10.~10. 24.(14일간)접종장소 : 관내 모든 동물병원(성북구청 홈페이지 참조)접종대상 : 3개월 이상의 모든 개, 고양이접종비용 : 5,000원(소유자 부담) / 예방백신 약품비용은 무료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63 사업장 연탄재 유상 수거 안내시행일 : 2017. 1. 1.부터∼대상 : 성북구 내의 모든 사업장(가정용은 제외)근거 : 『서울특별시 성북구 폐기물 조례』 제9조제2항, 제16조제3항, 제27조1항제1호배출방법 : 20ℓ영업용봉투에 연탄재 6장을 원형 그대로 담아 배출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 Sat, 24 Sep 2016 21:07:58 +0000 10 <![CDATA[성북구, 서울시 주민참여예산 총 167억원 확보! ]]>   성북구 주민참여예산제, 그 특별함을 말하다!지난 8월 서울시가 주최한 '2016 주민참여예산 한마당 총회'에서 성북구가 서울시로부터 36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으며,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도입 이후 자치구 최초 167억원을 확보하는 기염을 토했다. 지난 2014년 이미 100억원을 돌파한 전력까지 있는 성북구 주민참여예산제의 특별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주민참여예산제란?예산편성과정에 주민이 직접 참여하여 사업을 제안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한 제도              input image [주민참여예산위원 인터뷰] 내가 참여하면 동네가 변한다! input image길정수성북구 주민참여예산위원회위원장5년간 167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성과는 지속적으로 주민과 공무원이 '협치'한 결과입니다. 주민참여는 이렇게 역량있는 성북 주민들의 활동이 지역사회 발전으로 이어지는 좋은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결과로 참여하면 내가 사는 마을이 바뀌는 아름다운 사례가 널리 퍼졌으면 합니다. input image김종건서울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교통·주택 분과위원장예산위원으로 활동하는 동안 주민참여예산을 통해 바뀌어가는 우리 마을을 보며 많은 보람을 느꼈습니다. 앞으로도 주민참여예산 홍보대사라 생각하고 더욱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들도 우리 마을을 변화시키는 힘은 주민이라는 사실 잊지 마시고 9월 26일부터 시작하는 성북구 주민참여 예산사업 최종선정 투표에도 많이 참여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input image김종환서울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총회 부위원장제가 위원장으로 활동한 환경공원분과에서 8억5천만원의 예산을 확보하여 우리구가 서울시자치구 중 1위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니 정말 행복합니다. 앞으로도 성북의 발전을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참여하면 내가 사는 마을이 변합니다! 주민참여예산 투표에 많이 참여해 주세요!  input image 10월, 성북구 주민참여예산 총회 개최성북구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절차input image투표안건으로 상정된 사업목록(구단위)26개의 사업들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업을 선택해 투표해주세요.input image※ 동단위 주민참여예산 투표안건은 서울시 M보팅 사이트 및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input image ]]> Sat, 24 Sep 2016 21:57:15 +0000 10 <![CDATA[성북동에서 글을 쓰고, 꿈을 꾸다 ]]> 단편소설을 잘 써서 '조선의 모파상'이란 별명이 붙었던 소설가 상허(尙虛) 이태준(李泰俊, 1904~?)은 1933년 성북동에 집을 짓고 자리를 잡았다. 일제강점기 말, 잠시 세상을 피해 고향인 강원도 철원에 내려가기도 했지만, 이태준은 월북할 때까지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 성북동에서 지냈다. 성북동 집은 이태준에게 단순한 안식처만이 아니라 작품을 집필하는 공간이기도 했다. 그의 집 이름 ‘수연산방(壽硯山房)’은 벼루가 다할 때까지 글을 쓰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집이 단순한 안식처가 아니었듯 성북동도 그에게 단순한 거주지가 아니었다. 성북동에 사는 이웃들의 이야기는 이태준의 소설에서 단골 주제가 되곤 했다.  그의 뛰어난 단편소설 「달밤」, 「손거부」, 「토끼 이야기」,「장마」 등은 성북동 사람들, 그리고 성북동에서 사는 자신의 이야기를 소재로 삼은 것이다.  그렇기에 이태준의 소설을 따라가면 그가 살았던 1930년대 성북동의 모습을 조금이나마 그려볼 수 있다.이태준이 들어온 1933년 무렵의 성북동은 서울에서도 비교적 살기 좋은 마을이었다. 주거 환경도 깨끗한편이었고 도심과 인접해 있어 교통도 편리했다. 그 때문인지 문인들이 많이 옮겨와 거주하였으므로 이 무렵 성북동은 ‘문인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이태준 외에도 여류문인 김일엽(金一葉, 1896~1971)을 비롯하여 김복진(金復鎭, 1901~1940, 조각가)·김기진(金基鎭, 1903~1985) 형제, 홍효민(洪曉民,1904~1976), 이종린(李鍾麟, 1883~1950) 등이 성북동에 살고 있었던 것이다.문인들이 모여 사는 조용하고 운치 있는 동네였다고는 하지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겉보기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인텔리 계층 사이에서 날카로워진 이데올로기적 대립과 갈등이 문학계에서도 두드러지기 시작했고, 성북동의 문인들도 예외 없이 분열된 문학판 어딘가에서 자신의입장을 정리해야만 했기 때문이다.(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 input image상허 이태준 가옥(수연산방,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11호).이태준은 그의 수필 「목수들」에 이 집을 짓기까지의 자세한 사연을 밝혀 놓았다. 현재는 찻집으로 꾸며져 손님을 맞고 있다 .             input image이태준(1904~?)강원도 철원에서 출생했다. 휘문고보를 나와 일본 조치[上智]대학에 수학하였으며, 단편 「오몽녀」를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 1930년대부터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했고 월간 문예지 <문장(文章)>의 주간을 맡았다. 성북 책 모꼬지(Book Festival) '오늘, 소년을 만나다'오는 10월 22일, 성북구의 대표 책 축제 <성북 책 모꼬지(Book Festival)>가 진행됩니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하는 성북 책 모꼬지는 ‘오늘, 소년을 만나다’라는 주제 하에 올해의 한 책인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아이들과 함께 읽을 책인 『슈퍼거북』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구성하여 책을 읽고 체험하는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입니다.일시 : 2016. 10. 22.(토) 13:00~18:00장소 : 동덕여자대학교(성북구 화랑로13길 60)주요행사부스운영 : 책과 연계한 주제 및 체험부스, 홍보전시관, 독서활동 공간, 아트마켓 등프로그램 : 메인행사 및 공연, 작가와의 만남, 청소년 토론회, 사람책도서관 등문의 : 성북문화재단 도서관기획팀 ☎ 070-8644-8044 10월 성북구 역사문화 탐방성북구의 다양한 문화유산을 해설하고 안내하는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오니, 남녀노소 관심 있는 개인 및 단체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탐방 코스성북동 문인, 예술가 코스일시 : 2016. 10. 1.(토) 10:00탐방코스 :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소녀상 앞) 출발-김광섭-염상섭-조지훈-김기창 집터-최순우 옛집-이태준 가옥-심우장성북동 산동네 골목길 코스일시 : 2016. 10. 8.(토) 10:00탐방코스 : 길상사 출발-성북슈퍼 골목길-수연산방-심우장-북정마을-한양도성 암문(길상사 : 6번 출구에서 2번 마을버스 탑승)한양도성 길 코스일시 : 2016. 10. 9.(일) 10:00탐방코스 :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출발-혜화문-서울시장 공관-경신고-성북쉼터-와룡공원-말바위 쉼터-숙정문(신분증 지참 필수)조선시대 능원코스일시 : 2016. 10. 15.(토) 10:00탐방코스 : 성북동주민센터 앞 버스 출발(5번 출구 전방250m)-흥천사-정릉-의릉-영휘원대사관저길 코스일시 : 2016. 10. 16.(일) 10:00탐방코스 : 우리옛돌박물관 출발-브라질, 덴마크 대사관저-변종하 미술관-삼청각-배용준집-일본, 이라크, 아제르바이젠공화국 대사관저-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오만, 대사관저-정법사날로 생생 어린이 체험 코스일시 : 2016. 10. 22.(토) 10:00탐방코스 :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출발-최순우 옛집 탁본뜨기-선잠단지에서 누에 실뽑기 체험-심우장에서 서대문형무소 3D퍼즐 맞추기성북동 한옥코스일시 : 2016. 10. 23.(일) 10:00탐방코스 :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앵두마을-한양도성-김광섭 집터-성북10가 한옥 골목-선잠마을 한옥골목-선잠단지-이종석 별장- 투어는 무료 진행이며 능, 원, 박물관 입장료는 개인이 준비해야 합니다.- 선착순 20명 마감이며, 신청 후 참가 불가할 경우 2일 전에 통보해야 합니다.- 주최/주관 : 성북구청/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 접수 : 2016. 9. 26.부터(평일 10:00~18:00) 전화접수접수 및 문의 : 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서울시인증 마을기업)☎ 010-5301-3637 2016 성북진경 축제 input image'2016 성북진경'은 성북구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인과 지역주민이 협력하는 축제로 10월 8일(토)부터 22일(토)까지 성북구 일대에서 선보입니다.※ 본 일정은 사정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고 바랍니다. www.sbculture.or.krinput image문의 : 성북진경민관사무국 ☎ 070-8644-8215 제1회 성북 훈민정음(訓民正音) 축제성북구 소재 간송미술관 소장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의 가치와 의미를 널리 알리고 훈민정음의 애민정신과 창제원리를 즐겁게 체험하는 새로운 개념의 배움잔치를 펼치오니, 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바랍니다.기간 : 2016. 10. 8.(토)~10. 9.(일) <2일간> 10:00∼20:00* 개막행사(메인행사) : 2016. 10. 8(토) 17:30장소 : 간송미술관, 심우장, 길상사, 성북구립미술관, 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 수연산방, 덕수교회 앞마당 등 성북동 일대슬로건 : 주최 및 주관 : 성북구청 /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행사내용10. 8.(토)- 포럼(성북 해례본의 가치와 훈민정음 축제의 미래)- 선포식, 축하공연(가곡, 한용운 시낭송, 성북구립여성합창단, 성북장애청소년합주단)- 개막공연(판소리, 뮤지컬, 낭독공연)10. 9.(일)- 훈민정음 골든벨, 외국인학생 한글공연, 대학생 한글축전- 훈민정음 놀이 골목(각종 체험행사)10. 8.(토)∼10. 9.(일)- 동구여중 시화전, 훈민정음 이어쓰기- 한글교재, 교구 전시(고서 경전, 근대 한글서신, 어린이, 외국인, 장애인 책 전시)- 훈민정음 관련 다양한 전시회(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 독립운동가들의 편지, 만해문학전시, 백석 관련 시 등)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3 신나게 놀아봄! 함께 키워봄! 안전하게 돌봄!2016 성북구 돌봄 박람회성북구의 다양한 방과후 돌봄기관을 한자리에서 살펴보고 기관별 특색 있는 방과후 활동 체험부스와 클래식 음악회가 열리는 '2016 성북구 돌봄 박람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input image             일시 : 2016. 10. 8.(토)11:00~16:00장소 : 성북구청 바람마당 및 4층 아트홀참가대상 : 아동청소년 및 지역주민행사내용- 돌봄기관 안내 및 이용상담- 자녀양육 상담, 아동 공연마당- 어린이를 위한 클래식 콘서트라라잼- 돌봄기관 방과후 프로그램 체험- 먹거리 부스- 아동 작품전시 등주최 : 성북아동청소년센터주관 : 성북구지역아동센터협의회, 초등돌봄교실, 혁신교육 틈새돌봄기관, 학부모마을교사네트워크, 성북작은도서관네트워크문의 : 성북아동청소년센터 ☎ 02-2241-2455~6 당신의 귀를 힐링시켜 줄 소중한 시간<문화와 이웃하는 청년> 공연과 함께 하세요!input image일시 : 2016. 10. 19(수) 19:30장소 : 성북아트홀(성북구청 4층)대상 : 지역주민 누구나(※ 전석 무료 초대)내용 : 국악과 클래식의 멜로디를 재해석한 뉴에이지 음악 공연구성 : 성악가, 피아노, 드럼, 해금, 가야금, 무대영상 등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92 「뮤지엄나이트 : SeMA 금요 樂」input image일시 : 2016년 매월 첫째, 셋째 금요일 19:00장소 :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다목적홀(지하 1층)오시는 길 : 지하철 7호선 하계역 1번, 중계역 3번 출구 도보 10분참여방법 : 선착순 무료프로그램 ※ 상세 일정 및 내용은 아래 문의처로 문의- 온가족이 함께 보는 판타지 영화 「키즈 무비 판타지」 : 뮨:달의 요정, 라이프 오브 파이, 패딩턴, 스파이더위크가의 비밀 ,어린왕자- 퀄텟 베리우스와 함께하는 클래식 공연 「바로크에서 낭만까지」 : 비발디, 모차르트, 베토벤, 드보르자크, 그리그 등문의 :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sema.seoul.go.kr) 또는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 02-2124-5247~8 뮤지컬 ‘심우’ 공연 안내input image만해 한용운 선사가 1933년부터 1944년까지 거주하였던 성북동 심우장에서 뮤지컬 ‘심우’를 공연하오니 관심있는 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람 바랍니다.일시 : 2016. 10. 8.(토) / 10. 15.(토) 11:00 ※무료관람장소 : 성북동 심우장(성북구 성북로 29길 24)주최/주관 : 성북구/극단 더늠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8 2016 성북문화가족 어울마당 축제 - 공연마당input image올해로 설립 20주년을 맞이한 성북문화원에서 풍성하게 준비한 '성북문화가족 어울마당 축제'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일시 : 2016. 10. 29(토), 오후 6시장소 : 삼선교 분수마루공연내용 : 문화강좌 수강생, 성북구 예술단체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 Sat, 24 Sep 2016 22:16:44 +0000 10 <![CDATA[2016 제4회 성북구 마을주간행사 ‘마을로 마실가자’ ]]>   주렁주렁, 마을공동체 열렸네!성북구 마을주간행사 ‘마을로 마실가자’는 성북구 곳곳에서 펼쳐지는 마을축제들을 엮어 소개하고, 마을공동체 활동을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할 수 있는 마을축제 한마당입니다. 마실열기 : 마을놀이터 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풍성한 놀거리가 한가득!일시 : 2016년 10월 10일(월) 오전 10시~오후 4시장소 : 성북구청 바람마당 및 성북천 일대내용 : 마을공동체 활동 체험 및 홍보, 마을주민 공연 등 마실닫기 : 마을살림포럼‘성북마을살이! 변화의 시작!’ input image성북마을살이에 대한 생생한 이야기가 시작된다!일시 : 2016년 10월 21일(금) 오후 2시~4시장소 :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6층 다목적홀문의 :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 02-927-9501www.sbnet.or.kr 마을별 축제 성북구가 들썩들썩! 마을별 축제 한마당이 펼쳐진다!장수마을 골목 벼룩시장일시 : 10월 1일(토) 오후 2시~6시장소 : 성곽 위 평상골목내용 : 장수마을 주민들이 만든 핸드메이드 제품 판매 및 공연정릉 개울장&길장일시 : 10월 1일(토)/8일(토)/22일(토) 오전 11시~오후 5시장소 : 정릉시장 내 정릉천 일대내용 : 전통시장과 시민시장의 상생 장터&가족 마을장터성북동 독서모임 ‘책책책’일시 : 10월 6일(목)~27일(목) 매주 목요일 오후 7시장소 : 성북동주민센터 5층 세미나실내용 : 책 저자와 함께하는 독서모임성북연극협회 제3회 성북페스티벌일시 : 10월 7일(금)~23일(일)장소 : 미아리고개 예술극장 및 성북구청 일대내용 : 젊은 연출가 초청전, 작은 극장 페스티벌, 마을주민 연극제성북동 야생화 탐방 가을편일시 : 10월 8일(토) 오전 11시~오후 2시장소 : 성북동 우정의 공원내용 : 성북동 곳곳의 야생화를 살펴보는 마을탐방길음1동 열린 작은 문화마당일시 : 10월 13일(목) 오후 5시~7시장소 : 해맑은어린이공원내용 : 우리동네 발표마당, 책놀이마당, 전통놀이마당,나눔마당기쁨이 자라는 도서관과 함께하는 소공리 책소풍일시 : 10월 15일(토) 오후 1시~4시장소 : 종암동 극동아파트 주차장내용 : 소통하고 공감하는 우리마을 책잔치 북정마을 월(月)월(Wall)축제일시 : 10월 15일(토)장소 : 북정마을내용 : 메주, 두부 체험행사어린이걷기동아리일시 : 10월 15일(토) 오전 10시 30분장소 : 청수도서관(정릉4동)내용 : 걷다보면 보이는 안전지도, 우리가 그려요!(사전신청 : ☎ 02-2038-4423)장수마을 핸드메이드 페스티벌일시 : 10월 15일(토) 오후 2시~6시장소 : 장수마을 도성마당내용 : 장수마을 주민들이 만든 핸드메이드 제품 판매 및 공연장위전통골목장 요리대회일시 : 10월 15일(토) 오후 5시장소 : 장위1동 향나무공원내용 : 전통장 만들기, 장을 이용한 요리대회 및 요리체험네이처링과 함께하는 최순우 옛집 문화가 있는 날일시 : 10월 26일(수) 오후 7시장소 : 최순우 옛집내용 : 자연을 새롭게 발견하는 최순우 옛집 관찰일기(사전신청 : ☎ 02-3675-3401)와보숑 <주민과 함께 우리동네 독립영화관>일시 : 10월 26일(수) 오후 7시 30분장소 :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6층 다목적홀내용 : 영화 <시선 사이> 공동체 상영아틀리에에서 만나는 조각가 권진규일시 : 10월 29일(토) 오후 4시장소 :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내용 : 권진규 선생의 삶과 예술세계 탐험 및 아틀리에 탐방(사전신청 : ☎ 02-3675-3401) 2016 동 마을축제input imageinput image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3, 각 동마을복지센터 ]]> Sat, 24 Sep 2016 22:55:35 +0000 10 <![CDATA[예비맘을 위한 『걸으며 힐링 숲태교』 ]]> 신청 및 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7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주제 : 전립선비대증의 이해와 관리강사 : 유탁근 교수(을지병원 비뇨기과)일시 : 2016. 10. 12.(수)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선착순 30명)신청 및 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10월 주민주도 성북구민 걷기행사함께 떠나는 가을숲속여행 북악하늘길 걷기일시 : 2016. 10. 22.(토) 09:00~11:30장소 : 성북구민회관 뒤 하늘한마당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신청없이 무료참여)코스 : 북악하늘길(5.5km, 약 1시간 40분 소요)하늘한마당(출발) → 숲속마루 → 하늘마루 → 하늘전망대 → 하늘한마당(도착)주최·주관 : 성북구 걷지우연합회·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성북구협의회행사내용 : 건강체조, 걷기운동, 건강한마당 운영, 경품행사 등찾아오시는 길(주차 불가)지하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 6번 출구 → 버스 1162번 탑승(성북구민회관입구 하차)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 마을버스 01번 탑승(성북구민회관 하차)※ 행사당일 오전 9시까지 오셔야 걷기대회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33 독감! 이젠, 집 근처 지정병원에서65세 이상 어르신 및 장애인 1~3급 대상자(만 9세~64세)는 올해부터 지정 병·의원에서 무료 접종하시면 됩니다.접종기간 : 2016. 10. 4.~11. 15.(병 · 의원 진료시간 내 접종가능)접종대상 및 준비물input image※ 단, 기초생활수급자(만 50세~64세), 국가유공자(본인만) → 보건소에서 접종기간 : 2016. 10. 10.(월)~10. 24.(월) (09:00~17:00, 점심시간 제외(12:00~13:00))준비물 : 신분증과 해당증명서장소 : 보건소 1층 예방접종실접종장소 : 어르신 및 장애인 인플루엔자 지정 병·의원(성북구 총 144개소)※ 지정 의료기관은 성북구 보건소 홈페이지(https://bogunso.seongbuk.go.kr) 또는 아래 문의처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34 동주민센터로 찾아가는 임신·육아 프로그램집 근처에서 태교·양육코칭 받으세요!기간 : 2016. 10~11월장소 : 5개 동주민센터(아래 참조)대상 : 관내 임산부(각 동주민 우선) 및 영유아 가정비용 : 무료input image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04 즐거운 아빠 학교 '아빠에게 말을 걸다'일시 : 2016. 10. 8.(토) 10:00~12:00장소 : 성북구청 4층 성북아트홀대상 : 관내 유아기·아동기 자녀를 둔 아빠 100명신청방법 : 성북구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sbfc.familynet.or.kr)내용 : 음악과 연극이 있는 아빠교육- 아빠가 된다는 것은?- 육아관련 나의 소통 현주소는?교육후 : 즐거운 아빠 학교 교육 수료증 발급(2h)문의 : 성북구건강가정지원센터 ☎ 02-3290-1660 ]]> Sat, 24 Sep 2016 23:09:44 +0000 10 <![CDATA[2016 하반기 자기주도학습 학부모 프로그램 ]]> 제10기 성북구 주민인권학교 수강생 모집모집대상 : 인권에 관심 있는 주민 누구나강의기간 : 2016. 10. 27.(목)~11. 17.(목)(총 4강, 매주 목, 19:00~21:00)강의장소 : 성북배움터(성북구청 3층)신청기간 : 2016. 9. 25.~마감시까지모집정원 : 50명(선착순)접수방법 : 방문 및 전화, 팩스(02-2241-6524), 이메일(humanrights@sb.go.kr)강의일정input image※ 강의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수강료 무료/수료증 발급).접수 및 문의 : 성북구 인권센터 ☎ 02-2241-2192 복지시설 종사자·사회적경제 주체를 위한 인권교육일시 : 2016. 10. 11.(화) 14:00~18:00교육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 중강의실(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상가 3층)교육대상 : 복지시설,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종사자 등수강료 : 무료(교육 이수증 발급)교육내용 input image신청기간 : 2016. 9. 23.(금)~10. 6.(목)신청방법소속기관 일괄 접수 및 개인 신청 모두 가능인권교육신청서(구청 홈페이지) 작성 후 방문접수(성북구청 8층 감사담당관 인권센터) 또는 이메일 제출접수 및 문의 : 감사담당관 ☎ 02-2241-2194, 이메일 : may-1@sb.go.kr 구민정보화교육 10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 구민정보화교육), ※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활용, 스마트폰왕기초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9. 28.(수) 09:00~29.(목)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9. 30.(금)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 Sat, 24 Sep 2016 23:25:00 +0000 10 <![CDATA[도심 곳곳에서 펼쳐지는 서울거리 예술축제 2016 ]]> 예술무대 산 작품, 선녀와 나무꾼수준높은 거리 예술 126회 펼쳐져개막작품으로 선보이는 흐르는 불, 일렁이는 밤은 청계광장~광교 구간 400여 미터에 1,700여 개의 화(火)분이 설치되고 악사가 물 위에서 연주하며 청계천에 최대 규모의 불꽃정원을 만든다. 해외 공동창작품 7개를 비롯해 프랑스, 호주, 스페인, 이탈리아 등 9개국 총 47개의 수준 높은 거리예술공연(126회)도 관람할 수 있다. 유럽 거리축제에서 주목 받는 현대 서커스부터 이색적인 이동형 공연, 설치형 퍼포먼스까지 다양한 장르의 거리예술작품이 준비됐다.특히 전문가들이 주목하는 작품으로는 1998년 노벨상 수상자인 포르투갈의 소설가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를 공연으로 재탄생시킨 극단KTO의 눈 먼 사람들이 있다.이번 축제에서는 시민들이 단순히 관람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거리예술 공연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다수 준비됐다. 시민예술공작단, 시작, 길동이 유랑단등 다양한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약 4,000여 명의 시민들이 함께 만드는 축제로 거듭난다. input imageinput image끝장대로…차도는 닫히고 예술이 열린다폐막일인 10월 2일에는 일 년에 단 하루, 차도가 닫히고 거리에 예술이 열리는 끝.장.대.로를 선보인다.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광화문사거리에서 대한문 앞 세종대로 500m가 통제된다.끝.장.대.로에서는 저글링, 죽마타기, 클라운 페이스 페인팅, 뱃지와 악기 만들기, 손놀이 프로그램 등을 비롯해 18대의 푸드트럭에서 다양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다. 입맛에 맞는 다양한 공연을 즐길수 있는 이번 거리 축제 프로그램은 날짜별로 공연 장소가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꼭 확인해 봐야한다. input image닥터랄라라의 이상한 병원<서울거리예술축제2016 국내외 초청작>input image문의 ☎ 서울문화재단 3290-7090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고하세요!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가습기살균제 가해 기업의 구상권 청구를 전제로 피해자에 대한 의료비·장례비·생활자금·간병비를 우선 지원하고 있다. 신청대상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또는 그 유가족지원범위 : 폐질환 검진·치료를 위해 지출한 의료비, 및 장례비, 생활자금, 및 간병비신청방법 : '가습기살균제 피해 신청' 검색, 피해자 지원 사이트에서 '폐질환 인정신청서' 다운로드문의 ☎ 380-0575, relief@keiti.re.kr 2016 함께서울 정책 박람회 열려 천만 서울 시민의 정책 축제 ‘2016 함께서울 정책박람회’가 ‘시민의 삶과 마음을 담다’를 주제로 10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광장과 서울 시내 곳곳에서 열린다. 기간 : 2016년 10월 6일(목)~10월 8일(토)장소 : 서울광장 및 시 전역주제 : 시민의 삶과 마음을 담다프로그램 : 개막식, 정책 전시, 광장은 시장실, 시민은 시장실, 서울 해결책방, 서울 사람책방 등홈페이지 : www.seoulideaexpo.org문의 ☎ 운영사무국 549-6321~3 2016 서울창업박람회 개최창업활성화를 위해 발굴한 우수 창업기업을 소개하고 국내·외 창업전문가 및 성공 창업가들을 초청하여 컨퍼런스를 개최, 기업가 정신 함양과 창업 붐 조성 및 저변 확대를 위한 ‘서울창업박람회’가 개최된다.일 시 : 2016년 10월 11일(화)~12일(수) 10시~18시장 소 : 동대문디자인프라자(DDP) 알림1·2관, 국제회의장행사내용 : 개막식, 박람회, 창업 컨퍼런스, 기업설명회(IR), 강연·토크쇼, 우수제품전시문의 ☎ 디지털창업과 2133-47722016]]> Sat, 24 Sep 2016 23:42:28 +0000 10 <![CDATA[마을 축제를 즐기며, 제안하며, 결정하며 마을민주주의를 노래하다 ]]> 문의 : 마을민주주의과 ☎ 02-2241-2204 생활쓰레기 배출(수거)요일 안내생활쓰레기(일반 및 음식물쓰레기)는 아래의 배출요일에 맞춰 종량제봉투에 담아 내 집 또는 내 점포 앞에배출하여 주시고, 재활용품은 분리하여 투명(흰색)봉투에 담아 별도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 및 음식물쓰레기 배출(수거)요일input image재활용품 배출(수거)요일input image※ 수거여건상 한시적으로 월곡1동의 경우 오패산로3길 기준 좌측(서쪽) 월·수·금, 우측(동쪽) 화·목·토, 장위2동의 경우 돌곶이로 기준 좌측(서쪽) 월·수·금, 우측(동쪽) 화·목·일 수거※ 삼선동의 경우 화·목·일로 수거일자가 통일되며, 배출 및 수거 시간이 변경됨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내 차처럼 쓰는 ‘나눔카’ 이용하세요나눔카란 개인이 자신의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고도 필요할 때 필요한 시간만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동이용 가능한 차량을 제공하는 공유경제 서비스입니다.이용자 : 만 21세 이상, 운전경력 1년 이상 누구나이용시간 : 365일 24시간 30분 이상 10분(30분) 단위 이용이용요금input image※ 이용요금은 차종, 사업자별 상이할 수 있으며 상세요금은 나눔카 사업자 홈페이지 참조이용방법1. 회원가입 : 기본정보, 운전면허정보, 결제카드 등록2. 예약하기 : 나눔카 사업자 홈페이지, 스마트폰 앱, ARS 이용 예약3. 차량이용 : 회원카드 스마트 앱을 이용하여 차량문 제어 후 이용4. 반납하기 : 대여했던 주차장으로 반납나눔카 이용자 혜택- 대중교통 이용 후 나눔카 이용 시 요금할인- 티머니 선불 교통카드는 회원카드로 사용가능- 저소득층 나눔카 이용요금 지원 등 바우처 제공- 차량매각 신청자 인센티브 제공- 이용자 마일리지 등 인센티브 제공서울시 나눔카 사업자 안내- 그린카 : www.greencar.co.kr ☎ 080-2000-3000- 쏘카 : www.socar.kr ☎ 1661-3315- 한카 : www.hancar.net ☎ 1661-8206- 시티카 : www.citycar.co.kr ☎ 1661-7766성북구 소재 나눔카 주차장 위치확인- 나눔카 사업자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폰 앱- 서울교통정보센터 http://topis.seoul.go.kr문의 : 마을사회적경제과 ☎ 02-2241-3895(사업문의)서울시 나눔카 사업자(이용문의) 전통시장의 맛과 멋을 만나다제1회 성북구 전통시장 한마당 개최기간 : 2016. 10. 15.(토) 10:00~20:00개최장소 : 삼선교 분수마루(한성대입구역) 및 성북천 일대참여시장 : 성북구 6개 전통시장(돈암, 정릉아리랑, 정릉, 길음, 장위전통, 석관황금)주요 행사내용- 전통시장 상품 홍보·판매·체험 행사- 전통시장 인기 먹거리 장터- 주민 노래자랑, 인디 공연, 고객 사은 이벤트- 성북천에 놀러온 개울장 ! 프리마켓(참여 문의 : ☎ 02-941-3683)주최/주관 : 성북구청/성북구 전통시장 상인연합회(정릉신시장 사업단)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73 수도요금 납부 편리한 제도 이용하시고, 감면도 받으세요신청방법 : 전화, 인터넷, 방문신청- 전화신청 : 다산콜센터(국번없이 ☎ 120), 중부수도사업소 민원실(☎ 02-3146-2000)- 인터넷신청 :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i121.seoul.go.kr) :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신청 E-tax 홈페이지 및 인터넷 지로사이트 (www.giro.or.kr) : 자동납부만 가능- 방문신청 : 중부수도사업소 및 금융기관(자동납부만 가능) - 수도요금 고지서, 신분증, 통장, 도장 지참수도요금 고지서를 전자고지로 받으면 1석3조의 효과!- 상수도 요금의 1% 감면(최소 200원~최대 1,000원)- 종이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문의 : 서울중부수도사업소 ☎ 02-3146-2000 알고 계세요? 도장이 필요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한 본인서명사실확인서를 발급 받으세요.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본인이 직접 서명하고 기재한 내용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하며, 전국 시·군·구청 민원실 및 읍·면·동 어디서나 발급 가능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종암경찰서가 「치안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최고로 선정되었습니다input image조사기간 : 2016. 6. 8.~7. 21.조사기관 : 서울경찰청 고객만족 모니터센터조사방법 : 접촉고객 중 무작위 추출한 약 3,700명 대상 전화 설문조사조사내용 : 분야별 처리절차 및 과정, 담당자 응대태도, 서비스 품질, 서비스 환경 등문의 : 도시재생디자인과 ☎ 02-2241-2943종암경찰서 생활안전과 ☎ 02-3396-7522 주택연금이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습니다주택연금 특징- 평생 거주, 평생지급(선택시)- 국가가 보증- 모자라면 공사가 부담, 남으면 상속- 세제혜택(재산세 25% 감면)- 대출금리가 낮음내집연금 3종세트(2016. 4. 25. 출시)문의 : 한국주택금융공사 서울북부지사 ☎ 02-3499-3341~3 간첩, 테러범,방산스파이, 사이버테러,군사보안 신고.상담은 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 1338(신규번호, 2016. 10. 1. 부터)또는 ☎ 1661-1133(가장 가까운 군부대)주민 여러분의 소중한 신고정신은 신속한 작전종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Sat, 24 Sep 2016 23:53:14 +0000 10 <![CDATA[가보고 싶은 길, 뒷산이 당신에게, 청수도서관 ]]> 뒷산이 당신에게손명찬(삼선동)산길에도 세월이 갑니다. 풀들과 꽃들, 나무들과 그 열매들이 순환의 질서 속에서 울창한 숲을 이루었습니다. 그동안 당신을 오래도록 만나왔습니다. 늘 우리에게 미소하며 나무며 꽃들의 이름을 알고, 진가를 알아주는 당신을 많이 좋아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기쁠 때, 근심에 찼을 때, 동행이 있을 때와 없을 때의 걸음걸이와 표정이 어떻게 다른지도 기억합니다.당신을 풍경삼아 계절마다 색을 바꾸는 것도 즐거운 일이었습니다. 우리 앞에 내려다보이는 당신의 집이 있다는 이유로 뒷산이라 불려도 좋았습니다. 큰 산도 아니고 이름 멋진 산도 아니더라도 힘겹게 넘어가야 의미가 되는 부담스런 산이 아니어서 좋았습니다. 밤이면 동네에서 가장 외진 곳이 되는 운명일지라도 말입니다.저기, 오늘도 당신이 올라옵니다. 우리 중에서 벌써 환호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꽃들은 분주히 단장하고 잎들은 초록을 내뿜습니다. 다람쥐는 당신 앞을 가로질러 뛰어갈 준비를 합니다. 어서, 올라오세요.input image 이달의 그림청수도서관임진규(정릉4동)input image책 읽기 좋은 계절이 되었습니다. 가까운 도서관에서 우연을 수집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Tue, 25 Oct 2016 15:55:56 +0000 11 <![CDATA[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시대 찾아가는 복지, 따뜻한 이야기를 품다 ]]> 올해 1년 동안 주민들이 찾은 청소년, 지역경제 활성화, 주거환경, 마을관광 등 9개의 분야 100개의 제안사업을 놓고 주민 100인이 모여 원탁회의를 진행합니다. 주민이 찾고, 주민이 결정하고, 주민의 뜻으로 해결하여 마을민주주의를 열어가는 정릉2동 마을총회에 함께 참여해주세요.마을총회란?마을의 주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의견을 나누고 마을계획을주민투표로 결정하는 것.일시 : 2016년 11월 5일(토) 15:00장소 : 숭덕초등학교 백송관(체육관)문의 : 정릉2동 마을계획단(마을코디) ☎ 02-2241-5345 성북구, 재난·재해 대비 종합훈련실시input image심폐소생술 훈련 장면성북구가 지난 9월 24일 민·관·군 합동으로 ‘2016년재난·재해 대비 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성북구 자율방재단, 성북소방서, 지역주민등 5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운산 운동장에서 오전부터 실시되었으며 특히, 자율방재단의 역량강화를 위한 심폐소생술, 매듭법, 제설작업, 지진발생시 행동요령 등 재난·재해 대비 훈련뿐만 아니라 단체 제기차기, 노래자랑등 단원 간 친목과 화합을 다지는 부대행사도 펼쳐졌다. 2013년 자율방재단 종합훈련이 개최된 이래 네 번째 맞은 이번 훈련에는 성북구청, 성북구 자율방재단, 성북소방서 56사단 220연대 등이 참여해 명실공히 민·관·군이 함께 하는 재난·재해 대비 훈련으로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3614        ]]> Tue, 25 Oct 2016 16:10:49 +0000 11 <![CDATA[한복 입고, 제기 차고! 추석이 즐거워요 外 ]]> 성북웰니스요양병원(대표 박영숙)은 추석을 일주일 앞둔 9월 7일 훈훈한 명절을 위해 ‘사랑의 쌀’ 10kg백미 50포를 보문동주민센터에 기탁하여 지역사회에 아름다운 감동을 안겨줬다. 이날 기탁된 쌀은 관내 저소득 취약계층 50세대에 골고루 전달될 예정이다. 성북웰니스요양병원 관계자는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즐거운 명절에도 어려움을 겪는 이웃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듣고 매우 안타까웠다”며 “우리 이웃들이 행복한 추석을 보내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정릉1동]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280음악으로 소통하고 하나되다지난 9월 24일 정릉1동주민센터 앞마당에서 클래식과 구성진 우리 가락이 함께 울려 퍼졌다. 이날 음악회는 국악과 클래식이라는 장르의 장벽을 허무는 시도를 넘어 그동안 소통이 단절되었던 아파트 주민과 일반주택 주민간의 화합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었다. 무대는 국민대학교 클래식팀, 정릉1동 자치회관 경기민요팀, 북한산 정릉음악회 기타공연팀 등 지역의 인적자원들로 구성되어 주민들의 귀와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난 6월 이음마을 정 나눔장터에 이어 음악회까지 개최한 이음마을 추진위원회 이용진 위원장은 “오늘처럼 음악으로 소통하고 하나가 되는 이웃과의 만남으로 예전처럼 정을 나누며 사는 마을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고 소감을 밝혔다.명예기자 우은주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60도시재생, 지역주민 역량 강화가 힘!input image지난 9월 8일 오후 2시 정릉3동주민센터에서 협동조합 교실이 열렸다. 서울우유, 한살림, 신협,수협, 생협 등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협동조합이 많지만 지역주민들이 경영 참여를 통한 기회를 제공받기에는 거리감이 있었는데,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주민들의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의 기회가 온 것이다. 도시재생 지역 주민들의 필요와 욕구를 소통과 화합으로 이끌어내는 이번 협동조합 교육에 삼덕마을 대표단과 정든마을 대표단 그리고 각 마을 활동가들이 참석하여 좋은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가 되었으며, 지역주민 역량 강화를 통해 도시재생의 디딤돌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명예기자 김수희 [종암동] 종암동주민센터 ☎ 02-2241-5540추석 사랑의 반찬 나눔했어요지난 9월 12일 종암동 새마을부녀회에서는 그동안 바자회 등을 통해 마련된 기금으로 어려운 이웃 분들에게 맛있는 반찬을 만들어 나누어 주는 행사가 열렸다.이번 추석은 연휴기간이 길고 명절에는 상가도 문을닫아 반찬이 마땅치 않은 애로사항이 있어, 바자회 기금으로 열무김치·두부부침·깻잎김치·견과류장조림·돼지불고기 등 부녀회원들이 직접 만든 반찬 및 송편 등을 새로 구입한 반찬통에 담아서 시장바구니에 넣어 깔끔하게 드리니 받으시는 어르신들도 좋아하고 흐믓해 하셨다. 이웃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는 따뜻한 정이 주변사람들 모두의 마음까지 훈훈하게 해 주었으며, 앞으로는 이와 유사하게 필요한 행사를 연계하여 일회적으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명예기자 김춘옥 [월곡2동] 월곡2동주민센터 ☎ 02-2241-5633사랑 담은 한 그릇! 월곡2동 외식나들이 사업지난 7일, 월곡2동에 위치한 ‘순둥유황오리’ 음식점에서 생일축하 노래가 울려 퍼졌다. 지난해 9월부터 음식점 사장의 후원으로 분기마다 생일을 맞으신 어르신 8명을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는 이 행사는 올해 벌써 세 번째를맞이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관내 ‘삼백집’ 음식점에서도 9월 21일, 5월에 이어 두 번째로 취약계층 이웃 30명을 초대하여 따뜻한 콩나물국밥을 대접했다. 이렇듯 월곡2동은 대학가 및 상가에 음식점이 다수인 이점을 살려 2015년부터 음식점과 연계하여 소외된 이웃에게 무료로 식사를 제공하는 ‘월곡2동 외식나들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7회, 100여 분이 따뜻한 한끼를 대접받았다. 현재 가맹점은 2곳뿐이지만 모든 직원들이 우리동네 주무관 활동 등을 통하여 발굴에 힘쓰고 있다. [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5640깨끗한 동네 만들기 특별대청소 실시장위1동주민센터에서는 지난 9월 21일 오전 7시부터8시까지 추석 연휴기간 중 적체된 각종 생활쓰레기를일제히 수거하는 ‘깨끗한 동네만들기 특별대청소’를 실시했다. 이날 대청소에는 주민, 통반장, 직능단체원 등 80여 명과 지역 구의원 등이 함께 참석하여 골목에 쌓인 각종 오물·쓰레기 등 약 2t을 수거했고, 주택가 미관을 해치는 불법광고물과 첨지류를 제거하는 등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많은 주민들이 구슬땀을 흘렸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한 주민은 “연휴기간 중에 쌓인 쓰레기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고 불편했는데 이번 청소로 동네가 깨끗하게 되니 정말 기분이 좋아졌다”고 말하며, “다음 청소 행사에도 꼭 참여하여 깨끗한 우리 동네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명예기자 문영임 [장위2동] 장위2동주민센터 ☎ 02-2241-5680장위아띠 나눔바자회 개최input image장위1동주민센터에서는 지난 9월 21일 오전 7시부터8시까지 추석 연휴기간 중 적체된 각종 생활쓰레기를 일제히 수거하는 ‘깨끗한 동네만들기 특별대청소’를 실시했다. 이날 대청소에는 주민, 통반장, 직능단체원 등 80여 명과 지역 구의원 등이 함께 참석하여 골목에 쌓인 각종 오물·쓰레기 등 약 2t을 수거했고, 주택가 미관을 해치는 불법광고물과 첨지류를 제거하는 등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많은 주민들이 구슬땀을 흘렸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한 주민은 “연휴기간 중에 쌓인 쓰레기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고 불편했는데 이번 청소로 동네가 깨끗하게 되니 정말 기분이 좋아졌다”고 말하며, “다음 청소 행사에도 꼭 참여하여 깨끗한 우리 동네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명예기자 강희자]]> Tue, 25 Oct 2016 19:49:34 +0000 11 <![CDATA[성북구의회 제245회 임시회 폐회 ]]> 안향자 의원문화재단이 설립된 지 4년이 지난 지금 문화재단의 역할에 대하여다시 논의해봐야 할 시점이다. 문화재단의 설립목적 첫 번째를 보면 문화정책 개발 및 사업실행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문화재단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우리구의 문화정책 수립의 큰 방향과 기조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우리구의 자생 민간문화단체들이 지역사회와 끊임없이 소통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등 지원하는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김태수 의원, 학교 내 석면 실태조사 및 석면피해 방지대책 강구 제안input image김태수 의원2016년 1월 초 보도 자료에 따르면 전국 20,781개 학교 중 69.3%의 건물이 석면 자재가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석면관리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므로 성북구청장은 학교 내 석면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 관내 학교에 대한 석면 실태를 조사하여 해당 학교장과 협의하여 적절한 석면피해 방지대책을 강구해야 하고, 학교의 석면정보 통계 관리 및 종합대책 수립과 예산 확보 방안 등을 포함한 세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성북구의회 제245회 임시회 폐회input image성북구의회(의장 정형진)는 10월 5일부터 13일까지 9일간의 일정으로제245회 임시회를 열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구정 질문과 5분 자유 발언, 11건의 안건 심사가 이루어졌다.             안건 심사 결과원안가결▲ 서울특별시 성북구의회 회의규칙 일부개정규칙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민원조정위원회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국외도시 자매교류 승인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구세 감면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 명칭 및 구역획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공유재산관리계획안 ▲ 도시관리계획(도시계획:학교) 변경을 위한 의견청취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범죄피해자 보호 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의회 위원회 조례 일부개정조례안(대안)수정가결▲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행 활성화 및 확산에 관한 조례안의견채택▲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 서울형 도시재생시범사업 활성화 계획 구의회 의견청취안 구정 질문(질문 순서순)※ 구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 전문은 성북구의회 홈페이지(www.sbc.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유경상 의원, 우리나라 심각한 저출산 대책 촉구input image유경상 의원2015년 성북구 출산율은 0.95명으로 서울시평균인 0.98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며, 전국 평균 1.24명에는 훨씬 미달된다. 저출산 배경에는 청년실업과 만혼, 주택, 보육,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 등 사회구조적문제가 종합적으로 얽혀 있어, 지방자치단체들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출산율이 바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성북구는 사람이 희망인 도시이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난임수술 지원 사업 확대, 난임 부부 한의 치료사업, 출산 여직원 근무평점 가점, 저출산 위기대응 T/F팀 구성, 아이 있는 여직원이 근무하기 좋은 직장 분위기 조성, 생명 존중 문화 분위기 확산 등의 정책을 추진하여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성북!」 이 되기를 바란다. 목소영 의원, 직원 인권교육 확대 촉구input image목소영 의원성북구 인권증진 기본조례에 따르면 구청장은 성북구 소속 공무원을 포함한 모든 직원에게 연 2회 이상 인권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매년 꾸준히 인권아카데미와 인권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공무원들이 인권을 배우고 이해해야만 성북구의 인권정책들이 달성될 수 있다. 인권교육을 직원 필수교육으로 규정하고,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규모의 교육을 의무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더불어, 성북구 인권증진 기본조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권영향평가서가 의회에 제때에 보고되지 못하고 있다. 성북구의회에서도 인권의 눈으로 조례와 정책, 예산을 심의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어 주길 바란다. 5분 자유 발언이은영 의원, 전 구민 대상으로자전거 보험 가입 제안input image이은영 의원자전거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사고 발생률도 높아지고 있는데, 도로교통공단 자료에 의하면 우리구 사고발생 건수는 2014년도 117건에 부상자 124명, 2015년도는 123건에 부상자 수는 127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자체의 자전거 보험 가입은 2009년 창원시를 시초로 현재 70여 개 지자체에서 시행중이다. 구차원의 자전거 보험은 그동안구축해 온 자전거 인프라와 함께 맞물려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효과적인 정책이 될 수 있다. 구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교통난 해소와 환경보호 등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자전거 이용을 권장하기 위하여 구민을 대상으로 한 자전거 보험 가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 의원 발의 현황(의안 번호순)성북구의회 회의규칙 일부 개정규칙안, 김원중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김원중 의원(김률희·김태수·박학동·송대식·송영옥·유경상·이은영·진선아· 김원중 의원 발의)김원중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의회 회의규칙이 일부개정되었다. 개정된 규칙은 의장·부의장 선거를 무기명 투표로하는 것과, 후보자 등록·투표용지의 후보자 게재 순위·정견발표 등을 삭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원중 의원은 “후보자 등록 및 기표방법에 의한 의장·부의장선거 방식을 개선하여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선거 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성북구 범죄피해자 보호 조례안, 권영애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권영애 의원(김일영·김춘례·김태수·목소영·박학동·송영옥·안향자·오중균·이광남·이은영·윤만환·진선아·권영애 의원 발의)권영애 의원의 대표발의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범죄피해자 보호 조례가 제정되었다. 제정된 조례는 조례의 목적 및 정의, 범죄피해자 보호와 지원에 관한 구청장의 책무 규정, 재정지원, 비밀 준수 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권영애 의원은 “범죄피해자 보호법에 따라 구청장의 책무 등을 규정하고,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함으로써 구민의 인권 및 복리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 Tue, 25 Oct 2016 20:06:45 +0000 11 <![CDATA[성북이랑 공유하셰어(share) ]]>     성북구민은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공유 서비스 이웃과 함께 나누는 동행(同幸) 성북의 모습입니다input image마을 행사물품 걱정, 이제 그만~마을장터, 체험활동, 홍보부스 운영 등 마을행사에 잠깐 쓰는 물품들, 이제는 사지 말고 공유하세요공유물품 : 캐노피천막, 파라솔, 접이식 테이블, 의자, 전동드릴, 공구류 등 대여기간 : 1회 최대 3일(1회 연장 가능) ※ 사용료 : 1,000원~10,000원문의 : 길음1동마을복지센터 ☎ 02-2241-5444, 길음물품공유지원센터 ☎ 02-2241-5459 적적하신 어르신, 주머니가 가벼운 대학생 함께 살아요남는 방이 있는 어르신과 주거공간이 필요한 대학생을 연결하여, 대학생은 저렴한 비용으로 방을 사용하고 어르신에게 필요한 봉사활동을 제공합니다.문의 : 주택정책과 ☎ 02-2241-2704 빌려서 내차처럼 쓰는 나눔카 들어보셨나요?input image갑자기 급한 약속이 생겼을 때 또는 장을 볼 때 필요한 시간만큼 나눔카를 이용할 수 있어요.성북구 나눔카 운영 및 이용은 http://topis.seoul.go.kr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문의 : 마을사회적경제과 ☎ 02-2241-3895         직접 만드는 살림살이 어떠세요?input image버려진 폐가구를 리폼하여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가구를 만들 수 있는 아파트 내 공방이 동행성북에 무려 5개나 있다고 합니다. 공방 위치 궁금하시다구요?문의 : 주택정책과 ☎ 02-2241-2705 비어있는 시간대, 이웃과 함께 ‘주차장’ 사용해요평소에 주차문제 때문에 고민한 적 많으시죠? 낮에는 비어있는 아파트 주차장을 필요한 사람에게 빌려주고, 회사 근처 주차장을 대여해주는 사람을 소개받아 주차공간을 공유해요.이용방법 : Google play와 App store에서 ‘모두의 주차장’ 앱 다운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482, 성북구도시관리공단 ☎ 02-914-2008, 모두의주차장 ☎ 02-1899-8242 모임공간이 필요하세요?우리 동네 마을계획을 세울 때, 친구들과 모임을 하고 싶을 때 체육시설, 회의실, 강의실 등 공간을 공유해드립니다.이용기간 : 상시(평일 09:00~18:00) ※ 별도 문의 후 야간, 주말 이용가능대관장소 : 동주민센터 강당 및 회의실 등 문의 : 마을민주주의과 ☎ 02-2241-4357 도서관에서 생활 공구도 빌려 드려요집안에 액자 하나를 걸고 싶은데 망치가 없어 새로 산 경험 있으시죠? 성북정보도서관과 아리랑정보도서관에서 책뿐만 아니라 공구도 빌려드립니다.이용료 : 공구가격에 따라 상이 (보증금 5,000원~20,000원 / 대여료 500원~2,000원) 문의 : 성북정보도서관 ☎ 02-962-1081, 아리랑정보도서관 ☎ 02-3291-4990 아이들 장난감 공유 하실래요?input image새로운 장난감이 필요한 우리 아이를 위해 아동친화도시 성북구에서는 육아용품을 공유합니다.길음물품공유센터 ☎ 02-2241-5458 아이조아 ☎ 02-918-8080 부모지원센터 ☎ 02-6959-8256 sb 장난감도서관 ☎ 02-2241-4851 ]]> Tue, 25 Oct 2016 15:23:20 +0000 11 <![CDATA[1959년 성북동 그땐 그랬지 ]]> 조정래 대하소설 『한강』 속에 그려진 성북동 풍경대하소설 『태백산맥』과 『아리랑』의 작가 조정래(1943~ )는 1959년 보성고등학교 입학차 상경한 후 대학교 4학년 때까지 성북동 산동네에 살며 매일 물지게를 지고 산비탈을 오르내렸다. 대학 졸업 후엔 아내 김초혜 시인과 함께 부부 교사로 동구여자상업고등학교(현 동구마케팅고등학교)에 재직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 데뷔한 것도 이 학교에서 근무할 때였다. 그가 1998년 한겨레신문에 연재를 시작한 대하소설 『한강』의 초반부에 등장하는 1959년 성북동의 풍경 묘사는 그의 고학생 시절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쓴 것이다. 아래 인용문은 소설에서 형 ‘유일민’이 막 광주에서 상경한 동생 ‘유일표’에게 성북동을 소개하는 대목이다. “싼 방을 찾으라고 했으니까 멀고 불편한 것은 각오해야 돼. 우리가 갈곳은 이 골짜기길을 따라 한참을 올라가야 하는데, 그전에 여기가 어딘지부터 대충 알아두는 게 좋아. 그러니까 말야 …(중략)… 곧 알게 되겠지만, 사실 이 성북동 골짜기마다 시골서 몰려온 사람들로 만원사례지. 신설동 산동네가 그런 것처럼. 그런데 사람들은 날마다 서울역에 내리지, 어디다 움막이라도 쳐야겠지, 그러다 보니까 여기보다 더 변두리인 미아리나 종암동, 청량리 같은 데로 밀려가는 수밖에. 나라나 서울시에서 속수무책인 채로 무허가 판자촌이 생겨나고 있는 판이지. 그런 곳에 비하면 여긴 천국인 셈이야. 시내 가깝겠다, 전차 탈 수 있겠다, 버스에 비해 값싼 전차를 탈 수 있다는 건 가난뱅이들한테는 큰 혜택이 아닐 수 없거든. 그런 건 차차 살아가면서 느끼게 될 거고, 그럼 슬슬 움직여볼까.” ― 조정래, 『한강』 1권 1부 중에서읽을수록 그 시절, 지금보다는 지붕과 담장의 높이가 퍽 낮았던, 너나할 것 없이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살던 성북동의 모습이 완연하게 머릿속에 그려진다.  그렇담 오늘 우리 주변의 풍경은 무슨 언어로 그려낼 수있을지…….  문득 거리로 뛰쳐나가 가뭇없이 사라지고 말, 지금 이 시간과 공간들을 글속에 담아 잡아두고 싶다.(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input image조정래 대하소설『한강』 (2001) 표지input image<성북동 쌍다리 풍경>성기점(1939~) 1961년 작 성북구민회관 두 번째 어린이·가족 뮤지컬 <로봇똥>  input image일시 : 2016. 11. 16(수)~19.(토)(수·목 : 10:20, 11:20 / 금요일 : 10:20, 11:20, 16:00 / 토요일 : 11:00, 14:00)장소 : 성북구민회관 대강당주최/주관 : 성북문화재단(성북구민회관), 문화기획 이유대상 : 유아·미취학 아동(24개월 이상)~초등학교 6학년티켓 : 일반 20,000원(구민할인 9,000원, 인터파크 12,000원, 쿠팡/위메프 9,000원,20명 이상 단체할인 5,000원)문의 : 성북구민회관 ☎ 070-8644-8297 / 02-988-3603 찾아가는 미술감상교실 <매듭으로 그리는 그림>  input image함연주,<blooming i> , 서울시립미술관 소장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10월 25일부터 서울시립미술관과의 협력 기획전시 『집요한 손』 展을 통해 일관되고 반복적인 손의 작업으로 오랜 시간 숙성시켜온 화업(畵業)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작품 13점이 전시됩니다. 이와 연계하여 초등학생 대상 찾아가는 미술감상교실 <매듭으로 그리는 그림>이 11월 12일(토) 진행되며, 사전 접수를 통해 참가 신청할수 있습니다.<2016년 SeMA Collection : 집요한 손-Tenacious Hand>전시기간 : 2016. 10. 25.(화)~11. 20.(일)(매주 월요일 휴관)전시장소 : 성북구립미술관 제1전시실(3F)관람료 : 무료찾아가는 미술감상교실<매듭으로 그리는 그림> (강사:최선영)대상 : 초등학생 20명일시 : 2016. 11. 12(토) 10:30~11:30접수기간 : 2 016. 10. 25.(화) 10:00부터 선착순문의 : 성북구립미술관(성북구 성북로 134) ☎ 02-6925-5011 2016 성북 문인사(史)기획전 조지훈편청록파 시인 조지훈이 성북에 남긴 발자취와 작품을 담은전시를 진행합니다. 지역 문화예술인의 사랑방 역할을 했던 조지훈 시인의 성북동 방우산장 스토리와 작품 세계를 다채로운 시청각 자료로 풀어낼 예정입니다.일시 : 2016. 11. 16.(수)~12. 9.(금) 10:00~18:00장소 : 성북예술창작터(성북구 성북로 23)입장료 : 무료문의 : 성북문화재단 정책협력팀 ☎ 070-8644-8079 2016 겨울학기 수강생 모집 안내[성북여성회관 : 11월~2월]접수기간 : 2016. 11. 11.(금)~선착순 마감  input image※ 그 외 프로그램은 성북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성북문화원 : 12월~2월]접수기간 : 2016. 11. 1.(화)~11. 30.(수)무료참관기간 : 2016. 10. 24.(월)~10. 28.(금)접수방법 : 인터넷 및 방문접수(성북문화원 2층 사무국)강좌내용- 성인 강좌 : 경기민요, 선소리산타령, 대금·단소, 장구, 규방공예, 스포츠댄스, 한국무용(초·중급, 심화), 생활요가, 사군자, 수묵산수화(A·B), 한글서예, 한문서예(A·B), 동화구연가/시낭송가 양성과정, 문예창작실기, 기초소묘에서 유화까지, 유화로 그리는 인물화, 수채화,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 원어민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고급)- 어린이 강좌 : 어린이역사교실(초4~초6), 어린이한자교실(초1~초4), 원어민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유아발레(Level 1, Level 2), 어린이 놀이미술(A·B)- 야간강좌 : 원어민중국어회화(기초), 생활요가※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www.isbcc.or.kr)를 참고하여 주세요.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http://www.isbcc.or.kr 성북구 마을시민교육 참여자 모집성북구 마을시민교육센터에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과 함께 마을에서 사람을 길러내는 학습공동체 실현을 위한 마을시민교육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input image일시 : 2016. 11. 3.~12. 8.(매주 목요일 19:00~22:00)※ 11. 18.~19.(1박 2일) 강원도 인제군 DMZ 평화생명동산 답사장소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강당(안암로 145 고려대 한국학관)수강료 : 무료대상 : 성북구 거주 구민 또는 성북구 활동가 20대~50대접수방법 : 전화(☎ 02-2241-2420~5) 또는 인터넷 접수(성북구청홈페이지 ‘성북구 소개’ ▶ ‘구정소식’ ▶ ‘모집강좌’)모집방법 : 선착순 50명 ※ 일정, 세부내용, 강사진 등은 내부사정 및 강사의 사정 등에 의해 변경 가능수료특전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장 및 구청장 명의 수료증을 드립니다.2) 본 교육과정을 이수한 모든 분에게 향후 성북구 마을시민교육 강사 및 활동가로 활동하기를 희망할 시 우선으로 기회를 제공합니다.문의 : 성북구 평생학습관 마을시민교육센터 ☎ 02-2241-2420~5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02-3290-1610~3 부모를 위한 ‘북스타트(BookStart)’ 대특강에 참여하세요!아동친화도시 성북구에서는 올바른 자녀 양육을 위해 고민하는 모든 부모님들을 응원하며 독서 및 육아 전문가를 초빙해 부모를 위한 북스타트 대특강을 진행합니다.  접수 : 강좌별 접수일부터 성북정보도서관 방문 및 전화, 온라인 200명 선착순위치 및 장소 : 성북구청 및 성북구보건소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강의일시 : 2 016. 11. 8.(화) 10:30~12:00강사 : 조선미 박사(아주대병원 정신과학센터)장소 : 성북구청 다목적홀접수일 : 2016. 10. 18.~아이 마음과 소통하고 북돋는 그림책 읽기강의일시 : 2016. 11. 29.(화)10:30~12:00강사 : 이임숙 소장(맑은숲아동청소년상담센터)장소 : 성북구보건소접수일 : 2016. 11. 10.~문의 : 성북정보도서관 북스타트 담당 ☎ 070-8644-8043, 02-962-1081 2016년 성북구 청소년 노동인권 특강청소년 아르바이트, 어리다고 함부로 하면 안돼요!모집대상 : 청소년 및 청소년 노동 인권에 관심 있는 주민 누구나강의장소 : 성북배움터(구청 3층)강의일정 : 2016. 11. 11.(금) 17:00~20:00수강료 : 무료(수료증 발급)모집정원 : 40명(선착순)강의내용input image신청기간 : 2016. 10. 17.~마감시까지접수방법 : 방문 및 전화, 팩스(☎ 02-2241-6524), 이메일(humanrights@sb.go.kr)접수 및 문의 : 성북구 인권센터 ☎ 02-2241-2192 뮤지컬 멘토링 무료 공연 안내관내 청소년들과 대학(원)생 그리고 현장의 뮤지컬 전문가들이 함께한공연 뮤지컬 [Yesterday]가 아리랑시네센터 3층 3관에서 진행됩니다 .일시 : 2016. 11. 5.(토) 19:00 / 11. 6.(일) 15:00장소 : 아리랑시네센터 3층 3관(동선동)문의 : 청소년문화공유센터 ☎ 070-8644-8122 제5회 만화의 거리 축제 ‘재미로 놀자’모두가 남산 도깨비 핼러윈 축제의 도깨비가 되고 주인공이 되는 재미가 있는 ‘재미로’에 놀러오세요.기간 : 2016. 10. 29.(토)~10. 30.(일) 10:00~18:00 장소 : 명동역 3번 출구~서울애니메이션센터행사내용- 볼거리 : 애니센터 실내·외 공연, 탈인형/코스프레 퍼레이드, 거리 공연 등- 즐길거리 : 페이스 페인팅, 캐리커처, 플리마켓 등 다양한 체험 이벤트- 먹을거리 : 푸드트럭 등 다양한 이색 먹거리문의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 02-3455-8314]]> Tue, 25 Oct 2016 20:38:29 +0000 11 <![CDATA[갑자기 어려울 때 힘이 되는 긴급복지 지원 ]]> http://sbtv.kr로 접속방송시간 - 본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다시보기 : 홈페이지 내 [성북마을TV] → [프로그램] 게시판편성표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갑자기 어려울 때 힘이 되는 긴급복지 지원긴급지원사업이 무엇인가요?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에게 생계?의료?주거지원 등 복지서비스를 신속하게 일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누가 긴급지원 대상이 되나요?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경우[위기상황]-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 수용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주소득자의 실직, 휴·폐업으로 가구의 생계유지 등이 곤란한 경우(종합소득금액, 근로기간 등 기타 기준 별도)-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해 의료비 지원이 필요한 경우  · 단, 5대 중증질환(암, 희귀난치, 심장, 뇌혈관, 중증화상) 의료비 지원 사업은 타 법률 지원 우선 원칙에 의거하여 「중증질환 재난적 의료비 지원 사업」  해당으로 건강보험공단에 우선 신청  · 재난적 의료비 지원 탈락 대상자에 대해 긴급 의료 지원 검토 가능- 화재 등으로 거주하는 주택·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경우- 단전되어 1개월이 경과한 경우-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유 및 지자체장이 인정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소득·재산기준]- 소득 : 기준중위소득 75% 이하- 재산기준 : 13,500만원(일반재산 + 금융재산)- 금융재산 : 예금, 적금, 증권 등 6개월 동안의 평균잔액 500만원 이하(주거지원 700만원 이하)지원종류별 지원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지원종류 : 의료비, 생계비, 주거비 등 지원(부가급여 - 교육비, 장제비, 해산비 등)※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원칙적으로 긴급지원대상자가 될 수 없음. 예외적으로 응급실, 중환자실 이용 및 긴급한 수술이 필요하여 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의료비 지원 가능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25, 2323 및 보건복지콜센터 ☎ 129 세금 걱정 뚝, 마을세무사와 상담하세요서울시 마을세무사란?복잡한 세무행정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하거나 과세불복 관련 비용이 부담되는 시민들에게 마을(동)단위로 지정된 세무사들이 무료로 세무상담과 권리구제 지원을 해주는 우리 마을(洞) 담당 세무사운영방법 : 공익활동에 대한 재능기부 의사가 있는 세무사와 마을(洞)을 연결이용방법1. 세무상담(국세, 지방세)- 상담을 원하는 주민은 해당 동주민센터에 비치된 마을세무사 연락처와시·구·동 홈페이지에 게시된 마을세무사를 확인하여 신청- 1차적으로 전화·팩스·이메일 등을 통하여 마을세무사와 상담, 필요시 대면상담2. 불복청구 지원 : 지방세에 한함- 청구세액이 1천만원 미만으로 납세자의 재산수준 등을 고려한 영세납세자로 한정- 이의신청·심사청구 등 불복청구 요청시 신청서 작성 등 지원문의 : 세무1과 ☎ 02-2241-4055 『환경아카데미-그린리더 심화과정』 참가자를 모집합니다일시 : 2016. 11. 7.(월)~11. 30.(수) 매주 월, 수 10:00~12:00 / 총 8강, 16시간대상 : 성북구민 30명, 참가비 없음장소 : 성북구청 3층 성북배움터신청방법 :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접수(dalki97@sb.go.kr)※ 신청서 양식은 성북구 홈페이지 모집강좌 게재모집기간 : 2016. 10. 25.(화)~모집마감시까지교육내용 및 일정 (※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input image문의 : 환경과 ☎ 02-2241-3003 우리 동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자원봉사 캠프란?자원봉사활동을 가까운 곳에서 할 수 있도록 동주민센터에 설치된 동네 자원봉사센터로, 자원봉사 상담가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활동처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input image※ 자세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활동상담은 가까운 주민센터의 자원봉사캠프로 문의해주세요.다음 호에는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자원봉사캠프에서 진행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소개됩니다.문의 : 성북구 자원봉사센터 ☎ 02-2241-2363 성북구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소개합니다레시피 공유로 건강한 반찬을 만듭니다 ‘(주)트리플제이앤파트너스’㈜트리플제이앤파트너스는 ‘라운드키친7’이라는 브랜드명으로 반찬 및 도시락을 제조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판매하고 있는 성북구 예비 사회적기업입니다. 취약계층 삶의 질 향상을 소셜미션으로 하고 있으며 러닝로열티를 통한 기부활동, 고품질의 반찬 지원활동, 맞춤형 일자리 창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input image주요 사업- 최고급 식재료, 가정식 소량조리, 당일조리를 원칙으로 한 도시락 제조 및 판매업- 개방형 레시피를 통한 판매자와 레시피 제공자 간 이익 공유 (오픈 키친 플랫폼)문의 : 트리플제이앤파트너스 ☎ 02-921-7199홈페이지 : www.roundkitchen7.co.kr 세차의 달인들 ‘워시마스터 협동조합’ input image워시마스터 협동조합은 서울지역 6개 출장세차 자활기업이 모여 전문적 세차 기술을 바탕으로 출장세차에 특화된 협동조합으로 성장하고자하며,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의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과 소득 향상을 통한 주민의 실질적 자활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합니다.주요 사업- ㈜쏘카 카셰어링 소속 차량 세차 및 차량관리- 세차용품 판매 및 렌탈업문의 : 워시마스터 협동조합 ☎ 02-941-2531이메일 : washmaster@naver.com소재지 : 성북구 장위로 17(장위동) ]]> Tue, 25 Oct 2016 20:28:56 +0000 11 <![CDATA[어르신들 만수무강하세요~ 정릉1동 가을맞이 어르신 섬김행사 열어… 어깨춤 ‘덩실덩실’ ]]> 지난 10월 5일 정릉1동에 신명나는 가락이 울려 퍼졌다. 바로 정릉1동의 어르신들을 위한 흥겨운 잔치가 열린 것이다.<2016년 가을맞이 어르신 섬김행사>는 정릉1동 내한 식당에서 정릉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주관으로 총 61명의 어르신들을 모시고 민요공연, 색소폰 연주, 노래공연 등으로 펼쳐졌으며 어르신들은 박수와 환호로 즐거움을 표시하셨다. 공연이 끝나고 어르신들에게 맛있는 갈비를 대접했고 통장들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위원들은 테이블을 돌면서 어르신들이 드시기 좋게 구워 드리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김00 어르신은 “좋은 날, 좋은곳에 초대해줘서 고맙다. 우리 마을이 나 같은 노인들이 살기에 점점 더 좋아지는 것 같아서 현수막의 쓰인말처럼 정말 행복하다”고 소감을 전하셨다. 어르신들이 돌아가실 때에는 정철석정릉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위원이 준비한 수건과 정릉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일동이 마련한 두유 1박스를 드려 집으로 돌아가시는 어르신들 손이 가볍지 않도록 했다.input image이날 행사에 참석하는 어르신들이 한 지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정릉1동 각 통별로 4명 정도의 어르신을 통장들이 선정하고 직접 모셔왔다. 또한 통장들은 행사장에서도 자진해서 자원봉사를 하는 등 바쁜 시간에도 마을 어르신들을 위한 일에 함께했다. 행사를 주관한 정릉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이건평 위원장은 “어르신들이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데 이 행사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앞으로도 마을주민의 복지체감 향상을 위해 열심히 발로 뛰는 정릉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되겠다”고 말했다.문의 :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312 안암동 방문간호사와 함께 건강관리를! 건강디딤돌교실 2기 시작  input image동방문간호사와 함께하는 어르신 대상 ‘안암동 건강디딤돌교실’ 2기가 시작되었다. 상반기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건강교실이 2기를 맞아 새로운 내용으로 채워져 참여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기 교육에서는 정서적 안정을 위한 우울·치매·웃음치료와 함께 노인 학대·방임을 예방하기 위한 인권교육을, 전문 운동사의 지도로 낙상예방을 위한 볼밸런스 운동과 짝체조, 세라밴드 근력운동을 실시하여 어르신 전문 건강교육으로 거듭나고 있다.주목할 만한 점은 칩거하거나 외부활동에 어려움이 있던 신규 참여자와 1기의 수료자가 함께 교육을 독려하고 신체활동에 도움을 주면서 건강리더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스스로가 건강디딤돌이 되어 다른 주민의 건강 돌봄에도 열심인 어르신의 모습은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민의 높아지는 건강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건강디딤돌교실은 어르신 행복도시 성북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문의 : 안암동주민센터 ☎ 02-2241-5233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  주제 : 탈모 건강강좌강사 : 한태영 교수(을지병원 피부과 )일시 : 2016. 11. 7.(월)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신청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 )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Tue, 25 Oct 2016 20:47:39 +0000 11 <![CDATA[이웃과 온기 함께 나누는 성북천 걷기 ]]> ※ 내용은 식재료 수급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습니다.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4 제13회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녹색장터 이용하세요아이조아 녹색장터는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 또는 교환하여 자원을 순환시키는 아·나·바·다 성격의 녹색장터입니다.장터 판매자 접수방법접수기간 : 2016. 10. 25.(화)부터 선착순 마감접수대상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회원판매접수 : 육아용품 및 영유아 도서, 장난감 등접수방법 : 방문접수(1층 안내데스크에서 작성) 및 전화접수(☎ 02-918-8080~2, 담당자 : 고미령)이용방법일시 : 2016. 11. 11.(금) 11:00~13:00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3층 아리알찬홀(성북구 오패산로 10길 19)대상 : 이용을 원하는 누구나※ 13회 녹색장터에서는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대여했던 장난감을 판매하지 않습니다.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 02-918-8080~2 가을철 쯔쯔가무시증 이렇게 예방하세요!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이 가능하나 특히 남서부지역에 서식하는 털진드기 등에 의해 주로 매개 되며 집중노출 추정시기(9월 둘째 주~11월 둘째 주)에 진드기에 물려 잠복기(1~3주)가 지난 후 발생하므로, 야외작업·활동 시 피부노출을 소화하고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input image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 야외활동 및 야외작업 시 긴팔, 긴바지, 양말,신발 등을 꼭 착용하여 피부노출을 최소화한다.- 풀숲에 들어가지 않는다.- 풀위에 앉거나 누울 때는 돗자리 등을 이용한다.- 옷을 풀밭에 놓지 않는다.-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한다.- 야외 활동에서 귀가하는 즉시 입었던 옷은 세탁한다.- 야외 활동에서 귀가하는 즉시 목욕을 한다.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21~3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 안내저소득층 암환자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 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input image문의 : 보건소 의약과 ☎ 02-2241-6142 ‘Saying NO’ 여성폭력예방 자기방어 워크숍 안내가정에서, 직장에서, 관계에서, 길거리에서 폭력 피해의 두려움에서 벗어나기를 원하는 여성. 자기보호를 원하는 여성.  ‘내’ 안에 내재된 자기방어 지원을 발굴하기를 원하는 여성 - 당신을 초대합니다.대상 : 자기방어 관심 여성(바로 당신!)일시 : 2016. 11. 17.(목) 09:30~11:302016. 11. 24.(목) 09:30~11:30장소 : 성북구청 다목적홀(B1)지도자 : 그레이시 주짓수 강사※ 편안한 복장으로 오세요.주최 및 문의 : 사단법인 한국여성상담센터 ( http://iffeminist.or.kr ) ☎ 02-953-1704 가습기 살균제 피해구제-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는 가습기 살균제로 인하여 폐질환을 앓고 계시는 분이나 사망하신 분의 유족에게 의료비, 장례비, 간병비 및 생활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검색창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검색하세요! 더 자세한 신청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대표전화 : ☎ 02-380-0575 영아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접종기간 : 2016. 10. 4.~12. 31.접종장소 : 지정의료기관(보건소는 접종 안함)※ 지정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https://nip.cdc.go.kr) 홈페이지, 스마트폰앱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원활한 접종을 위해 반드시 사전문의(예약) 후 접종받으시기 바랍니다.접종대상 : 만 6개월~12개월(2015. 10. 1.~2016. 6. 30.) 출생아※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기준으로, 외국인 및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경우 지원 제외접종방법 : 1차 접종 후 4주 후 추가 접종(첫 접종에 한해 총 2회)지참서류 : 신분증, 예방접종 수첩, 주민등록등본 등 대상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138 2016년 제3회 『2016 성북구민 생명사랑 걷기대회-나를 사랑하는 첫걸음』 개최일시 : 2016. 10. 28.(금) 15:00~17:00장소 : 성북구청 바람마당(코스 : 성북구청 앞 바람마당~보문동주민센터 앞 보문1교~바람마당의 성북천 일대)대상 : 지역주민일정 : 개막식, 생명존중 유공자 표창,생명존중 선서·공모전, 축하공연, 생명사랑 걷기주최 및 주관 : 성북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생명존중분과, 성북구자살예방센터문의 : 성북구자살예방센터 ☎ 02-916-9118 ]]> Tue, 25 Oct 2016 20:50:59 +0000 11 <![CDATA[2016 하반기 자기주도학습 학부모 프로그램 ]]> 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5 11~12월 초등학생 학력신장 프로그램성북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에서는 관내 초등학생들의 기초학력 신장과 알차고 보람있는 학교생활을 돕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개설할 예정입니다. 많은 신청 바랍니다.대상 : 성북구 관내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3~6학년신청방법 및 기간 : 성북구청 홈페이지 ‘강좌신청(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선착순 온라인 접수(프로그램별 상이)※ 프로그램의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집인원 등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성북구에 주소를 둔 성북구민만 신청 가능합니다.참가비 : 프로그램별 상이교육일정input image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1 구민정보화교육 11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 구민정보화교육), ※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활용, 스마트폰왕기초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10. 26.(수) 09:00~27.(목) 17:00 [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10. 28.(금)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Tue, 25 Oct 2016 21:03:58 +0000 11 <![CDATA[11.4~6 서울김장문화제... 일본 도쿄에서도 동시에 열려 ]]> input imageinput image개막식 한일 양국 이원 생중계... 세계적 축제로오늘 11월 4일(금) 오후 1시 서울광장이 4천여 명의 다양한 국적의 세계인이 함께 참여하여 50여 톤의 김장김치를 버무리는 초대형 김장터로 변신한다. 같은 시각, 도쿄 신주쿠에서도 오래전 현해탄을 건너 일본에 정착한 고구려 후손들의 뜻을 기리고 고국의 우수한 음식문화를 계승하기 위해 모인 1천여 명이 김장김치를 버무리는 도쿄 김장문화제가 진행된다. 서울시는 이처럼 유네스코 지정 문화유산인 우리의 김장문화를 서울 도심 한가운데서 체험하고, 맛보고, 이웃과 나누는 제3회 서울김장문화제를 오는 11월 4일(금)~6일(일) 3일간 서울광장, 세종대로, 무교로 일대에서 개최한다. 지난 김장문화제가 잊혀져가는 우리 고유의 나눔의 전통을 되살리는 것에 방점을 찍고 있다면, 김장, 세계를 버무리다를 주제로 열리는 올해는 나눔에 현대적인 놀이와 신명나는 문화를 더해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글로벌 축제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놓치면 아까운 대표 프로그램 4가지서울시는 이번 김장문화제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대표 프로그램 4가지를 소개했다.- Big Share_김장나눔(11.4) : 김장문화제의 대표 프로그램이자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행사로, 4,000여 명의 시민이 서울광장에 모여 50여 톤의 배추를 버무린다. 여기서 만든 김장김치는 서울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해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된다.- Big Share_서울김장간(11.4~6) : 서울광장에서 대한민국 최고의 김장명인에게 김장 담그는 법을 배우는 명인의 김장간, 통역사가 배치돼 외국인들도 참여할 수 있는 외국인 김장간, 우리집 간장을 담그고 기부도 할 수 있는 우리집 김장간 등 프로그램이 3일 내내 펼쳐진다.- Big Play_김장난장(11.4) : 배추~절임~숙성~나눔 등 김장의 전 과정을 현대적인 놀이로 해석한 퍼포먼스로, 서울광장을 둘서싼 판소리 DJ카 5대에서 흘러나오는 음악과 함께 몸뻬 입고 춤추기, 배추 쌓아 올리기 같은 다양한 놀이가 펼쳐진다.- Big Play_함께식탁(11.6) : 김장하는 날은 마을의 큰 잔칫날이었다는 점에서 착안, 서울광장에 김장김치, 수육, 막걸리를 곁들인 1천 명을 위한 식탁이 차려진다.Big 4 프로그램은 서울김장문화제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하거나 현장에서 즉석 신청 후 참여하면 된다.4일~7일 세종대로.무교로 일대 부분 교통 통제이밖에도 다채로운 체험, 판매, 공연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놀이, 휴식, 먹거리가 있는 놀이체험공간인 김치상상놀이터에서는 미로체험과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고, 대형 항아리 모양의 놀이존에서는 아이들이 점프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또, 서울광장에서는 한복대여도 이뤄진다. 세종로~무교로에서는 김장배추와 김장 주재료뿐만 아니라 전국 8도의 특산김치를 산지 직송해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으며, 김치를 이용한 퓨전음식도 맛볼 수 있다.또, 지역 상생발전을 위해 신안천일염 특별관도 운영한다. 김장을 소재로 한 공연도 열린다. 몸으로 김치와 위해한 탈출이 문화제 기간 중 하루 2번씩 열리고, 서울광장과 무교로 등에서 밴드 무대도 펼쳐진다. 한편,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행사 당일인 4일(금) 0시부터 7일(월) 오전 6시까지 세종대로(대한문~청계광장) 하위 2개 차로가 통제되고, 무교로(시청 삼거리~ 모전교) 전차로를 5일(토)0시부터 7일(월) 6시까지 통제가 이뤄진다.문의 ☎ 문화예술과 2133-2570 이웃사랑 김장 1포기 더하기 실천 하세요서울시에서는 김장철을 맞이하여 김장김치를 담글 때 조금 더 담궈 같은 동네에 살고 있는 어려운 이웃을 돕는 이웃사랑 김장1포기 더하기 운동을 전개한다. 추가로 더 담궈 보내온 김장 김치는 김장을 담글 수 없는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된다. 김장김치 대신 현금을 기부한 경우는 서울시 사회복지협의회를 통하여 기부금(품) 영수증을 발급하고 김치를 구매하여 전달할 예정이다. 기 간 : 2016년 11월 1일(화)∼11월 30일(수)접 수 : 서울시 홈페이지 - 기부하고자 하는 김장 물량을 kg으로 표시 : 최소 3kg (약 3포기) 이상 기부문의 ☎ 희망복지지원과 2133-7380 임차소상공인 상가 매입비 지원서울시에서는 임대료 상승으로 사업장을 이전해야 하는 임차소상공인들이 상가 매입을 통해 안정적인 영업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대상 : 서울시 소재 소상공인 및 사회적기업, 협동조합신청요건 - 사업자등록 후 3년 경과, 현사업장에서 1년 이상 영업 중인 사업자 ※매입할 상가는 현재 사업장이 아니어도 됨- 대상자의 세대원 모두 서울시 내 타사업장(상가) 무소유지원한도 : 사업장매입비의 75%, 사업자별 최대 50억원 이내대출금리 : 2.5%(준고정, 중소기업육성 기금 시설자금 금리에 따름)상환조건 : 5년~최대 15년까지 중 선택 가능문의 ☎ 소상공인지원과 2133-5540 공해차량 운행제한 단속 확대오는 11월부터 공해차량 운행제한 단속 지점이 기존 7개소에서 13개소로 대폭 확대 된다. 단속이 새로 실시되는 6개소는 강변북로 상암동, 경인고속도로 신월IC, 북부간선도로 신내동, 동일로 상계동, 송파대로 장지역 및 통일로 진관동(구파발) 등 주요 도로의 서울 진입로 구간이다. 앞으로 서울시는 운행 제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2019년까지 총 61개소로 단속 지점을 확대할 예정이다. 공해차량 운행 제한은 2005년 12월 이전에 등록한 총 중량 2.5톤 이상 경유차 중 저감장치(DPF) 부착 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차량을 대상으로 적발시 1차 경고, 2차 적발시에는 과태료 20만원부터 최대 200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다. 문의 ☎ 대기관리과 2133-3668]]> Tue, 25 Oct 2016 21:16:59 +0000 11 <![CDATA[우리가 함께하는 일주일간의 학습여행 마을시민교육주간 축제 ]]> 우리가 함께하는 일주일간의 학습여행마을시민교육주간 축제우리 마을에서, 시민이 주체가 되어 이웃과 함께 배우고 나누는 축제 한마당이 펼쳐집니다. 마을시민교육센터 개관 기념으로 열리는 이번 축제에 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기간 : 2016. 11. 1.(화)~11. 5(토) 일주일간장소 : 성북구평생학습관input image문의 : 마을민주주의과 마을시민교육센터 ☎ 02-2241-2420 지역주택조합 꼼꼼하게 따져보세요최근 지역주택사업이 추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합원 가입을 일반분양으로 잘못 알고 사업에 참여하여 재산상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있어, 지역주택조합의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우리구에서는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 홍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관련 자료는 성북구청 홈페이지 우측 상단의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를 선택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홍보유인물은 구청 및 각 동주민센터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지역주택조합원 자격요건은조합설립 인가 신청일 현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무주택자 또는 주거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1채 소유한 세대주여야 합니다.지역주택조합사업의 추진과정을 따져보세요!input image조합원모집 과정에서 세대수, 층수 등 확정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95% 이상의 토지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지확보 가능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문의 : 주거정비과 ☎ 02-2241-2913, 2915 KBS 『전국노래자랑』이 성북구에서 열립니다우리나라 최장수 프로그램이며 36년째 대국민 참여형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는 『KBS 전국노래자랑 성북구편』이 우리구에서 개최됩니다. 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바랍니다.참가대상 : 성북구민 및 성북구 소재 직장인, 학생 등녹화 : 2016. 11. 22.(화) 13:00,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예심 : 2 016. 11. 20.(일) 13:00, 성북구민회관예심접수 : ∼ 2016. 11. 18.(금)각 동주민센터 및 문화체육과 방문접수(예심 당일 현장접수 가능)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2~2607, 각 동주민센터 성북구민의 주거복지를 위한 전세자금 특례지원제도별도의 담보제공 및 연대보증 없이 주택금융 신용보증서(보증료율 연0.1%~연 0.18%) 발급으로 대출이 가능합니다. 사회적배려 대상자에 대한 전세자금 특례지원제도지원대상자 :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국민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또는 북한이탈주민으로 임대차계약을 체결(임차보증금 3억원이하)하고, 5% 이상을 지급한 세대주대출한도 : 2천5백만원 한도 ※ 단, 채권보전조치(질권설정 채권양도)시에는 4천만원제2금융권 전세대출 대환 특례지원제도지원대상자 :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의 전세거주자(임차보증금 4억원 이하)로서 제2금융권 전세자금대출을 받아 정상 이용중인 세대주대상자금 : 2015. 5. 31.까지 제2금융권에서 받은 전세자금대출 대환자금대출한도 : 임차보증금의 80% 이내에서 대환대상 대출금 잔액 범위 내(최대 1억5천만원)신청시기 : 언제든지 가능문의 : 한국주택금융공사 서울북부지사 ☎ 02-3499-3324(내선 3324) 사업장 연탄재 수거방식이 유상으로 전환됩니다시행일 : 2017. 1. 1.부터∼대상 : 성북구 내의 모든 사업장(가정용은 제외)근거 : 『 서울특별시 성북구 폐기물 조례』 제9조제2항, 제16조제3항,제27조1항제1호배출방법 : 20ℓ영업용 봉투에 연탄재 6장을 원형 그대로 담아 배출※ 부서진 연탄재는 동일한 봉투에 10kg 미만을 배출하셔야 수거합니다.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성북구 공정무역센터를 소개합니다성북구 공정무역센터(FAIR ROUND)는 지속가능한 공정무역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공정무역의 가치를 공유하는 문화기지가 되고자 합니다.[1층 : 공정무역 오픈 스튜디오]- 공정무역 교육 및 클래스 운영(공정무역 아카데미,공정무역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수공예·뷰티·쿠킹 클래스 ,초청강사 특강, 성북구 지역주민 프로그램 상시 운영[2층 : 공정무역 라이프스타일숍]공정무역 제품 판매 및 전시(공정무역 의류,액세서리, 리빙제품, 화장품, 커피, 차, 견과류, 오일 등 )위치 : 성북구 동소문로22길 33-8(동선동 1가)문의 : 1층 오픈 스튜디오 ☎ 02-929-7943, 2층 라이프스타일숍 ☎ 02-929-7944 정치후원금을 기부하고, 좋은 정치로 돌려받으세요정치후원금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 됩니다.- 기부방법 하나, 선거관리위원회 기탁금 계좌로 이체 및 방문기부 :  기탁금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31-647893(예금주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 기부방법 둘, 신용카드 포인트로 기부 : 인터넷 또는 모바일에서 정치후원금센터(www.give.go.kr) 이용- 기부방법 셋, 카드사(신한, 롯데) 홈페이지 이용 기부문의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 02-923-1390 면허시험장 방문시간 인터넷 예약으로 운전면허 발급을 쉽고 빠르게내용 : 면허시험장 방문 시간을 미리 정해 대기시간 단축대상업무 : ①운전면허 적성검사 ②갱신 ③재발급시행일자 : 2016. 10. 11.(화)부터 서비스 시작신청방법 :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 e-운전면허 ▶ 방문시간 예약※ 수도권 8개 시험장(강남·도봉·강서·서부·인천·용인·안산·의정부) 시범운영 후 11월 중 전국 확대 예정문의 : 도로교통공단 도봉운전면허시험장 ☎ 02-2092-0123 알고 계세요? 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인감증명제도와 동일한 효력으로 본인이 직접 서명한 사실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발급방법 : 구청 및 동주민센터에 본인이 직접 방문 신청종류- 본인서명사실확인서 : 2012. 12. 1부터 시행 중- 전자본인서명확인서 : 2013. 8. 2 시행(온라인 발급시스템 이용 신청)※ 단, 제출처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소속기관 포함)만 해당, 등기소는 2017년 시행 예정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거주지 동주민센터 수도요금 납부 편리한 제도 이용하시고, 감면도 받으세요신청방법 : 전화, 인터넷, 방문신청- 전화신청 : 다산콜센터(국번없이 ☎ 120), 중부수도사업소 민원실(☎ 02-3146-2000)- 인터넷신청 :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i121.seoul.go.kr) :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신청 E-tax 홈페이지 및 인터넷 지로사이트(www.giro.or.kr) : 자동납부만 가능- 방문신청 : 중부수도사업소 및 금융기관(자동납부만 가능) - 수도요금 고지서, 신분증, 통장, 도장 지참수도요금 고지서를 전자고지로 받으면 1석3조의 효과!- 상수도 요금의 1% 감면(최소 200원~최대 1,000원)- 종이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문의 : 서울중부수도사업소 ☎ 02-3146-2000 2016년 성북어울림장터 개최사람과 물건 그리고 마을이야기의 어울림을 통해 자원순환과 나눔의 가치를 살리는 성북어울림장터가 개최됩니다 .일시 및 장소 : 2016. 10. 29.(토) 11:00~16:00, 성북구청 바람마당프로그램- 나눔캠페인 : 페이스페인팅, 에코팔찌, 양말인형 만들기 등- 전통놀이마당 : 대형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고리던지기 등- 폐건전지 교환행사 : 폐건전지 20개당 새건전지 2개 교환(새건전지 400개 한)문의 : 아름다운가게 나눔장터팀 ☎ 02-2115-7266, 청소행정과 ☎ 02-2241-4415 정릉시장 청년가게 개장10월 27일,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정릉시장에 청년가게가 문을 엽니다.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립니다.정릉시장 청년가게 소개1. 마음을 녹이는 카라멜과 캔디T ‘hanks Lollies’2. 자연을 담은 수제청 카페 ‘율리아 청’3. 달달한 행복을 빵빵하게 담아드리는 컵케이크와 건강빵 ‘빵빵싸롱’4. 요리가 예술이 되는 ‘파스타 펍’주최 : 서울특별시, 성북구주관 : 정릉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단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93 간첩·테러범·방산스파이·사이버테러·군사보안 신고·상담은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 1338(신규번호, 2016. 10. 1. 부터)또는 ☎ 1661-1133(가장 가까운 군부대)주민 여러분의 소중한 신고정신은 신속한 작전종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Tue, 25 Oct 2016 21:29:00 +0000 11 <![CDATA[구름다리 아래 돌담 속에 피는 예술, 초겨울에 생각해보는 영혼의 빛깔 ]]> 초겨울에 생각해보는 영혼의 빛깔경산 류시호(길음2동)만추의 계절이 멀어져가니 아쉬움이 많다. 중년을 지나고 나니 마음이 바쁘기만 하다. 지난 여름은 무덥기는 했지만 벼와 콩, 무, 배추 등 각종 농작물과 밤, 사과, 배, 대추 등의 과일이 풍년이었고, 지금은 집집마다 가을걷이와 겨우살이 김장도 끝을 내서 모두들 마음의 여유가 생겼을 것 같다. 봄부터 가을까지 햇살 잘 받고 자란 맛있는 사과와 배를 사각사각 소리 나게 베어 먹으면서, 잘익은 과일이 터지는 투명한 소리에 마음의 주름을 살짝 펴고 그리운 벗을 생각해 보자. 한 해를 보내는 지금, 그동안 미안했거나 고마웠던 사람들에게 감사함의 메시지나 편지를 쓰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지. 요즘 현대인들은 너무 분주하게 하루를 보내는데, 하루 정도 사색하며 보내는것도 의미가 있는 것 아닐까 한다. 하루 해가 일찍 지고 오슬오슬 추워질 때 고향집 부엌의 애호박 넣고 보글보글 끓는 칼국수처럼 세상을 따뜻하게 만들고 살면 좋겠다. 요즘처럼 마음까지 스산해질 때 마음속에 눌러 온 갈망의 실타래를 풀어내기 위해 뜨거운 물이 되어 보자. 뜨거운 물이 되어 마음을 열면 진정한 벗을 얻는다니 낙엽 진 거리 걸으면서 한번쯤 뒤돌아보며 따스한 영혼을 지니고 살아야겠다. (혼자 빛나는 별이 없듯이, 친구나 지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면 더욱 빛나게 된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즉 지나침은 부족함보다 못하다고 하는데, 너와 나 모두들 알맞게 누리며 살자. 하나라도 더 가지려고, 더 편해지려고 애쓰고 발버둥치는 동안 정작 우리가 얻은 것은 챙긴 것도 없이 귀한 벗만 멀어져간다. 귀하고 소중한 친구를 잃기 전에 조금만 자중하며 살자.) 계절이 송년을 향해 달리고 있는데 오는 백발이야 작대기로 후려친다지만 살아가며 느끼는 갑갑함은 무엇으로 막을까. 벌레 소리 애잔한 초겨울 밤, 포장마차에서 따끈한 홍합 국물에 마음을 열 수 있는 친구와 소주 한잔 하면서 기쁨을 나누자. 우리 모두 고운 기억은 닦아서 달빛으로 광을 내고, 낙엽 긁어 태우면서 향기를 맡아 보자. 바스락 말린 풀꽃과 순수한 낙엽들의 타는 연기(煙氣) 향(香)은 별빛과 함께 우리의 영혼을 빛내줄 것이다. 인디언들은 말을 타고 들판을 달리다가 갑자기 멈춰 서서 뒤돌아본다고 하는데, 자신의 영혼이 따라오는지 살피기 위해서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매일매일 정신없이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일상생활을 뒤돌아보자. 인디언처럼 영혼이 따라 오는지 궁금하지 않는가? 정신없이 산다는 말은 영혼 없이 산다는 것으로 아무리 세상이 바쁘더라도 영혼의 끈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모두들 분주하게 세상을 살고 있지만 이제는 여유를 누리며 살며시 영혼의 빛깔에 다가서 보자. 농(濃)익은 영혼의 빛깔은 코스모스보다 곱고, 국화보다 향기로우며, 홍시보다 달콤하다고 한다. 초겨울을 보내며 가까운 친구나 지인에게 따스한 영혼의 빛깔을 선물하고 싶다. 그리고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벗과 마주앉아 보글보글 끓어오르는 된장 뚝배기와 밥 한 숟가락에 정겨움을 담아야겠다. 우리 모두 한해를 보내면서 따뜻한 세상을 만들고 영혼의 빛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보자.「지필문학」으로 시 부문 등단했고, 「한국공무원문학협회」로 수필 부문 등단하였다. 시와 수필집으로 「신 중년의 힘」, 「사랑과 꿈을 향한 도전」, 산문집으로는 「참! 잘했어요(문정희 외 공동저자)」 등이 있다.input image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솜씨를 뽐내보세요. 보내주신 원고는 편집방향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반드시 본인의 작품을 보내주시기 바라며,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성북소리’는 웹진, 모바일 앱으로도 볼 수 있어요우리 구의 소식을 쉽고, 편리하게,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성북소리 웹진 : webzine.seongbuk.go.kr로 접속모바일 앱 : 구글플레이 또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설치]]> Wed, 23 Nov 2016 22:59:48 +0000 12 <![CDATA[상생과 공존의 길, 동행의 시작 ]]>     성북의 동행스토리 1상생과 공존의 길, 동행의 시작12월호부터 새롭게 선보이는 「동행(同幸) 성북」에서는 ‘함께 행복하자’는 동행(同幸)의 가치 하에 사회적 약자의 인권과 복지증진에 노력하는 우리 주민들의 사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번 호는 그 첫 번째로 동행(同幸)의 시작에 대해 소개하며 문을 엽니다.  종이 한 장이 몰고 온 변화의 바람, 동행(同幸) input imageinput image 성북동아에코빌 아파트의 동행계약서 input image 이제는 동행(同幸)이다동행경제의 사례동행(同幸)은 아파트 경비원과의 상생에서 시작하여 성북구의 모든 계약서에 동행계약서를 적용하면서 그 가치를 확산시켜 왔다. 실제로 동행계약서 도입 이후 성북구 공동주택에서는 경비원을 임의로 해고하거나 임금을 삭감하는 사례가 사라졌다. 상호 신뢰 회복, 마을민주주의, 공동체 의식 복원이라는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 것이다. 이제 동행(同幸)은 상생에 대한 사회적 공감을 얻으며 도전숙, 개울장, 생활임금, 어르신 동행작업장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주민이 시작한 동행(同幸)이 어디까지 나아가고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input image창업·주거공간 동시 해결하는 도전숙input image청년과 동행하는 개울장input image생활임금 적용 근로자들input image경로당을 활용한 어르신 동행작업장 ]]> Wed, 23 Nov 2016 23:10:53 +0000 12 <![CDATA[사랑을 담은 ‘고추장 나눔 행사’ 外 ]]> “어서 오세요. 좋은 물건 많이 있어요.” “올해도 오셨네요. 반가워요. ”지난달 8일 돈암동에 위치한 영암교회에서는 올해로 25회째 캄보디아 선교와 이웃사랑을 위한 바자회가 열렸다. 바자회에는 건어물, 과일, 의류뿐만 아니라 김밥, 떡볶이,순대, 빈대떡 등의 먹거리가 푸짐했다. 영암교인들은 바자회를 준비하는 동안 몸은 힘들었지만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마음으로 기쁘게 준비했다고 한다. 바자회 수익금은캄보디아 선교와 지역 인근의 어려운 이웃을 위한 김장 비용으로 쓰일 예정이다.명예기자 문혜현 [정릉1동]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282이음마을 정 나눔장터, 다시 만난 이웃들input image지난 10월 29일 정릉1동 로터리에서 이음마을 나눔장터가 열렸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이 행사는 이음마을 추진위원회와 새마을부녀회가 정릉1동의 소통과 화합을 위해 개최한 것이다. 장터는 주민들이 참여한 아나바다 나눔장터, 음악동아리밴드공연, 먹거리 장터, 건강상담부스, 아동체험부스, 프리마켓 등 다채롭게 구성되었다. 이용진 이음마을 추진위원회장은 “향후에도 주민들이 소통하고 화합하며 정을 나눌 수 있는 장터로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명예기자 우은주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80삼대가 화목한 마을, 행복한 만남북악중학교 학생들 및 인솔교사(왕지현)는 10월 1일부터 매주 토요일, 김수희·강선향 강사와 함께 삼덕마을탐방에 나섰다. 이는 동교동락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주민과의 인터뷰를 통해 삶의 지혜를 배우고자 마련되었다. 첫 주는 박정옥 어르신을 뵙고 평생을 공부와 글쓰기를 게을리하지 않으신 훌륭한 생활상을 배우게 되었고, 둘째 주는 평론계 거장이신 故 조연현 선생님 생가를 방문하였으며 소산당 김소애 어르신도 뵈었다. 셋째 주는 삼덕 보타닉가든을 가꾸시는 임정순 선생님 정원을 방문하여 들꽃들을 공부하였고, 도시농부 성낙용 회장님 댁과 사랑이 꽃피는 감나무집 장운기·최양숙 고부를 방문했다. 마지막 주는 봉사와 배려를 실천하시는 곽춘자 어르신과 우리마을 기업을 운영하시는 행운사와 대한니트 박영섭 사장님 댁을 견학하였다. 이번 기회를 통해 학생들 마음의 키가 한 뼘 더 자라기를 기대해본다.명예기자 김수희 [길음2동] 길음2동주민센터 ☎ 02-2241-5503사랑의 손길로 의료봉사 펼치는 길음2동10월 15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병원장 이문성)에서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길음2동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병원 직원 45명이 의료봉사를 펼쳤다. 이날 진행된 의료봉사에는 호흡기내과, 재활의학과 등 7개 진료과를 개설해 진료 및 상담을 실시했다. 또한 혈액검사, 초음파, 혈압·혈당검사와 같은 정밀검사를 하고물리치료 및 약 처방이 이루어졌다. 이날 107명의 지역주민이 무료 진료를 받았고, 304건의 검사와 226건의 진료를 실시하였다. 이번 봉사는 서울덕우라이온스클럽의 후원으로 이루어져 회원 20명이 거동불편 어르신들을 위해 진료실까지 동반안내 활동에 참여해 그 의미를 더했으며, 행사로 인해 모처럼 따스한 정을 주고받고 활기를 되찾는 기회가 되었다. [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5660장위1동, 바자회로 이웃사랑 실천input image지난 10월 27일 장위1동주민센터 앞에서 이웃사랑을위한 바자회를 개최해 큰 호응 속에 마무리되었다. 이날 바자회에서는 새마을부녀회원들이 먹거리와 기부 받은 의류 등을 판매하였고 주민들이 바자회장을 찾아 불우이웃을 돕고자 하는 마음으로 서로 하나가 되었다. 고명숙 장위1동 새마을부녀회 부회장은 “이날 마련된 수익금은 김장김치를 담가 홀몸어르신 및 저소득 가정에 전달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어려운 이웃을 위해 보다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명예기자 문영임 [장위2동] 장위2동주민센터 ☎ 02-2241-5684제5회 장위부마축제 개최input image지난 10월 8일 ‘제5회 장위부마축제’가 마을의 명소인 김진흥 가옥에서 진행되었다. 이곳은 조선말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와 부마 윤의선이 살던 집으로 1998년 소유주인 김진흥이 불교교단에 기증하여 사찰(진흥선원)이 된 곳으로 서울시 민속자료 제25호이다. 장위부마축제는 조선시대 전통 궁중혼례를 재현해 실제주민의 전통혼례가 이뤄진다는 점이 특색이다. 올해는 엄원식 씨와 신소연 씨가 부마와 공주로 선정, 백년가약을 맺는 혼례가 치러졌다. 이날 부마와 공주는 어르신들의 덕담과 주민들의 축하를 받으며 장위초등학교까지 가마를 탄 채 퍼레이드를 했다. 이어 장위초등학교에서 주민들의 숨은 끼를 마음껏 펼치는 화합의 한마당으로 이날 행사는 마무리되었다. 명예기자 강희자]]> Thu, 24 Nov 2016 09:43:37 +0000 12 <![CDATA[제246회 제2차 정례회 개회 ]]> 성북구의회(의장 정형진)가 11월21일부터 12월 15일까지 25일간의 일정으로 제246회 제2차 정례회를 개회했다. 이번 정례회에서는 ‘2017년도 일반·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을 비롯한 안건심사가 진행된다. 21일에는 제1차 본회의를 열어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22일부터 29일까지 안건 심사 및 현장 방문 등의 상임위원회 활동이 이루어지며, 30일부터 12월 13일까지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활동한다. 그리고, 12월 14일 구정질문을 실시하고 12월 15일 최종 안건 처리 후 폐회할 예정이다. 정례회 주요 안건▲ 2017년도 일반·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 국가에너지계획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협의회 규약 동의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한천마을 주거환경 관리사업구역 및 계획결정 구의회의견청취안▲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운영에 대한 의견청취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부동산평가위원회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패션봉제산업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 제정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계약심의위원회의 구성·운영 및 주민참여 감독 대상 공사 범위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상임위원회 현장 활동 스케치보건복지위원회input image성북구의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목소영)는 제245회 임시회 기간 중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치매지원센터, 자살예방센터 등을 차례로 방문해 센터의운영 현황을 살피고, 시설 이용자들을 직접 만나 이용 불편 사항과 요구사항 등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도시건설위원회input image성북구의회 도시건설위원회(위원장 송영옥)는 제245회 임시회 기간 중 의견청취안 심의를 앞두고 장위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장위동 도시재생 사업의 전반적인 추진상황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장위동 도시재생 사업의 주요 거점지를 둘러보았다. 성북구의회 의원연구단체 활동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연구회input image[대표 윤만환 의원, 간사 박학동 의원,김태수·송영옥·이광남·이미영·이은영·이인순 의원]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는 11월 1일 성북구의회 제4회의실에서 민간위탁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연구단체가 민간위탁 사무에 대하여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집행부와 함께 민간위탁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한 자리로 구청의 민간위탁 사무 관련 부서장 10여 명이 함께 자리했다. 연구단체와 집행부는 재위탁, 재계약 등 혼란이 있는 용어를 정리하는 것과 신규 민간위탁의 경우 의회의 사전 동의를 구하는 것에 의견일치를 보았다. 반면, 재위탁, 재계약의 처리 절차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여 향후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개선 의원연구단체input image[대표 정형진 의원, 간사 김일영 의원,권영애·박학동·오중균·이광남 의원]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개선 의원연구단체’는 11월 1일 성북구청 다목적홀에서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광남 의원은 ‘성북구 음식물쓰레기 수거 체계개선 방안’을, 권영애 의원은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정책 고찰’을, 김일영 의원은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처리 기술 방안’을 발표했으며, 오중균 의원은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박학동 의원은 ‘단체급식에서의 음식물쓰레기 감량 방안’을, 마지막 주자로 나선 정형진 의장은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방안’에 대하여 발표했다. 연구단체는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화는 이제는 주요 발생원인 가정에서 힘써야하고,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홍보와 지도를 계속 추진해야 하며, 자원화 시설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input image[대표 목소영 의원, 간사 안향자 의원,권영애·김춘례·이미영 의원] 성북구의회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모색 의원연구단체’가 11월 4일 성북구청 성북아트홀에서 ‘성북구 경로당 활성화 방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했다. 안향자 의원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는 김춘례 의원의 연구활동 경과와 성북구 경로당운영 현황 보고, 목소영 의원의 경로당 실태조사 및 이용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발표, 권영애 의원의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순으로 진행됐다. 연구단체는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로당은 사랑방 기능을 넘어서 복합적인 복지시설의 형태로 전환해야 하며, 기능적인 통합 방식으로 거점 경로당을 지정 운영하여 노인들의 건강과 문화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Thu, 24 Nov 2016 10:14:02 +0000 12 <![CDATA[함께 하면, 행복(同行)합니다. ]]>     지난해, 주민들의 자생적 상생노력으로 행복한 마을 공동체를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었던 ‘아파트 경비원-입주민 상생프로젝트 동행(同幸)’의 사례는 상생에 대한 사회적 공감을 얻으며 성북 곳곳에 스며들어 변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더욱 따뜻하게 바꾸는 동행(同幸)! 같이 행복하자는 동행(同幸)의 가치 아래더불어 행복한 성북을 꿈꾸는 우리 주민들의 모습을 소개합니다. ‘ 따로 또 같이 ’ 1인 기업인들의 즐거운 동거,  도전숙옆방 문을 두들기면 고민 해결…여성 혼자 살아도 안심 input image메이크메리, 김은경 씨(40) 어린이 교육 콘텐츠를 만드는 ‘메이크메리’를 운영하는 김은경 씨.도전숙의 장점을 톡톡히 활용하는 입주자 중 한 명이다. 창업 초기에는 제안서나 서류작업도 어려움이 많았는데요, 그럴 때마다 옆방 문을 두들기면 그 자리에서 해결이 되곤 합니다.또한, 요즘 원룸에서 사건·사고가 많이 일어나는데 여기는 그럴 걱정이 없어서 여성으로서 안심이 돼요. 이웃 간의 두터운 유대감을 바탕으로 여성 혼자 살아도 안심되는 도전숙.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바탕으로 김은경 씨는 올해 사업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다. 동종업계 창업인들과 상부상조input image굿게임 어플리케이션스,김학형 씨(28)김학형 씨는 건강 콘텐츠와 결합된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는 ‘굿게임 어플리케이션스’를 운영하고 있다. 도전숙은 이웃들이 모두 동종업계 사람이다 보니 친밀감이 남달라요. 원룸에 살면 이웃들과 가까이 지내기 어렵잖아요. 한 달에 한 번 정기 모임을 통해 사업 아이디어도 공유하고 실제로 저 같은 경우는 디자인 관련한 도움을 받고 있어서 서로에게 윈윈이 되고 있답니다. 집과 사무실을 동시 제공하는 도전숙. 1, 2, 3, 4호의 성공에 힘입어 2018년까지 성북구 내에 도전숙 10호가 건립될 예정이다.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83 일하는 사람의 인권 보장, 생 활 임금의 작은 행복월급만 오른 게 아니에요. 자부심도 쑥쑥, 신바람 납니다 input image성북구청 근무, 이미혜 씨(51)생활임금은 최소한의 생활비를 보장하여 노동의 정당한 대가를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코자 도입된 개념이다. 생활임금이 도입되면서 매년 한 달에 10만원 정도 더 지급받는다는 이미혜 씨. 최저임금과 비교하면 30여만원의 차이이다. 적다면 적은 돈이지만 빠듯한 살림살이에는 큰 돈이기도 하다. 적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10만원은 경제적으로도, 심적으로도 위안이돼요. 월급이 오르니까 일할 맛이 난다는 동료들이 늘면서 일터 분위기도 밝아지고 가족과 외식하면서 대화도 많이 할 수 있어서 매달 보너스받는 기분이 들어요. 다른 곳으로까지 널리 확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생활임금에 대한 만족도는 업무의 질적 역량까지 높임으로써 성북구 도시관리공단이 지방공기업 고객서비스 만족도 평가에서 3년 연속 우수공기업으로 평가되었다. 성북구에서 시작된 생활임금은 서울 자치구 25곳 중 21개 구가 시행 중이며, 한성대, 성신여대도 적용함으로써 민간부문으로의 확산이 주목된다.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44 청춘의 바람을 품은 우리 동네 전통시장선배 상인들과 융합해 우리동네 시장을 핫플레이스로 input image빵빵싸롱, 이현주 씨(39)정릉시장이 확 젊어졌다. 지난 10월 27일 정릉시장에 총 4개의 청년가게가 개점한 것이다. 서울시와 성북구가 전통시장의 활성화와 청년들의 창업기회를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전통시장 청년상인 육성사업’을 진행, ‘정릉시장’이 선정되어 총 4팀의 청년상인이 입점하여 새로운 젊음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선발된 청년상인들은 정릉시장 청년살이발전소에서 지난 9월부터 마케팅과 홍보에 관한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받는 등 성공적인 창업과운영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 시장은 주민들이 매일 오가는 곳이니까 시장에 가게를 내면 사람들이 언제나 찾는 곳이 되지 않을까 해서 왔어요. 창업 초기에는 두려움도 많았지만 평생 장사를 해온 어르신들이 같은 상인으로서 해주시는 조언을 들으며 자리잡아 가고 있어요. 앞으로 상인들과 소통하고 융합하여 정릉시장을 핫플레이스로 만들려고요. 청년들에게는 창업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기존의 시장상인들에게는 다양한 고객층 유입으로 수익을 증대시켜주어, 서로간의 동행(同幸)을 꿈꾸는 정릉시장! 전통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되는 청년가게는 정릉시장 외에 길음시장에도 10개소가 입점할 예정이다.input image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93  ]]> Thu, 24 Nov 2016 09:38:18 +0000 12 <![CDATA[성북동 오래된 길 - 한양도성 순성길 ]]>  성북동 오래된 길 - 한양도성 순성길건축가 고 정기용(1945~2011)은 오래된 길은 ‘의미깊은 그림일기(figurative journal)’와 같다고 했다.세대의 끊임없는 교차 속에서 저마다의 추억이 길 위에 포개지므로 길을 걷는다는 것은 단순한 이동에 그치지 않고 길의 두꺼운 역사 속에 편입되는 의미 깊은 행위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성북동의 수많은 거리, 골목들 역시 그러하다. 이 마을 사람들, 이곳을 거쳐 간 수많은 사람들의 만남과 의지가 그 길들 위에 아로새겨져 있다. input image[그림1] 혜화문 바깥으로 보이는 세 갈래 길과 성북천 .성곽 뒤편 양옥은 성 베네딕토 수도원이다. (1910년경)성북동의 여러 길 중에 가장 오래된 길은 혜화문으로부터 숙정문까지 성벽 밑을 따라 이어지는 한양도 성순성길이다. 한양도성과 함께 길이 났으니 어쩌면 마을보다 먼저 있었던 것일지 모른다. 1910년경 성 베네딕토 수도원 수도사들이 성 밖에서 혜화문을 찍은 사진을 보면 성문 앞으로 세 갈래의 길이 나 있는 것이 보인다. 정면으로 나 있는 길은 돈암동을 거쳐 미아리고개를 넘는 길이요, 하나는 비스듬히 S자 모양으로 내려가 지금의 성북1치안센터 앞에서 성북천변을 타고 오르는 길이다. 또 하나는 아예 내려갈 생각을 않고 성벽에 바짝 붙어 북서향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조선의 실학자 박제가(1750~1815)의 시 제목에 ‘혜화문을 나와 성을 돌아 서쪽으로 2리(약 800미터)를 가면 성북둔이 나온다〔出惠化門 循城而西二里 有倉曰城北屯〕’고 했을 때의 그 길이다. input image[그림2] 세종 4년에 쌓은 성벽과 그 위에 설치한 울타리(구 서울특별시장 공관)복원율 70%를 자랑하는 한양도성이지만 동소문로 옆 혜화문부터 혜성교회를 지나 경신고등학교 뒤편 구간에서는 온전한 성벽을 만나기 어렵다. 구 서울시장 공관울타리 구간은 짧게나마 옛 성벽이 살아 있으나 울타리가 끝나는 지점부터 경신고등학교 뒤편 담장까지는 옛모습을 찾기 어렵다. 일찍이 주택과 학교 등이 들어서면서부터 훼손되고 유실된 구간이 많아 복원 공사를 할수 없었던 까닭이다. 수도 한양을 지키는 공공의 성벽이 아니라 어느 사유지의 울타리로 용도가 바뀌어버린 옛 성벽은 그렇게 행인들의 무심한 시야 바깥에 있다.그러나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성벽의 모양과 흔적들을 더듬으며 걷다보면 시멘트 울타리 틈에 끼어 있는 큼지막한 옛 성돌은 과거로 떠나는 시간여행의 멋진 입구가 되기도 한다. 모가 둥그스름하고 어른 몸통만한크기로 다듬은 받침돌이나 옥수수알 모양으로 다듬어 촘촘히 쌓아올린 성벽은 1422년(세종 4년)부터 거기에 놓인 것이다. 돌을 반듯한 직육면체로 다듬어 빈틈없이 쌓은 성벽은 대체로 숙종~순조 연간에 보수한 부분이다. 그리고 한양도성의 일부는 아니지만 화강암에 시멘트를 부어 마름모꼴로 쌓아올린 축대는 식민지 시기 일본에서 들어온 양식으로 1960~70년대에 쌓은 것이다. 담장의 지음새로 기호화된 600년 세월이 성북동 좁은 골목을 따라 펼쳐진다. input image[그림3] 세종 4년에 쌓은 성벽과 그 위로 쌓아올린 주택 담장경신고 뒤편 좁은 골목을 빠져나와 차도를 건너면 성북동 쉼터가 나오는데 여기서부터 숙정문까지 이어지는 순성길은 성벽 위쪽으로 나 있다. 저멀리 북한산 연봉들이 보였다 사라졌다 하고 반대편으로는 서울 도심과 남산이 보이는, 심심할 겨를 없는 멋진 산책길이다. 이 길을 소설가 이태준(1904~?)이 자주 걸었다고한다. 이태준은 퇴근이 좀 이르다 싶으면 가끔 이 순성길을 따라 백악 깊은 곳까지 걸어갔다가 집으로 돌아가곤 했다는 것이다. 비슷한 시기 만해 한용운도 이 길을 지나갔다. 성곽 바깥 심우장에 살던 만해는 독립지사들이나 불교계에 다급한 일이 생기면 혜화문을 지나 멀리 돌아가던 길을 버리고 곧장 허물어진 성터를 넘고 삼청동을 가로질러 도심까지 나갔었다고 한다. 누구에게는 이 순성길이 천천히 집으로 가는 에움길이었지만 또 누구에게는 동지들에게로 향하던 지름길이기도 했던 셈이다. 크고 작은 경제적 변동에 따라 집의 모양은 쉽게 변할지라도 집과 집을 이어주는 길은 쉽게 제자리를 바꾸지 않는다. 길 위에서 이루어지는 만남의 시간들은 어디까지나 손에 쥐면 사라지고 마는 찰나이지만 그 시간들이 포개져 하나의 지워지지 않는 추억을 만들고 역사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오래된 길을 천천히 걸으면 걸음보다 천천히 흘러가는 시간의 움직임이 느껴지고 두꺼운 삶의 기억과 마주하게 된다. 한양 도성의 북쪽 넓은 골짜기에 자리한 마을, 성북동. 이 마을의 오래된 길들과 지붕마다 2016년의 추억들이 눈발처럼 퍼붓고 있다.(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 2017 하루를 쓰다 展2015년 노숙인의 자립기금을 마련했던 공공예술프로젝트 <하루를 쓰다>가 2017년에 새롭게 선보입니다. <2017년 하루 를 쓰다>는 노숙인을 포함한 도시 빈민과 다문화 이주민, 난민들의 자립기금 마련을 위해 18개국 국적의 아시아인들과 함께 작업했습니다. 400명이 넘는 사람들의 시간과 재능을 기부 받아 작업한 일력, 글씨, 영상 등 프로젝트와 관련된 내용이 성북예술창작터에서 전시됩니다. 공평한 하루와 평등한 세상을 꿈꾸며 365명이 직접 손으로 365일의 날짜를 써서 완성한 2017년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전시기간 : 2016. 12. 16.~2017. 1. 26.(10:00~18:00, 월요일 휴관)오프닝 : 2016. 12. 16.(금) 19:00※ <하루를 쓰다> 작업으로 만든 디자인 상품인 탁상달력, 아트일력, 다이어리의 판매 순수익금 전액은 노숙인을 비롯한 도시 빈민과 다문화 이주민, 난민들의 자립기금으로 사용됩니다.문의 : 성북예술창작터 ☎ 02-2038-9989(성북로 23) 신나고 자기주도적인 아빠 역할을 위한 행복하게 아빠하기일시 : 2016. 12. 3.(토) 14:00~16:00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월곡) 3층 대강당[오패산로10길 19]대상 : 자녀를 둔 아빠 30명※ 엄마 동반 환영, 자녀 동반은 지양해 주시기 바랍니다.내용 : 행복한 아빠가 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아빠 노릇의 기본기- 좋은 아빠 & 웃는 아빠강사 : 김혜준 대표(사단법인 함께하는 아버지들)신청방법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온라인 접수[로그인-(홈페이지 상단 바의 메뉴 중)문화지원-문화강좌-월별강좌 소개(해당 월 선택)-강좌명 클릭-결제하기]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 02-918-8080 2016 겨울학기 수강생 모집(12월~2월)성북여성회관접수기간 : 2016. 11. 11.(금)~선착순 마감 input image※ 그 외 프로그램은 성북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하여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 성북문화원강좌기간 : 2016. 12. 1.(목)~2017. 2. 22.(수), 총 12주접수방법 : 인터넷 및 방문접수(성북문화원 2층 사무국)강좌내용- 성인 강좌 : 경기민요, 선소리산타령, 대금·단소, 장구, 규방공예, 스포츠댄스, 한국무용(초·중급, 심화), 생활요가, 사군자, 수묵산수화(A·B), 한글서예, 한문서예(A·B), 동화구연가/시낭송가 양성과정, 문예창작실기, 기초소묘에서 유화까지, 유화로 그리는 인물화, 수채화,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 원어민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고급)- 어린이 강좌 : 어린이역사교실(초4~초6), 어린이한자교실(초1~초4), 원어민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유아발레(Level 1, Level 2), 어린이 놀이미술(A·B)- 야간강좌 : 원어민중국어회화(기초), 생활요가※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www.isbcc.or.kr)를 참고하여 주세요.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http://www.isbcc.or.kr ‘LOVE ACTUALLY’ (Global & Communication)2016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유럽에서는 크리스마스에 어떤 음식을 먹을까요? 유럽인들은 어떤 음악을 들으며 크리스마스를 보낼까요? 성북의 유러피언 크리스마스 마켓에 오시면 글로벌 이웃이 함께 즐기고 나눔을 실천하는 축복과 사랑의 크리스마스를 미리 즐길 수 있습니다.일시 : 2016. 12. 10.(토)~11.(일) 12:00~20:00※ 개막식 행사 - 2016. 12. 10.(토) 17:00장소 : 성북천 분수마루주최/주관 : 성북구청/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초청 내·외빈 : 주한 외교사절, 국회의원 및 시·구의원후원국 : 주한 네덜란드, 독일, 불가리아, 세르비아,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영국,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체코, 프랑스, 핀란드 대사관행사내용- 유럽 각국의 크리스마스 시즌 음식 판매- 유럽에서 직수입한 크리스마스 수공예 장식품 판매- 크리스마스 시즌의 유행 음악 공연- 산타클로스와 함께 하는 포토존- 산타에게 편지쓰기 부스 운영- 바자 부스 운영문의 : 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 ☎ 02-2241-6381~4 성북구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소개합니다농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활력 있는 농어촌을 만듭니다‘산지협동조합’input image산지협동조합은 도시민들에게 농업의 중요성과 공동체 순환의 가치를 확산시켜 도농 간 교류에 기여하는 성북구 예비 사회적기업입니다. 전원생활과 농어촌을 그리워하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귀농귀촌 교육, 도농교류 체험활동을 진행하며 농어민들의 소득증대에 기여하여 활력 있는 농어촌을 만드는 기업입니다.주요 사업- 교육체험 프로그램 : 귀농귀촌교육, 농산물 활용 요리교실, 도농교류 체험 등- 유통사업 : 농산물 및 친환경 도시농업자재, 농어촌 행사용 홍보물 유통문의 : 산지협동조합 ☎ 070-7607-8757, 홈페이지 : www.sanjicoop.com 게임으로 교육과 사회문제를 해결한다‘(주)비전웍스’input image㈜비전웍스는 교육용 게임과 콘텐츠 개발을 주 사업으로 하는 성북구 예비 사회적기업입니다. 게임을 기반으로 한 학습: ‘지러닝(G-learning : Game BasedLearning)’ 콘텐츠 개발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능성 게임과 교육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게임을 통한 세상의 변화를 추구합니다.주요 사업-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콘텐츠 개발(저소득층, 고령자 등 취약계층)- 기능성 게임 개발(청소년 교육, 인지행동연구)- 기업, 정부기관 등에 맞춤혐 콘텐츠 개발 사업문의 : ㈜비전웍스 ☎ 02-555-3898, 홈페이지 : govw.co.kr 2016 꿈의숲 겨울이야기가족과 함께, 연인과 함께 즐기는 따뜻하고 낭만적인 겨울 클래식 공연이 12월 24·25·31일 꿈의숲아트센터에서 열립니다.예매방법 : 꿈의숲아트센터 홈페이지 www.dfac.or.krinput image문의 : 꿈의숲아트센터 ☎ 02-2289-5401 ]]> Thu, 24 Nov 2016 17:05:51 +0000 12 <![CDATA[공유토지분할 신청 서두르세요 外 ]]> ※ 자세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활동상담은 가까운 주민센터의 자원봉사캠프로 문의해주세요. 다음 호에는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종암동, 월곡1동 자원봉사캠프에서 진행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소개됩니다.문의 : 성북구 자원봉사센터 ☎ 02-2241-2363 미디어로 만드는 마을, 성북마을TV 12월 주간편성표시청방법 :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방송시간 - 본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다시보기 : 홈페이지 내 [성북마을TV] → [프로그램] 게시판편성표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에너지바우처 신청하세요에너지 취약계층에게 에너지바우처(이용권)를 지급하여 난방에너지 구입을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 제도가 시행 중이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신청대상아래의 소득기준과 가구원 특성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소득기준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가구원 특성기준 : 수급자(본인) 또는 세대원이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주민등록표상 세대 기준)- 노인(만 65세 이상), 영유아(만 6세 미만), 장애인(1~6급 등록장애인), 임산부※ 2015년도에 에너지바우처를 받으신 분은 관할 동주민센터에 문의 필요(올해 자격유지 되는 분은 신청절차 생략, 카드방식 변경 등이 필요한 분은 재신청 필요)지원내용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연탄, 등유, LPG를 구입할 수 있는 전자바우처 지원input image신청기간 : 2016. 11월~2017. 1월 말까지사용기간 : 2016. 12. 1.~2017. 4. 30.신청장소 : 주민등록상 거주지 동주민센터문의 : 환경과 ☎ 02-2241-3024, 거주지 동주민센터, 에너지바우처 콜센터 ☎ 1600-3190 Q&A로 보는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Q 모든 위원회의 위원이 공무수행사인에 해당하나요?A 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의 위원만 공무수행사인에 해당하고, 법령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가 아닌 경우 그 위원회의 위원은 공무수행사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Q 공무수행사인의 경우 법 제10조의 외부강의 등 사례금 수수 제한 규정이 적용되나요?A 공무수행사인에 대해서는 법 제5조부터 제9조까지의 부정청탁 금지 및 금품 등 수수 금지 관련 규정만 적용되고 법 제10조의 외부강의 등 사례금 수수 제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습니다.Q 공무수행사인이 1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 등을 공무 수행과 관련 없이 받아도 처벌되나요?A 공무수행사인의 경우 ‘공무 수행과 관련하여’서만 제8조의 금품 등 수수 금지규정이 적용되므로 1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 등의 경우도 공무수행과 관련하여 받는 경우에만 금지됩니다.문의 : 감사담당관 ☎ 02-2241-2153 성북구 추모의 집(구립 봉안당) 이용 안내이용대상- 성북구 주민 및 그 직계 존ㆍ비속, 비속의 배우자, 형제ㆍ자매- 성북구 주민의 직계 존ㆍ비속으로 개장되어 화장한 유골 또는 다른 봉안시설에서 개장한 유골- 성북구에 설치된 분묘에서 개장되어 화장한 유골을 유족이 신청- 이미 성북구 추모의 집에 모셔진 고인의 배우자이용요금input image위치 : 효원가족공원(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서봉로 755번길 17-15)문의 : 효원가족공원 ☎ 031-354-2525~6,어르신복지과 ☎ 02-2241-2532 「2017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에 참여하세요차가운 바람보다 사람들의 무관심에 더욱 추워할 우리 이웃들을 위해 올겨울에도 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추진기간 : 2016. 11. 14.~2017. 2. 14.(3개월)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저소득 노인·장애인, 실직·질병 등으로 신체적·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면서도 제도상 지원을 받지 못하는 틈새계층 등참여방법- 성북구 복지정책과 또는 각 동주민센터 성금, 성품 기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성북구 전용계좌 [우리은행 015-176590-13-530]에 성금 입금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06 알고 계세요? 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인감증명제도와 동일한 효력으로 본인이 직접 서명한 사실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발급방법 : 구청 및 동주민센터에 본인이 직접 방문 신청종류- 본인서명사실확인서 : 2012. 12. 1.부터 시행 중- 전자본인서명확인서 : 2013. 8. 2. 시행(온라인 발급시스템 이용 신청)※ 단, 제출처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소속기관 포함)만 해당, 등기소는 2017년 시행 예정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거주지 동주민센터 보도공사 Closing11동절기에는 보행자 안전 및 공사 품질을 위하여 보도굴착공사는 전면 통제되오니, 구민 여러분의 많은 협조 부탁드립니다.(※ 단, 주민생활과 직결된 소규모 굴착복구공사(수도·가스·통신 등)는 가능)동절기 : 2016. 12. 1.~2017. 2. 28.소규모 굴착공사 : 길이 10m, 너비 3m 미만인 공사를 말함문의 : 도로과 ☎ 02-2241-3583 2016년 4분기 주민등록 특별사실조사 실시기간 : 2016. 11. 21.~12. 26. (36일간)추진내용 : 허위 전입신고자 및 거주지 변동 후 미신고자 확인제3자(채권·채무 등 이해관계자)에 의한 직권 거주불명등록 사실조사 요청대상자 무단전출 신고말소자의 거주불명등록 전환 주민등록증 미발급자 발급 독려과태료 경감 : 특별사실조사 기간 중에 자진신고하여 주민등록사항을 정리하는 대상자에 대하여 과태료 1/2 경감 원칙.※ 다만, 경제적 사정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대 3/4까지 경감 가능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거주지 동주민센터 ]]> Thu, 24 Nov 2016 13:18:06 +0000 12 <![CDATA[어르신, 장수사진 촬영하시고 건강하세요 ]]> 보문동주민센터는 10월 11일(화) 관내 저소득 홀몸어르신을 대상으로 ‘동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함께하는 찾아가는 장수사진 촬영’을 실시했다. 이번 사업은 동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통장협의회가 협력하여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장수사진을 준비하지 못한 어르신들에게 생의 마지막을 아름답게 준비해 드리고자 지역사회 주민들의 자발적인 재능기부로 시작된 뜻 깊은 행사이다. 사진촬영 재능기부자 신우 포토그래퍼(신우스튜디오 실장)는 오랜 기간 보문동에 거주한 지역주민으로 손수 인화비용까지 부담하며 장수사진을 촬영하여 저소득 홀몸어르신을 위한 나눔을 실천하였고, 복지협의체에서는 촬영 당일 어르신들에게 직접 메이크업을 해드리고 다과를 대접하며 기쁜 마음으로 봉사를 실천하였다. 특히, 거동이 불편하여 행사참여에 늘 소외되었던 홀몸어르신 가정에 사진봉사자와 복지협의체 위원들이 직접 방문함으로써, 촬영에 참여한 88세 어르신은 “거동이 불편해 장수사진 찍을 생각을 미처 못했다. 도움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 외에도 복지협의체와 보문동주민센터는 매월 가족이 없는 저소득 홀몸어르신의 생신날 가정에 방문하여 미역국, 생일케이크, 생필품 등 다양한 선물과 함께 생신을 직접 축하해 드리고 있다. 비록 작고 소소한 나눔이지만 어르신들에게 진심어린 관심과 사랑을 실천해 나갈 때 어르신뿐 아니라 모든 마을 구성원이 행복해지는 진정한 마을복지공동체가 실현되어 갈 것이다.문의 : 보문동주민센터 ☎ 02-2241-5269 따뜻함을 전하는 마음가족을 통해 어르신 마음은 행복가득input image성북구자살예방센터는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어르신들의 우울감 감소 및 자살위험 해소를 위해 「마음돌봄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마음가족’ 활동을 하고 있다. 마음가족은 어르신과1:1 결연하여 월 1회 가정방문, 주 1회 안부전화를 통해 지역주민이 사회적 가족이 되어 희망을 전달해 주는 새로운 개념의 가족이다. 10월에는 어르신 행복학교를 운영하여 어르신과 마음가족이 함께 웃음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몸이 불편한 어르신을 직접 모시고 온 마음가족은 “함께하는 자리가 처음이지만 모두 모인 화합의 장을 통해 활기 넘치는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앞으로도 「마음돌봄 프로젝트」는 고독한 어르신에게 따뜻함을 전하여 우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 활동에 참여할 ‘마음가족’을 상시모집하고 있으며, 따뜻한 마음과 사랑이면 누구나 활동할 수 있다.문의 : 성북구자살예방센터 ☎ 02-916-9118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기초연금 지금 신청하세요신청대상 :만 65세 이상 어르신은 누구나 신청 가능하고, 추후 소득·재산을 고려하여 수급자로 선정※ 직역연금(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등) 수급자 및 그 배우자는 제외지급액 : 단독가구의 경우, 매월 최대 20만4,010원 (부부가구는 32만6,400원)신청방법 및 문의- 전화 : ☎ 129(보건복지부) 또는 ☎ 1355(국민연금공단)- 방문 : 주소지 동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성북지사※ ‘수급희망 이력관리제’도 꼭 함께 신청하세요! 수급신청하여 탈락했더라도 추후 소득·재산의 변동이 나 선정기준 완화 등으로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때, 다시 신청할 수 있도록 알려드립니다. 2016년 노인 계절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연장 실시합니다어르신들의 독감예방접종을 확대 실시하기 위해 접종일정을 아래와 같이 연장하고자 합니다.기간 : 2016. 11. 30.까지대상 및 장소- 병의원 : 65세 이상(~1951. 12. 31. 이전 출생), 장애인 1~3급(만 9세~64세)- 보건소 : 기초생활수급자 1·2종(만 50세~), 국가유공자 본인(~1952. 12. 31. 이전 출생 등)※ 독감백신 잔량 병의원은 꼭 보건소 전화문의(☎ 02-2241-6034) 후 방문 요망문의 : 성북구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34~5 ]]> Thu, 24 Nov 2016 17:38:52 +0000 12 <![CDATA[자라나는 여성 청소년들에게 생리대를 지원합니다 ]]> 검진기간 : 검진 안내문을 받으신 해당연도(매년 1월 1일~12월 31일)검진절차 : 검진기관에 사전 예약 후 방문하여 검진검진기관 : 검진안내문에 안내된 암검진 지정병원 (※ 보건소는 암검진 기관이 아닙니다)준비물 : 신분증, 검진표검진결과 : 검진 후 15일 이내 검진기관에서 결과 통보문의 : 보건소 의약과 검진팀 건강검진실(2층) ☎ 02-2241-6091~3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 안내저소득층 암환자에게 의료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치료율을 높이기 위해 암환자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input image문의 : 보건소 의약과 ☎ 02-2241-6142 여성축구교실 수강생 연중 모집input image성북구는 여성 구민들의 건강한 삶과 화합을 위한 『성북구 여성축구교실』을 운영, 그 참가자를 수시 모집하고 있다. 여성축구교실은 2월부터 12월까지 운영된다. 매주 월·수·금요일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월곡인조잔디축구장에서 무료로 진행된다. 최근 주요 성적으로는 제15회 여성가족부장관기 전국여성축구대회 장려상 수상, 2016 서울시 왕중왕전 여성축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만 22세~50세 관내 거주 여성은 누구나 참가 가능하다. 참가를 원하는 여성은 성북구청 문화체육과에 직접 방문 또는 전화(☎ 02-2241-2624)로 신청하면 된다.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24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주제 : 건강한 뇌혈관으로 뇌졸중을 예방하자!강사 : 박종무 교수(을지병원 신경과)일시 : 2016. 12. 2.(금)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선착순 30명)신청 및 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 Thu, 24 Nov 2016 17:44:58 +0000 12 <![CDATA[겨울방학 자기주도학습 학생 캠프 및 학부모 특강 ]]> ※ 강좌별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집인원 등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성북구에 주소를 둔 성북구민만 신청 가능합니다.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5 2016 인권이 살아 숨쉬는 인권교실 만들기연수기간 : 2016. 12. 12.(월)~12. 16.(금) [15시간, 집합연수]연수장소 : 성북배움터(구청 3층)연수인원 : 인권에 관심 있는 교사 40명(선착순) ※ 연수비용 무료신청기간 : 2016. 11. 21.부터 선착순 마감시까지신청방법 : 신청서(구청 홈페이지) 작성 후 이메일(may-1@sb.go.kr) 또는 팩스(☎ 02-2241-6523)연수내용 ※ 2016 성북 서울형혁신교육지구사업 교사인권교육(직무연수 인정)input image평가 : 80% 이상 강의 참여주최 : 성북구, 성북강북교육지원청문의 : 성북구 인권센터 ☎ 02-2241-2194 구민정보화교육 12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 구민정보화교육), ※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활용, 스마트폰왕기초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11. 28.(월) 09:00~29.(화)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11. 30.(수)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input image  ※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 Thu, 24 Nov 2016 18:31:15 +0000 12 <![CDATA[사람이 난로다 겨울 추위 녹이는 희망온돌 ]]> 없는 사람에게 더 매서운 칼바람과 추위가 몰아치는 계절이다. 서울시는 일찍 찾아온 겨울을 힘겹게 보내고 있을 취약계층을 위해 2016년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을 내년 3월까지 집중 추진한다.input image 공공과 민간부문을 연결, 촘촘한 그물망 관리 서울시가 추진하는 2016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은 공적지원제도와 민간자원을 적절히 연결하여, 건축일용자처럼 겨울에 소득이 없는 틈새계층을 집중 발굴·지원하여 위기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 분야는 ① 동절기 위기가정 발굴 강화 ② 동절기 저소득 취약계층 긴급지원 강화 ③겨울철 에너지 취약계층 난방용품 등 지원 ④ 저소득 가구 보일러 점검·수리·교체 확대 ⑤ 민간자원 연계 저소득층 생필품 지원강화 ⑥ 기부나눔문화 확산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먼저 동주민센터의 기능을 십분 활용하여 복지플래너, 더함복지상담사, 통반장, 관할 사회복지사 등을 총동원하여 위기 가구 발굴에 나선다. 또, 취약계층이 자주 이용하는 업소 종사자의 도움을 받아 위기가 염려되는 시민을 발견하면 즉시 동주민센터에 연락토록 체계를 만들고, 비상연락망도 구축하여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동상담요원이 즉시 현장에 갈수 있도록 했다. 이런 체계를 위해 여인숙, 고시원, 24시 심야만화방, 사우나, 고물상 등과 같은 곳에서 근무하는 직원과 동주민센터간 1:1 핫라인을 구축·유지한다. 그리고 단전·단수, 국민건강보험료 체납 등 취약계층 관련 13기관의 23종의 자료를 분석하여 동 복지담당자에게 매월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위급한 시민을 빠르고 적극적으로 발굴 할 계획이다. 민간자원 연계한 단계별 지원체계 구축저소득 위기가정에 대한 공적지원도 강화된다. 긴급한 위기상황을 맞은 가정에는 先지원 後심사체계를 갖춘 서울형긴급복지 제도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시는 1차 공적지원이 필요한 시민이나 지원에서 제외되었으나 생계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민간푸드뱅크의 물품을 6개월간 지원하고, 위기상황이 지속될 경우 최장 12개월까지 현물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다. 난방 등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도 늘려 추위에 고통 받는 시민을 최소화 하는 것도 올 희망온돌사업의 주요한 역할이다. 독거어르신에게는 1가구당 20만원 이내의 난방용품을 지원하고, 거리 노숙인을 대상으로는 침낭, 매트 등 난방용품 등 각 950개를 지원하며, 연탄사용 저소득 취약계층 약 3,000가구에 대해서는 2017년 2월까지 민간단체와 연계하여 연탄 100만장을 지원한다.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와 함께 사는 생계·의료 수급자를 대상으로 가구원에 따라 83,000원에서 116,000원까지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동절기 에너지바우처의 적극 활용도 당부했다. 끼니를 걱정하는 저소득시민에 대한 생필품 지원도 적극적으로 펼친다. 희망마차는 동절기 3개월간 총 31회 운영하여 저소득층 5천여 세대에게 생필품을 지원하고, 내년 1월에는 설맞이 희망마차 식품 나눔행사를 열고 저소득 가정 및 독거어르신 400세대에게 식재료, 떡국, 겨울용품 등을 나눈다.시는 기부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따뜻한 겨울나기 성금모금을 진행하여 시민과 함께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재원도 마련한다. 문의 희망복지지원과 ☎ 2133-7373 면접용 정장 무료로 이용 하세요서울시와 KEB하나은행이 청년취업에 날개를 달아준다. 면접에 입고 갈 정장이 마땅치 않아 고민인 청년취업준비생을 위해 무료로 정장을 빌려주는 취업날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1천벌의 정장과 넥타이, 벨트, 구두 등 면접에 필요한 용품이 구비돼 있으며, 직접 매장을 방문해 자기 사이즈에 맞춰 수선을 해도 된다. 만 18세~34세 이하의 서울 청년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1인 2회, 1회당 3박 4일간 무료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job.seoul.go.kr에서 확인하면 된다. 문의 일자리정책담당관 ☎2133-5439 하수도 사용료가 인상됩니다그동안 하수처리 원가의 67%에 불과했던 하수도 사용료가 인상된다. 노후하수관로 교체(도로함몰 예방), 방류수 수질 개선 등 시민안전과 환경 개선에 많은 투자가 필요함에 따라 인상하게 됐다. 하수도 사용료는 2017년 1월1일부터 2019년까지 매년 전년 대비 평균 10%씩 인상될 예정이다. 월평균 13.9톤을 사용해 4,180원을 납부한 가정을 기준으로 보면 2017년에는 4,600원, 2018년 5,020원, 2019년 5,570원으로 가구당 월 1,390원을 더 내게 된다. 다만, 18세 이하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인 다자녀 가구에 대해서는 하수도 사용료를 20% 감면할 예정이다. 대상자는 동주민센터에 신청하면 된다.문의 물순환안전국 물재생계획과 ☎2133-3816 서울을 가지세요 웹사이트 오픈몰라서 놓쳤던 서울의 혜택을 한곳에서 만날 수 있는 웹사이가 생겼다. 서울시는 시민생활과 밀접한 서울시 정책(200개)과 혜택(230개)을 한곳에 모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서울을 가지세요 웹사이트를 구축했다. 이제 답답하고 궁금한 서울시 관련 정보는 인터넷 검색창을 통해 서울을 가지세요를 입력하면 된다. 웹(모바일) 주소 : http://have.seoul.go.kr주요기능 : 생애주기별, 분야별, 상황별, 대상별 묶음조회 서비스 제공, 정보배달서비스(SMS, 이메일 등을 통해 최신 혜택정보 제공) 서울생활도우미의 사전 신청부터 사후관리까지 1:1 밀착지원 등 문의 신속행정담당관 ☎2133-4244]]> Thu, 24 Nov 2016 21:00:00 +0000 12 <![CDATA[내 집, 내 점포 앞 눈 치우기 ]]> www.seoul.go.kr)에 발표, 개별 문자 연락시상내역 : 최우수(1점) 30만원,우수(2점) 20만원,장려(3점) 10만원 상당 상품권 지급응모방법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어플을 이용하여 응모 - 안전신고란에 √체크하고 사진 등록 후 내용에 ‘인증샷’ 입력하고 응모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응모- 아이디 ‘seoulsnow’ 입력 후 검색하여 1 : 1대화 신청하여 사진 입력 후 성명, 연락처 입력오프라인 응모-눈 치우기 인증샷 응모 신청서 작성하여 구청 도로과 제출문의 : 서울특별시 도로관리과 ☎ 02-2133-8181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생활 속 에너지 절약,에코마일리지에 참여하세요!참여대상개인회원 : 단독·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 등에 거주하는 구민단체회원 : 사업장, 공공기관, 종교·복지시설 등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는 단체에코마일리지 가입방법- 인터넷 홈페이지(http://ecomileage.seoul.go.kr)에서 직접 회원가입- 인터넷 사용이 어려울 경우 주소지 동주민센터 또는 성북구청 환경과에 방문하여 가입신청서 작성 제출※ 회원가입 시 전기(필수), 수도, 도시가스 중 2개 이상의 개별 고객번호가 있어야 인센티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인센티브 지급가입 후 6개월 평균 에너지 사용량을 최근 2년간(동기간) 평균 사용량보다 5% 이상 절감하였을 경우 절감률에 따라 1만~5만 마일리지 지급(단체회원은 별도 평가)※ 마일리지는 연 2회 평가를 거쳐 지급되며 친환경제품,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교통카드 충전권 등으로 교환하실 수 있습니다.문의 : 환경과 ☎ 02-2241-3014 사업장 연탄재 수거방식이 유상으로 전환됩니다시행일 : 2017. 1. 1.부터∼대상 : 성북구 내의 모든 사업장(가정용은 제외)근거 : 『서울특별시 성북구 폐기물 조례』 제9조제2항, 제16조제3항, 제27조1항제1호배출방법 : 20ℓ영업용 봉투에 연탄재 6장을 원형 그대로 담아 배출※ 부서진 연탄재는 동일한 봉투에 10kg 미만을 배출하셔야 수거합니다.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김장쓰레기 배출 안내기간 : 2016. 11. 14.(월)∼12. 24.(토) <40일간>대상 : 단독주택, 공동주택(아파트 제외)배출방법 : 김장쓰레기를 짧게 절단하여 일반 종량제봉투 20ℓ에 김장쓰레기만 배출유의사항 : 김장쓰레기 외에 일반쓰레기를 혼합하거나 대형(50ℓ, 100ℓ)봉투에 배출시 미수거※ 음식점, 아파트는 전용수거용기에 배출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12 12월은 자동차세 납부의 달입니다납세의무자 : 2016년 12월 1일 현재 자동차 소유자납부 기간 : 2016. 12. 16.~12. 31.납부 방법 : - 전국 시중은행(농협, 수협 포함), 우체국 방문납부- 인터넷납부(http://etax.seoul.go.kr) 및 전용계좌납부 - 편의점, 은행현금지급기(CD/ATM) 납부 ARS자동납부서비스(☎ 1599-3900) 납부※ 고지서 분실 및 훼손시 서울시 소재 구청 세무부서 및 동주민센터에서 재발급 가능문의 : 세무2과 ☎ 02-2241-4144, 4142, 4145 지역주택조합 꼼꼼하게 따져보세요최근 지역주택사업이 추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합원가입을 일반분양으로 잘못 알고 사업에 참여하여 재산상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있어, 지역주택조합의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우리구에서는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 홍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관련 자료는 성북구청 홈페이지 우측 상단의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를 선택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홍보유인물은 구청 및 각 동주민센터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원 자격요건은조합설립 인가 신청일 현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무주택자 또는 주거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1채 소유한 세대주여야 합니다.지역주택조합사업의 추진과정을 따져보세요!input image조합원모집 과정에서 세대수, 층수 등 확정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95% 이상의 토지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지확보 가능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문의 : 주거정비과 ☎ 02-2241-2913, 2915 면허시험장 방문시간 인터넷 예약으로 운전면허 발급을 쉽고 빠르게내용 : 면허시험장 방문 시간을 미리 정해 대기시간 단축대상업무 : ①운전면허 적성검사 ②갱신 ③재발급시행일자 : 2016. 10. 11.(화)부터 서비스 시작신청방법 :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 e-운전면허 ▶ 방문시간 예약※ 수도권 8개 시험장(강남·도봉·강서·서부·인천·용인·안산·의정부) 시범운영 후 11월 중 전국 확대 예정문의 : 도로교통공단 도봉운전면허시험장 ☎ 02-2092-0123 정치후원금을 기부하고, 좋은 정치로 돌려받으세요정치후원금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 됩니다.- 기부방법 하나, 선거관리위원회 기탁금 계좌로 이체 및 방문기부 : 기탁금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31-647893(예금주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 기부방법 둘, 신용카드 포인트로 기부 : 인터넷 또는 모바일에서 정치후원금센터(www.give.go.kr) 이용- 기부방법 셋, 카드사(신한, 롯데) 홈페이지 이용 기부문의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 02-923-1390 수도요금 납부 편리한 제도 이용하시고, 감면도 받으세요신청방법 : 전화, 인터넷, 방문신청- 전화신청 : 다산콜센터(국번없이 ☎ 120),중부수도사업소 민원실(☎ 02-3146-2000)- 인터넷신청 :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i121.seoul.go.kr) :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신청 E-tax 홈페이지 및 인터넷 지로사이트 (www.giro.or.kr) : 자동납부만 가능- 방문신청 : 중부수도사업소 및 금융기관(자동납부만 가능) - 수도요금 고지서, 신분증, 통장, 도장 지참수도요금 고지서를 전자고지로 받으면 1석3조의 효과!- 상수도 요금의 1% 감면(최소 200원~최대 1,000원)- 종이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문의 : 서울중부수도사업소 ☎ 02-3146-2000 노무사가 함께하는 노동법률 무료상담소중한 노동의 권리, 알아야 지키고 알아야 지켜집니다. 매주 화요일 오후, 성북구에서 무료 노동법률 상담 받으세요.접수방법 : 접수는 아무 때나, 전화접수(☎ 02-929-3988)상담실 : 성북구노동권익센터(성북구 화랑로 211, 성북구 벤처창업지원센터 206호)문의 : 성북구노동권익센터 ☎ 02-909-3988 <비정상의 정상화>경찰관서 등 관공서 주취소란 행위, 피해자는 결국 내 가족입니다「경범죄처벌법」 <개정 2013. 5. 22.)3조③ 술에 취한 채로 관공서에서 몹시 거친 말과 행동으로 주정하거나 시끄럽게 한 사람은 6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의 형으로 처벌한다.문의 : 서울성북경찰서 정릉파출소 ☎ 02-914-0912 ]]> Thu, 24 Nov 2016 21:05:43 +0000 12 <![CDATA[2017 소원을 말해봐 ]]>     2017 소원을 말해봐다사다난했던 2016년이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삶이 순간의 합이듯, 한 명 한 명 구민의 삶이 성북의 하루를 만듭니다. 성북구민들의 새해 소망을 들으며 성북의 2017년 지도를 그려 봅니다. input image  하서진(6), 이채윤(5)input image  민영자(67), 곽순덕(70), 신순자(72)input image  송현우(26), 정훈영(26)input image  안암동 복지플래너 이소영input image  김수정(41), 손현아(12), 손재영(9), 손지아(6) input image  ]]> Fri, 23 Dec 2016 18:06:52 +0000 13 <![CDATA[더불어 행복한 동행(同幸) 공동체, 성북 ]]>    나가서 놀자! 아동친화도시 성북- 아동의 4대 권리 증진 및 아동의 놀권리를 위한 놀이환경 조성- 지방정부 책임형 방과후 학교 구축, 학교 밖 아동의 여가와 문화생활을 위한 아동문화카드 추진-  마을과 학교를 연계한 혁신교육도시 추진-  태아부터 아동기까지 체계적인 발달을 지원하는아동전용 보건지소 운영- ‘일자리-주거-결혼-임신-출산-보육-교육’의 생애주기를 융합하는 뉴-베이비붐 추진 : 행정자치부 주관 공모사업에뉴-베이비붐 선도 지자체로 선정(서울시 유일) 마을하자! 더 많은 참여, 소통이 이루어집니다   - 주민주도의 마을계획 수립- On마을앱으로 전자민주주의 구현- 주민참여단·주민참여예산제로 주민의 직접참여 확대- 마을활동 리더 양성을 위한 마을시민교육센터 운영 더불어 행복한 동행(同幸) 경제 공동체, 성북- 상생아파트 공동체 동행(同幸) 확산을 위한 체계 구축- 생활임금의 민간 확산, 어르신 동행작업장 확대- 무중력지대·청년살이발전소 등 청년활동 지원- 1인 창조기업인을 위한 도전宿 8호점 설치- 지역관리회사 및 개울장 등 특성화 시장 육성- 동북4구(성북, 강북, 도봉, 노원), 서울시 연계로 홍릉 일대 ‘창조지식문화벨트’ 조성※ 생활임금은 구 소속, 출자·출연기관 소속 및 구에 사무위탁, 공사 , 용역 등을 제공하는 기관 적용 평생 동안 찾아갑니다 생명존중 복지건강도시 성북- 찾아가는 복지건강서비스 제공, 민간주도 복지재단 설립- 성북 자살률, 전국 평균 2/3 줄이기-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어르신 정책 확대, 장년층을 위한50+센터 건립- 사회적 약자에 대한 맞춤형 정책 추진 10% 덜 쓰고, 10% 더 걷는 안전한 환경도시 성북- 안전도시 기본선 구축-  ‘차 없는 거리 골목길 프로젝트’ 추진- 다함께 건강걷기, 걷기 좋은 생태환경 조성- 에너지 공동체 성북절전소 확대, 물 공유 아파트 절수조운영, 빗물공동체 조성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창조문화·역사도시 성북- 장인의 거리·거리갤러리 등 성북동 특화거리 조성- 주민주도 테마축제와 만해 한용운 선양 순례길·심우장 대축전 개최-  간송미술관 상설전시관, 실크박물관, 성북동문학관건립 추진(17년~19년)-  길음동 문화복합미디어센터, 소극장몰, 정릉 시인의마을 등 마을문화 인프라 조성(17년~19년)-  4·19혁명 기념 문화제 개최, 3·1운동 100주년기념사업 추진위 구성-  장위13구역 구립도서관 및 길음동문화복합미디어센터 내 구립도서관 건립 추진 새로운 도시계획 30년- 지속가능한 성북구 도시발전 종합계획 수립- 대학자원과 연계한 캠퍼스타운 조성으로 지역 상생발전도모 ]]> Fri, 23 Dec 2016 18:14:29 +0000 13 <![CDATA[동행(同幸)으로 물든 2016 성북구 풍경 ]]> 02. 서울시·서울시교육청의 2016년 혁신교육사업 및 2017년 사업계획평가에서 성북형 혁신교육 프로젝트가 매우 우수(1등급) 선정03. 전국 최초 아동청소년 복지플래너 사업 실시, 2016 서울시 자치구 행정우수사례 장려상 수상04. 국토교통부의 벤치마킹으로 성북구 도전宿 전국 확산05. 주민주도의 마을계획 수립 및 실행으로 마을민주주의실현06. 서울시 최초 성북·강북·도봉·노원 지역공동발전 모색하기 위한 동북4구 행정협의회 구성, 제1회 동북4구 시민 페스티벌 개최07. 도전숙, 생활임금, 개울장 등 사람 중심의 일자리 창출로 전국 지자체 일자리대상 3년 연속 우수상 수상08. 독립운동가 만해 한용운 선양사업 추진09.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의 성공적 정착으로 2016희망복지지원단 운영 최우수, 찾아가는 마을복지 전국 최우수 수상 외부 평가 수상 현황- 2016 제5회 다산목민대상 ‘본상’- 2016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2016 갈등해결 우수사례 발표대회 ‘우수상’- 2016년 자치구 행정우수사례 발표회 ‘장려상’- 2016 통계조사 유공 기관표창- 제1회 대한민국 지방자치 정책대상 ‘최우수상’- 2016년 온-나라 이음 활성화 기관표창- 2015년 하반기 체납시세 징수실적 평가 ‘장려구’- 2015회계연도 시세 세입종합분야 ‘노력구’- 2015회계연도 법인 세원발굴평가 분야 수상- 2016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우수상’ - 2016 희망복지지원단 운영 우수지자체 ‘최우수상’- 제29회 세계 금연의 날 기관표창 ‘우수상’- 대한민국 건강도시 어워드 ‘장려상’- 2016 대사증후군관리사업 우수사례 선정 기관표창 ‘우수상’ - 찾아가는 마을복지 전국 ‘최우수구’]]> Fri, 23 Dec 2016 18:41:40 +0000 13 <![CDATA[성북구의회, 제246회 제2차 정례회 폐회 ]]> 위원장 박학동 의원input image부위원장 오중균 의원위원장 : 박학동 의원부위원장 : 오중균 의원위원 : 권영애, 김률희, 김일영, 김춘례, 안향자, 윤만환, 이미영 의원(의원 가나다순)기간 : 2016. 11. 30.~12. 14.안건 : 2017년도 일반·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 의원 조례 발의교통민원신고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일부개정, 윤만환 의원 대표발의input image윤만환 의원(김춘례, 김태수, 박학동, 송영옥,유경상, 이미영, 조민국, 진선아,윤만환 의원 발의)윤만환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교통민원신고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수정가결됐다. 조례안은 교통민원신고 심의의 객관성 및 공정성 제고를 위해 위원의 제척·기피·회피 및 해촉 규정 신설과 위원의 범위를 확대하고, 심의 위원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원의 임기규정을 변경하는 등 법제처의 알기쉬운 법령 정비기준에 따라 정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일부개정, 윤만환 의원 대표발의(김태수, 박학동, 송영옥, 이광남, 이미영, 이은영, 이인순,윤만환 의원 발의)윤만환 의원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사무의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수정가결됐다. 조례안은 재위탁, 재계약 등의 용어를 신설하고 개정하여 민간위탁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그에 따른 구의회 동의 및 보고 절차를 정비하는 등 운영개선을 통해 민간위탁의 건전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5분 자유발언목소영 의원,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활성화를 위한 성북구의원 연구단체’ 활동결과 보고input image목소영 의원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활성화를 위한 성북구의원 연구단체>는 성북구 92개 경로당 465명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성북구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정책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거점 경로당의 작은 복지관 사업이다. 동별로 거점 경로당을 지정하고 특화된 건강증진사업을 진행한다면 어르신 건강지원의 거점이 되고, 동마을복지센터와의 연계로 규모 있는 마을복지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두 번째, 소일거리와 연계한 일자리 확충이다. 지역사회와 연계한 소일거리 발굴은 경로당 이용 어르신들의 삶에 큰 활력이 되고, 지역사회의 활력으로 이어질 것이다.마지막으로, 경로당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 확보다. 경로당의 기능변화를 위해서는 경로당 이용 어르신들의 인식개선과 운영의 안정화가 필수적이다. 인식 변화를 이끄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하고, 경로당의 규모, 등록인원수, 실제 이용 인원수, 프로그램 운영수 등 다각적인 지원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5분 자유발언은 여건상 원문을 간추렸으며, 전문은 성북구의회 홈페이지(www.sbc.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원회 현장방문 스케치도시건설위원회, 정례회 안건 심의를 위한 현장점검input image성북구의회 도시건설위원회(위원장 송영옥)는 제246회 제2차 정례회 기간인 11월 25일, 28일 이틀에 걸쳐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교통광장 부지와 길음동에 위치한 성북모범운전자회 봉사자 사무실 등을 방문했다. 먼저, 25일 정릉동 교통광장 부지를 방문한 의원들은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인 교통광장 부지의 도시계획시설 폐지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정릉동 교통광장 부지는 서경로 확장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도시계획시설(교통광장) 목적이 상실되어 도시계획시설 해제 검토에 대한 안건이 상정됐다. 28일에는 예산안 계수조정을 앞두고 길음동에 위치한 성북모범운전자회 봉사자 사무실을 방문한 의원들은 사무실 환경 개선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 Sat, 24 Dec 2016 09:43:37 +0000 13 <![CDATA[사랑하는 50만 성북구민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2017년 우리 성북의 화두는 ‘사람’ 그리고 ‘동행(同幸)’입니다.새해에는 가족과 이웃과 함께 건강하고행복한 한 해가 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사랑하는 50만 성북구민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input image정유년(丁酉年)의 새 아침이 밝았습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격동의 한 해였던 2016년성북구는 생활임금,1인 창조기업을 위한 도전숙,공존의 무게를 함께하는 동행(同幸)계약서 등여러 혁신정책을 중앙정부와 전국에 확산시켜대한민국을 변화시켜 왔습니다.이러한 성과는 모범적인 지방행정으로 인정받아「다산목민대상 본상」과 「찾아가는 마을복지 전국 최우수상」을수상하는 쾌거를 이뤘으며,저출산 극복을 선도하는 지방정부로 선정되었습니다.이 모든 결실은 구민 여러분의 참여와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존경하는 성북구민 여러분!작금의 혼란한 상황속에서도대한민국의 새로운 아침이 열렸다고 생각합니다.시민이 이땅의 주인임을 밝히며, 민심을 담은 헌법에 따라대한민국을 이끌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입니다.국민에게 주권이 있다는 민주주의와함께 살아간다는 공화의 원리로시민이 주인으로서 더불어 살아가는 나라입니다.성북구는 시민의 정부·참여자치·생활정치를 구정철학으로아동이 행복한 시민으로 성장하고,마을에서 생활민주주의·동행민주주의를 선도하며2017년 ‘더불어 행복한 동행(同幸) 공동체’를 만들겠습니다.성북구는 책임있는 지방정부로서 시민들 곁에 늘 함께 하겠습니다.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함께 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2017. 1. 1.성북구청장 김 영 배 존경하는 50만 성북구민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input image 2017년 정유년(丁酉年)의 희망찬 새해가 밝았습니다. 다사다난했던 2016년을 아쉬운 마음으로 보내며, 2017년 새해에는 희망찬 기운을 받아 구민의 행복지수가 더욱 높아지길 기원합니다. 지난해 성북구의회는 구민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장애인복지위원회 운영, 한부모 가족 지원, 발달장애인 지원, 범죄피해자 보호 등의 조례를 제정하고, 역사문화시설, 성북구마을사회적경제센터, 도시통합관제센터, 마을공동체, 재개발 지역 등을 둘러보며 현장에서 길을 찾고자 노력해왔습니다. 또한, 해마다 요금폭탄으로 구민 여러분들을 괴롭혔던 전기요금 체계를 개선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력공사, 국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등에 전달했습니다. 아울러, 2016년도에도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개선 의원연구단체’,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 등 3개의 의원연구단체를 구성하여 전문성을 제고하고 우리 구의 현실에 맞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존경하는 성북구민 여러분!성북구의회는 집행부와 견제와 균형으로 소통하고 화합하는, 교육과 연구 활동으로 전문성 있고 신뢰받는, 구민과 더욱 가까이 소통하는, 구민에게 희망과 믿음을 주는 의회가 되겠습니다. 성북구의회는 개운산에 있지만, 마음만은 구민 여러분의 바로 옆집에 있습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두드려 주십시오. 마음의 문을 열고 기다리겠습니다. 2017년에도 아낌없는 성원 부탁드립니다.50만 성북구민 여러분,사랑하고 존경합니다.2017. 1. 1.성북구의회 의장 정 형 진 ]]> Fri, 23 Dec 2016 17:44:56 +0000 13 <![CDATA[둥근 엄마, 나의 새로운 가족 ]]> < 읍면동 복지허브화 성공적 추진을 위한 우수체험수기 당선작소개 >지난 2015~2016년 보건복지부 사회보장급여 이용 및 사례관리체험수기에 공모하여 가작에 당선 되었습니다.나의 새로운 가족박영민(가명, 17세, 남)엄마는 초등학교 1학년에 집을 나가셨다. 엄마가 안 계셨던 나는 자주 외로워서 울곤 했다. 초등학교 5학년, 엄마가 안 계시다는 게 적응이 될 무렵 이번엔 알코올중독으로 아버지가 정신병원에 입원하셨다. 그렇게 난 철저히 혼자가 되었다. 집에 들어와 불을 켜면 흐르는 적막감……. 그게 나의 가족이었다. 밤새 혼자인 것도, 혼자 먹는 편의점 도시락도, 귀찮으면 안 먹고 지내는 하루가 내 삶의 전부였다.그런데 이 침묵을 깨는 사건이 발생했다. 어느 날 주민센터 선생님이라는 사람이 집에 찾아온 것이다. 요즘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해서 왔다고 했다. 병원에서 휴가를 받고 오신 아버지는 그날도 술에 취한 상태셨다. 선생님은 나에게 물었다. “영민이는 지내면서 힘든 점이나 불편한 점은 없니?” 난 몸이 많이 말랐다. 신체검사에서는 빈혈이라고 나왔고 가끔 머리가 어지러웠다. 그래서 살이 찌고 싶은데, 잘 되지 않았다. 수급비는 월세와 공과금을 내기에도 빠듯한 금액이었고, 하루 한 끼 지원되는 급식카드는 편의점 도시락을 사먹기도 부족했다. 그래서 내가 택한 방법은 학교에 다녀온 후 배가 고프기 전에 미리 잠들어서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었다. 그렇게 하면 하루 한 끼가 지원되는 급식카드로 저녁 겸아침을 먹을 수 있었다. 편의점 도시락 한 끼가 내가 집에서 먹는 유일한 밥이었다. 그래서 난 대답했다. “고기가 먹고 싶어요”라고.주민센터 선생님은 알겠다고 하고선 집을 여기저기 둘러보더니 돌아갔다. 그리고 다신 안 올 줄 알았던 선생님이 1시간 만에 돌아왔다. 어리둥절하게 문을 열었던 나에게 선생님은 한아름 선물을 줬다. 추석선물이라고 했다. 새삼 추석이라는 것을 느낀 나는 선물을 하나씩 풀어보았다. 햄, 참치, 라면, 쌀……. 이번 연휴에는 먹을 게 많다고 생각하니 조금 웃음이 났다. 추석연휴가 지나고 다시 선생님에게 연락이 왔다. 급식카드 한도를 늘려주었다는 것이다. 이제 하루 두 끼를 먹을 수 있다는 생각에 안도감이 들었다. 선생님은 같이 고기를 먹으러 가는 게 어떻겠냐고 물었지만 나는 그건 왠지 부담스러워서 싫다고했다. 그 후에도 선생님은 여러 번 찾아와 반찬과 과일을 사다주고 갔다.11월의 어느 날, 선생님이 장학금을 추천해줘서 받은 날이었다. 큰돈이 생긴 나는혹시나 잊어버릴까봐 받자마자 가방에 넣어서 왔다. 집에 와서 하얀 봉투에 들은 장학금을 자랑스럽게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학교에 다녀왔는데 봉투가 감쪽같이 사라졌다. 당황스러웠지만 더 무서운 건 집에 도둑이 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누구에게 말을 해야겠는데 딱히 말할 곳이 없었다. 나는 선생님에게 전화를 했다. 장학금을 추천해줘서 받았는데 잃어버렸다고, 죄송하다고 이야기했다. 선생님은 괜찮다고 하며 어찌된 것인지를 물었고 나는 아마 집에 도둑이 든 것 같다고 말했다. 선생님은 그 후에 아빠와 친척들과 여러 번 만나서 이야기를 나눴고 결국 주민센터 근처의 더 깨끗하고 안전한 집으로 이사를 할 수 있었다.처음에는 선생님이 자주 찾아오는 것도, 이야기하는 것도 부담스러웠다.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서였을까? 하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이제는 자연스러워졌다. 지금도 선생님과 자주 연락을 하며 진로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고민 상담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도움에 감사한 마음이 든다. 선생님은 알고 있을까? 이제 난 세상이 따뜻하다는 것을 믿게 됐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보내주신 원고는 편집방향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반드시 본인의 작품을 보내주시기 바라며,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Sat, 24 Dec 2016 09:47:41 +0000 13 <![CDATA[불법 주·정차 CCTV 단속 휴대폰 문자 알림 서비스 신청하세요 ]]> http://www.seongbuk.go.kr → 마을·생활정보 → 교통 → ‘주·정차 위반 휴대폰 문자알림’ 클릭 → 신청- http://parkingsms.seongbuk.go.kr에 접속, 신청신청서를 작성하여 동주민센터 또는 성북구청 교통지도과에 제출(교통지도과 FAX : ☎ 02-2241-6559)※ 본 서비스는 성북구 관내 지역 안에서 성북구가 설치한 고정식 CCTV 단속 시에만 제공되며, 성북구 외 타 지역과 타 기관에서 설치한 CCTV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성북구 관내에 서울시가 주요 간선도로에 설치한 10대의 CCTV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문자 알림서비스는 서비스 차원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수신여부와 관계없이 불법주·정차 단속 및 과태료가 부과됩니다문의: 교통지도과 ☎ 02-2241-3514 Q&A로 보는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Q 청탁금지법상 공무수행사인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A ① 각종 법령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의 공직자 등이 아닌 위원 (ex. 의료급여심의위원회, 건축위원회, 계약심의위원회, 성북구부동산평가위원회 등),② 권한을 위임·위탁받은 법인·단체 또는 그 기관이나 개인 (ex. 종합사회복지관, 성북지역자활센터, 성북구 국·공립어린이집 등),③ 공무 수행을 위해 민간부문에서 공공기관에 파견 나온 사람 (ex.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따라 공공기관에 파견 나온 사람 등),④ 법령에 따라 공무상 심의·평가 등을 하는 개인 또는 법인·단체 (ex. 공사감리자, 한국간호교육평가원, 지능형건축물 인증기관 등)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공무수행사인으로서 법 적용 대상자에 해당합니다.Q 부정청탁을 하였으나 그에 따라 공직자 등이 직무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재 대상이 되나요?A 청탁금지법은 부정청탁을 한 내용의 실현 여부와 무관하게 부정청탁 행위 그 자체를 금지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부정청탁 내용이 실현되지 않은 경우에도  부정청탁을 한 자는 제재 대상에 해당합니다.문의 : 감사담당관 ☎ 02-2241-2153 우리 동네 자원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자원봉사캠프란?자원봉사활동을 가까운 곳에서 할 수 있도록 동주민센터에 설치된 동네 자원봉사센터로, 자원봉사 상담가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활동처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자세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및 활동상담은 가까운 주민센터의 자원봉사캠프로 문의해주세요. 다음 호에는 월곡2동,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동 자원봉사캠프에서 진행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소개됩니다.문의 : 성북구 자원봉사센터 ☎ 02-2241-2363 암 건강검진! 나와 가족 사랑의 시작입니다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검진기간 : 검진 안내문을 받으신 해당연도(매년 1월 1일~12월 31일)검진절차 : 검진기관에 사전 예약 후 방문하여 검진검진기관 : 검진 안내문에 안내된 암 검진 지정병원 (※ 보건소는 암 검진 기관이 아닙니다)준비물 : 신분증, 검진표검진결과 : 검진 후 15일 이내 검진기관에서 결과 통보문의 : 보건소 의약과 검진팀 건강검진실(2층) ☎ 02-2241-6091~3 2017년 스포츠강좌이용권 신청 및 이용 안내신청 대상자 :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에 따른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만 5세~만 18세 유·청소년(기준 출생연도 1999~2012년)* 차상위 장애·자활·본인부담경감·확인서 발급대상 / 법정한부모지원가구신청기간 : 2016. 12. 12.(월) 09:00~2017. 1. 13.(금) 18:00※ 매년 1회만 신청 및 접수를 받으므로, 신청기간 내 꼭 접수 바랍니다.신청방법 : 스포츠강좌이용권 홈페이지(www.svoucher.or.kr)를 통하여 자녀 명의로 회원가입 및 신청※ 자녀가 여러 명일 경우 각각 회원가입하여 신청※ 기존 회원은 홈페이지에서 재신청※ 신청문의 : 스포츠강좌이용권 상담센터 ☎ 02-410-1298∼9(평일 09:00∼18:00)제출서류 : 아래의 경우 증빙자료 별도 제출- 장애가 있는 유·청소년- 자녀가 3명 이상인 다자녀가구 내 유·청소년- 부모 중 1인이 외국인인 다문화가구 내 유·청소년지원금액 : 1인당 매월 8만원(1강좌) 범위 내 스포츠강좌 수강료 지원(지원금 초과 및 지원기간 이후에는 본인부담)지원기간 : 2017. 2월~ 7월(6개월)유의사항 : 2017년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 사업(2017년 2월 시행예정)과 중복으로 지원을 받을 수 없으므로, 문화·여행·스포츠관람(1인당 연 5만원)의 혜택을 받고자 하는 분들은 신청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16년도에 통합문화이용권을 받으신 분들은 기간 내 신청이 가능합니다.)문의 : 문화체육과 생활체육팀 ☎ 02-2241-2624스포츠강좌이용권 ☎ 02-410-1298, 1299(홈페이지 : www.svoucher.or.kr) 성북구보건소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 모집성북청춘건강대학 접수기간 : 2016. 12. 26.~선착순 마감대상 및 인원 : 관내 60~75세(선착순 100명)강좌일시 : 2017. 4. 3.~6. 30.(매주 월·금 10:00~11:00, 수 10:00~12:00)장소 : 성북구보건소 9층 sb문화홀강사 : 전문운동강사 및 건강강좌 주제별 전문강사교육내용- 운동과정(월·수·금), 건강강좌(수요일)- 정규 프로그램이 끝난 후 운동 지속화 프로그램으로 앙코르 운동 교실 및 개운산걷기 동아리 연계 운영신청방법 : 전화접수(성북구보건소 의약과 ☎ 02-2241-6143)관절염자조교실접수기간 : 2016. 12. 26.~선착순 마감대상 및 인원 : 관내 60~75세 관절염 환자(선착순 60명)강좌일시 : 2017. 3. 7.~ 5. 30.(매주 화·목 14:00~16:00)장소 : 성북구보건소 9층 sb문화홀강사 : 대한류마티스 건강전문학회 전문강사교육내용- 관절염에 대한 이해, 근력강화 운동과 통증 다스리기- 골다공증 예방과 영양섭취- 관절변형 예방법- 근관절강화 타이치 운동 배우기신청방법 : 전화접수(성북구보건소 의약과 ☎ 02-2241-6143) 성북구의 협동조합을 소개합니다마을담은극장 협동조합마을담은극장 협동조합은 자주적, 자립적, 자치적인 조합 활동을 통하여 지역형 극장 모델의 개발, 시민/전문예술가의 양성, 그리고 지역의 건강한 공연문화 생산/소비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예술인들로 구성된 조합원들이 극장시설을 운영, 기획프로그램 개발, 지역 시민/전문예술인들을 대상으로 한 극장 프로그램의 연구, 실행을 목적으로 새로운 민·관 협력형 극장운영모델을 제시하는 협동조합입니다.주요 사업- 2016 미아리고개예술극장 민·관 협력 프로젝트 [M.A.P._공연예술 플랫폼 프로젝트 <Miari Art theater Platform>]- 지역극장의 ‘대안적 공연예술’ 실험 프로젝트- 지역사회 예술가 및 창작실험을 필요로 하는 공연예술인(단체)들과 극장 공간의 활용 범위 확장문의 : 마을담은극장 협동조합 ☎ 010-9936-2777성북문화재단 마을공유극장팀 ☎ 070-8644-8195이메일 : seongbukcooptheater@gmail.com※ 소재지 : 성북구 동소문로23길 7-7(동선동) 협동조합 성북나눔돌봄센터협동조합 성북나놈돌봄센터는 나눔의 집 정신에 기반하여 자주적·자립적·자치적인 조합 활동을 통하여 구성원의 복리증진과 상부상조를 도모하며, 지역 내 어르신들의 고독, 간병, 경제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해감을 목적으로 합니다.주요 사업재가방문요양- 요양보호사가 대상자 가정을 방문하여 신체활동, 인지활동, 정서, 가사, 일상생활지원 및 신체상태변화 관찰- 하루 4시간, 월평균 20일 서비스 제공※ 이용료, 신청절차 등 자세한 사항은 전화 또는 메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문의 : 협동조합 성북나눔돌봄센터 ☎ 02-921-7419팩스 ☎ 02-741-7929, 이메일 : coopnanum@hanmail.net※ 소재지 : 성북구 삼선교로11길 24, 3층(삼선동) 1월은 등록면허세(면허분) 납부의 달입니다납부기간 : 2017. 1. 16.~1. 31.납부방법 : 전국은행(본·지점), 농협·수협, 우체국, 새마을금고, 신협 인터넷(http://etax.seoul.go,kr)에서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 납부 세금납부용 전용(가상)계좌를 통한 납부 편의점, 은행 현금지급기(CD/ATM) 납부문의 : 세무2과 ☎ 02-2241-4157 내 집 내 점포 앞 눈은 내가 치워야 합니다2006년부터 건축물관리자의 제설·제빙에 관한 조례가 시행되었습니다. 내 집 내 점포 앞 눈은 내가 치워 내 가족 내 이웃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합시다.문의 : 도로과 ☎ 02-2241-3563 2017. 학력인정 문해교육 수강생 모집(성북강북교육지원청)모집기간 : 2017. 1. 2.(월)~정원 마감시 교육비 : 전액 무료※ 개인 수준에 따라 단계 선택 가능하며, 초등 6년 과정을 3년에 수료 가능특전 : 3단계 이수자에게 서울특별시교육감 명의 학력인정서 발급문의 : 성북강북교육지원청 평생교육건강과 ☎ 02-944-9353 「2017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에 참여하세요차가운 바람보다 사람들의 무관심에 더욱 추워할 우리 이웃들을 위해 올겨울에도 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추진기간 : 2016. 11. 14.~2017. 2. 14.(3개월)지원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저소득 노인·장애인, 실직·질병 등으로 신체적·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면서도 제도상 지원을 받지 못하는 틈새계층 등참여방법- 성북구 복지정책과 또는 각 동주민센터 성금, 성품 기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성북구 전용계좌[우리은행 015-176590-13-530]에 성금 입금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06 알고 계세요? 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인감증명제도와 동일한 효력으로 본인이 직접 서명한 사실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발급방법 : 구청 및 동주민센터에 본인이 직접 방문 신청종류- 본인서명사실확인서 : 2012. 12. 1.부터 시행 중- 전자본인서명확인서 : 2013. 8. 2. 시행(온라인 발급시스템 이용 신청)※ 단, 제출처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소속기관 포함)만 해당, 등기소는 2017년 시행 예정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거주지 동주민센터 보도공사 Closing11동절기에는 보행자 안전 및 공사 품질을 위하여 보도굴착공사는 전면 통제되오니, 구민 여러분의 많은 협조 부탁드립니다.(※ 단, 주민생활과 직결된 소규모 굴착복구공사(수도·가스·통신 등)는 가능)동절기 : 2016. 12. 1.~2017. 2. 28.소규모 굴착공사 : 길이 10m, 너비 3m 미만인 공사를 말함문의 : 도로과 ☎ 02-2241-3583 ]]> Sat, 24 Dec 2016 09:52:53 +0000 13 <![CDATA[성북구, 어르신 7만여 명과의 ‘인생 2막' 동행 ]]>   성북구, 어르신 7만여 명과의 ‘인생 2막' 동행성북구 전체 인구 중 약 14%를 차지하고 있는 65세 이상 어르신들! ‘노인은 수혜의 대상이 아니라 마을의 미래를 만드는 주인공’이라며, 상생하는 지역문화를 만들고 있는 성북구 어르신들의 눈부신 활약을 소개합니다. 세대가 화합하는 공동작업장“돈보다도 여기 와서 일을 하니 건강해지고 보람있어요”“어르신들께 안심하고 먹거리를 맡기면서 오히려 우리가 배웁니다”■ 전국 최초로 경로당이 ‘어르신 공동작업장’으로 변신!■ 청년기업·협동조합이 힘을 합쳐 친환경 먹거리 제조·판매■ 어르신들 손에는 시간보내기용 화투장 대신 손주에게 줄 용돈을 버는 작업봉투!■ 단순한 일터가 아닌 어르신 세대와 청년 세대가 함께 꿈을 키우는 공간으로 현재 4개소 운영 중 어르신들이 만드는 안전한 동네동행(同幸) 어르신 보안관“어르신 덕분에 든든해요”“동네 어른으로서 봉사할 수 있어 뿌듯합니다”■ 2012년부터 60여 개 단지 200여 명의 동행(同幸) 어르신 보안관이 곳곳에서 활약■ 공동주택단지 안 휴게장소, 공원 순찰하면서 청소년의 비행·탈선 방지■ 쓰레기 무단투기, 위험시설물 등 주민 불안 요소 제거 노인정책 예산 직접 정한다찾아가는 어르신 마을토론회“모여서 얘기하니 다른 동의 어려움도 알 수 있고, 내가 원하는 것을 구청장에게 직접 말하니 속이 시원해요”■ 평균 나이 70대 어르신이 모여 마을토론회를 통해 정책 참여■ “시민 자격에 나이는 없다”며 활발한 토론 ■ 총 4회에 걸친 토론회에서 노래교실·웃음치료 사업 등 다양한 제안 쏟아져■ 현장투표 통해 총 11개 사업, 1억원 규모로 2017 어르신 주민참여예산 사업에 반영 ]]> Sat, 24 Dec 2016 09:56:03 +0000 13 <![CDATA[사랑의 김장나눔, 곳곳에서 열려 ]]> 12월 1일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가 안암동주민센터에서 진행됐다. 이날 행사는 사단법인 좋은인연의 주관으로 30여 명의 자원봉사자가 모여 400포기의 김장김치를 담갔다. 좋은 인연 관계자는 “자원봉사자들이 힘을 모아 매년 김장나누기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이렇게 전달하는 작은 정성이 어려운 이웃들의 따뜻한 겨울나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따뜻한 마음과 정성으로 맛깔스럽게 버무린 김장김치는 홀몸어르신과 생활이 어려운 이웃 등 돌봄 사각지대 80가구에 전달되었다.[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566011월 22일 장위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어려운 이웃을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행사를 가졌다. 이날 정성으로 담근 480포기의 김장김치는 관내 경로당 4개소를포함하여 홀몸어르신, 장애인, 한부모,다문화가정 등 160세대에 전달되었다. 장위1동 복지협의체 조은로 위원장은 “김장철 이웃끼리 김치를 나눠먹던 아름다운 전통을 되살려 어려운 이웃이 따뜻한 겨울을 보내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장위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거취약계층 집수리 봉사, 홀몸어르신 생신상 차려드리기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명예기자 문영임 [정릉1동]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310어르신들과 행복해지다정릉1동에는 매주 두유를 전달해 드리며 홀몸어르신을 살피는 봉사자들이 있다. 이들은 홀몸어르신들에게 어떻게 하면 도움을 더 줄 수 있을까 방법을 찾던 중 주민참여 공모사업에 참여하여 ‘어르신 행복만들기’를 진행하게 되었다. 봉사자들과 함께 어르신들은 무뎌지고 미세하게 떨리는 손으로 리본을 달아 화분을 만들고 몇 걸음 걷고 쉬어가며 영화 ‘럭키’ 관람을 하였다. 잘 까지지 않는 자몽 껍질과 사투 아닌 사투를 벌이며 감기예방에 좋은 자몽청을 만들기도 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어르신은 “화분에 이름도 지어주고 가족이 생긴 것 같아 마음이 따뜻하다”며 소감을 전했다.명예기자 우은주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70훈훈한 정을 실어 나릅니다매년 소외된 이웃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해 도원교통이 연탄 나눔 봉사를 실시해 화제가 되고 있다. 도원교통 소속 도원 봉사단원은 총 122명으로 매달 2만원씩 회비를 모아정릉골에 80만원 상당의 쌀과 생필품을 매월 전달하고, 겨울철에는 연탄 봉사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난 11월 13일에는 총 3,300장의 연탄을 11가구에 전달했다. 도원교통 김정한 사장님과 도원봉사회 이중기 회장님을 비롯해 가족 단위로 온 회원들도 두 팔을 걷어붙이고 연탄을 나르며 기쁨을 나눴다. 연탄을 전달받은 주민은 “추운 겨울 난방비 걱정이 앞섰는데 연탄을 받게 돼 한시름 놓았다”며 고마움을 전했다.명예기자 김수희 [길음2동] 길음2동주민센터 ☎ 02-2241-5830보건소와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파티12월 6~7일 성북구보건소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편식개선을 위한 크리스마스 영양파티가 펼쳐졌다. 산타할아버지가 커다란 선물 보따리를 들고 나타나 아이들에게 당근을 좋아하냐고 물어보시며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잘먹는 친구들에게만 선물을 나눠준다고 하니, 아이들은 서로 앞다퉈 좋아하는 채소들을 이야기했다. 쿠킹클래스 시간에는 깨끗이 손을 씻고 앞치마와 모자까지 챙겨 쓴 뒤 고구마와 생크림을 켜켜이 올리고 견과류로 장식해 영양만점 컵케이크를 완성했다. 함께 참가한 학부모들은 “편식하지 않겠다고 약속하고 아이들과 직접 컵케이크를 만들 수 있어서 좋았다”고 소감을 전했다.명예기자 김수정[월곡2동] 월곡2동주민센터 ☎ 02-2241-5633밥 한 끼로 희망을 나누다지난 11월 9일, 복지사업 기금 마련을 위해 월곡2동복지협의체(위원장 윤재성)가 개최한 행복나눔 일일밥집 행사가 성황리에 끝났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저녁 8시까지 복지협의체 위원의 협조를 받아 관내 음식점에서 보쌈, 국수 등을 판매하였는데 밥 한 끼로 작은 기부에 참여하려는 따뜻한 마음들로 가게는 북적거렸다. 윤재성 위원장은 “많은 주민들의 관심 속에 행사가 잘 끝난 것 같다. 기금이 좋은 사업에 쓰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명예기자 이희자 [장위2동] 장위2동주민센터 ☎ 02-2241-5705반찬나누기로 이웃사랑 실천해요사랑의 반찬나누기 행사가 장위2동주민센터에서 11월 29일 열렸다. 새마을부녀회(회장최명복) 주관,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이강회) 후원으로 열린 이날 행사는 10여 명의 부녀회 회원들이 직접 젓갈을 담갔으며, 새마을부녀회 최명복 회장은 “어려운 이웃에게 추운 겨울이 조금이나마 따뜻해지기를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완성된 젓갈은 독거어르신, 장애인가정, 한부모가정 등100가구에 전달되었으며, 젓갈을 받은 한 어르신은 “정성들여 만든 반찬을 나눠주니 올 겨울은 외롭지 않다”고 고마움을 표현했다. [석관동] 석관동주민센터 ☎ 02-2241-5760얘들아, 폼클레이 놀이하자~석관동 새마을문고(회장 서호정)는 11월 26일 토요일 오전 11시 석관동주민센터 3층에서 ‘꿈드림’ 행사를 가졌다. 꿈드림 행사는 석관동 관내 초등학생들이 다가오는 12월 크리스마스를 맞아 폼클레이를 이용해 크리스마스 트리장식을 만드는 것이다. 폼클레이는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으며, 손에 잘 묻어나지 않고 건조 후에도 갈라지지 않아 작품 완성 후 장기 보관도 가능하다. 아이들은 작은 손으로 조물조물 섞어서 다양한 색상도 만들고, 창의력, 상상력 및 오감발달에 효과적인 체험이었다.명예기자 황규은             ]]> Sat, 24 Dec 2016 09:59:18 +0000 13 <![CDATA[2016년 시민이 뽑은 서울시 좋은 정책은? ]]> 콜택시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콜버스는 스마트폰을 통해 목적지 및 경로가 비슷한 승객을 모아 운송하는 서비스로, 일요일·공휴일을 제외한 심야 시간대(밤 11시~새벽 4시)에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비용은 택시 심야할증요금의 70~80%수준. 현재는 시행 초기 단계로 강남, 서초, 송파, 강동, 광진, 성동, 용산, 동작, 관악, 마포, 영등포, 동대문, 중랑 등 13개 구에서 운행 중이나, 출발지는 강남구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심야 콜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승차난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홍대(마포구), 종로(종로구) 등 다중 거점 방식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문의 택시물류과 ☎ 2133-2317 2위_시민의 사랑이 듬뿍~ 한강 몽땅 여름축제한강이 피서지다!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한강몽땅은 2년 연속 1,200만 여명의 시민들이 방문함으로써 명실 공히 서울 대표 여름축제로 성장하였다. 한강몽땅은 매년 여름 시민들이 가까운 한강에서도 풍성한 휴가를 보낼 수 있도록 시원한 물놀이부터 낭만적인 문화공연에 이르기까지 몽땅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시민들에게 아름다운 추억을 선사하고 있다.문의 한강사업본부 ☎ 3780-0718 3위_꾸미고 꿈꾸는 학교화장실 조성학교시설학교시설 중 가장 불편하고 불만족스러운 곳으로 조사된 학교 화장실을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아이들의 손으로 직접 바꾸는 이색적인 프로젝트로, 사용자인 학생은 물론 학부모, 교사, 다자인디렉터가 디자인 TF팀을 구성하여 어둡고 악취 나는 화장실을 밝고 유쾌한 공간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시행 첫 해인 2015년 175개, 2016년 265개 학교 화장실을 개선했다. 문의 교육정책담당관 ☎ 2133-3930 4위_서울공공자전거 따릉이 확대따릉이는 서울시의 교통체증, 대기오염 문제를 줄이고 서울시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대중교통과 연계한 근거리 생활교통수단으로 도입되었다.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무인대여 시스템으로 24시간 대여가 가능하고, 모든 대여소 상호간에 대여·반납이 가능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 하다. 문의 자전거정책과 ☎ 1599-0120 5위_저소득층 청소녀 위생용품 지원저소득층 청소녀(女)들을 위해 생활필수품인 생리대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초수급대상 청소녀들의 신청을 받아 생리대를 주거지로 배송하고, 청소년 이용시설에 비치하고 있다. 문의 여성정책담당관 ☎ 2133-5014 6위_역세권 2030 청년주택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에 청년을 위한 임대주택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사업이다. 민관이 협력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 사업참여자에게 규제완화, 절차간소화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청년을 위한 임대주택을 대량공급 한다. 문의 임대주택과 ☎ 2133-4938~4942 7위_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조성 일본군 위안부의 뼈 아픈 피해를 알리고 이를 기억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조성한 공간이다. 남산공원 통감관저터를 기억의 터로 새롭게 조성했다. 치욕의 공간이 한 세기만에 시민 참여를 통해 새로운 역사 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문의 여성정책담당관 ☎ 2133-5042 이밖에 8위 공공무선인터넷(wifi)인프라구축 9위 여성안심특별시2.0. 10위 세계3위 국제 컨벤션 도시 선정등이 시민의 사랑을 차지한 서울시 정책으로 뽑혔다. 시민감사옴부즈만이 시민 고충 해결!잘못된 행정처분, 관행으로 불편을 겪고 있으면 연락주세요!시민감사옴부즈만이 시민의 권익을 보호해드립니다.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서울시민 누구나어떻게 이용하면 되나요? 전화 2133-3114, 이메일 ombudsman@seoul.go.kr, 방문 중구청계천로 8, 7층어떤 역할을 하나?- 고충민원의 조사·처리 및 민원 조정·중재 제도 운영(민원배심법정 등), 공공사업에 대한 감시·평가, 시민·주민감사 청구사항 감사,※ 시민감사옴부즈만의 활동사례는 위원회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 가능 http://blog.naver.com/ombudsman_seoul 한지붕 세대공감 사업 신청자 모집어르신의 고립감을 해소하고 대학생에게 주변 임대료보다 저렴한 주거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사업대상 : 주택(방1개 이상)을 소유한 60세 이상 어르신, 서울 소재 대학(원)생 및 휴학생지원내용 : 어르신-1실당 환경개선공사(도배·장판 등) 지원 (100만원 이내) 대학생-보증금 없이 인근시세보다 저렴한 월 임대료※ 월 임대료 및 추가 발생 비용(전기료, 수도세 등)은 주거상태 등을 감안하여, 어르신과 대학생 상호간 협의에 의해 조정 가능 문의 ☎ 주택정책과 2133-7037 상세주소로 우편물 정확하게 받아보세요도로명주소의 건물번호 뒤에 표시되는 동·층·호 정보인 상세주소는, 원룸·다가구주택·단독주택 중 2가구이상 거주주택, 일반상가, 업무용 빌딩 등 임대하고 있는 건물에 부여된다. 상세주소를 기재하면 건물 내 정확한 위치 안내로 우편물·택배 등의 전달·수취가 정확하며,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원룸·다가구주택 등의 소유자 또는 임차인은 상세주소를 신청할 수 있다. 민원24(www.minwon.go.kr)에서 인터넷 접수를 할 수 있으며, 해당 건물의 관할 소재지 구청을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신청해도 된다. 문의 자치행정과 ☎2133-5841 ]]> Sat, 24 Dec 2016 10:06:20 +0000 13 <![CDATA[2017 정유년(丁酉年) 해맞이 행사 ]]> 변경된 종량제 봉투- 서울시 종량제 수수료 단계별 인상 계획에 따라 2017. 1. 1.자로 우리구 종량제 봉투값이 아래와 같이 2차 인상됩니다(2015. 7. 1.자 1차 인상).인상 재원은 날로 증가하는 쓰레기 처리비용 충당, 노후한 청소시설장비 개선 등에 사용됩니다. - 주민편의 증진을 위해 청소대행업체별로 구분되어 있던 종량제 봉투를 통합하여 2017. 1. 1.부터는 관내 모든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개선하였고, 서울시 최초로 봉투 겉면에 영어·중국어를 병행 표기하여 외국인 사용자의 편의성도 높였습니다.- 또한 사업장(영업장)에서 배출하는 연탄재는 2017. 1. 1.부터 유상수거하며, 20ℓ영업용 종량제 봉투에 연탄재 원형 그대로 6장을 담아 배출하셔야 수거합니다(일반가정 배출 연탄재는 기존과 같이 무상수거 유지).※ 전체 인상내역은 성북구청 홈페이지 마을·생활정보 ▶ 환경·위생·청소 ▶생활쓰레기 배출안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일반쓰레기)☎ 02-2241-4410(음식물쓰레기) 자동차세 연세액을 10% 할인된 금액으로 1월에 신고납부 하세요2017년 1월 중에 1년분 자동차세를 미리 내시면 전체 세액의 10%를 할인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를 1년에 두 번 내는 번거로움도 줄이시고 10% 할인도 받으세요.자동차세 연납 방법- 인터넷 : 서울시 ETAX(http://etax.seoul.go.kr)에서 직접 신고납부- 전화 또는 방문 신청 : 성북구청 세무2과(☎ 02-2241-4145, 4144, 4142)신고납부기간 : 2017. 1. 16.∼1. 31.발송된 고지서로 납부- 납세자의 편의를 위하여 2016년 연납 납부자에 한하여 일괄 발송예정※ 자동차세를 연납하신 후 차량양도, 폐차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에는 그 이후 기간에 대한 자동차세를 환불하여 드립니다문의 : 세무2과 ☎ 02-2241-4145, 4144, 4142 지역주택조합 꼼꼼하게 따져보세요최근 지역주택사업이 추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합원가입을 일반분양으로 잘못 알고 사업에 참여하여 재산상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있어, 지역주택조합의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우리구에서는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 홍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관련 자료는 성북구청 홈페이지 우측 상단의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를 선택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홍보유인물은 구청 및 각 동주민센터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원 자격요건은 조합설립 인가 신청일 현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무주택자 또는 주거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1채 소유한 세대주여야 합니다.지역주택조합사업의 추진과정을 따져보세요!input image조합원모집 과정에서 세대수, 층수 등 확정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95% 이상의 토지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지확보 가능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문의 : 주거정비과 ☎ 02-2241-2913, 2915 <비정상의 정상화>경찰관서 등 관공서 주취소란 행위, 피해자는 결국 내 가족입니다「경범죄처벌법」 <개정 2013. 5. 22.>3조③ 술에 취한 채로 관공서에서 몹시 거친 말과 행동으로 주정하거나 시끄럽게 한 사람은 6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의 형으로 처벌한다.문의 : 서울성북경찰서 정릉파출소 ☎ 02-914-0912 ‘성북소리’는 웹진, 모바일 앱으로도 볼 수 있어요- 우리 구의 소식을 쉽고, 편리하게,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북소리 웹진 : webzine.seongbuk.go.kr로 접속- 모바일 앱 : 구글플레이 또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설치 노무사가 함께하는 노동법률 무료상담소중한 노동의 권리, 알아야 지키고 알아야 지켜집니다. 매주 화요일 오후, 성북구에서 무료 노동법률 상담 받으세요.접수방법 : 접수는 아무 때나, 전화접수(☎ 02-909-3988)상담실 : 성북구노동권익센터(성북구 화랑로 211, 성북구 벤처창업지원센터 206호)문의 : 성북구노동권익센터 ☎ 02-909-3988 수도요금 납부 편리한 제도 이용하시고, 감면도 받으세요신청방법 : 전화, 인터넷, 방문신청- 전화신청 : 다산콜센터(국번없이 ☎ 120),중부수도사업소 민원실(☎ 02-3146-2000)- 인터넷신청 : 아리수 사이버고객센터(i121.seoul.go.kr) :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신청 E-tax 홈페이지 및 인터넷 지로사이트 (www.giro.or.kr) : 자동납부만 가능방문신청 : 중부수도사업소 및 금융기관(자동납부만 가능) - 수도요금 고지서, 신분증, 통장, 도장 지참수도요금 고지서를 전자고지로 받으면 1석3조의 효과!- 상수도 요금의 1% 감면(최소 200원~최대 1,000원)- 종이로 인한 환경오염 예방 및 개인정보 보호문의 : 서울중부수도사업소 ☎ 02-3146-2000 면허시험장 방문시간 인터넷 예약으로 운전면허 발급을 쉽고 빠르게내용 : 면허시험장 방문 시간을 미리 정해 대기시간 단축대상업무 : ①운전면허 적성검사 ②갱신 ③재발급시행일자 : 2016. 10. 11.(화)부터 서비스 시작신청방법 :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 e-운전면허 ▶ 방문시간 예약문의 : 도로교통공단 도봉운전면허시험장 ☎ 02-2092-0123 정치후원금을 기부하고, 좋은 정치로 돌려받으세요정치후원금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 됩니다.기부방법 하나, 선거관리위원회 기탁금 계좌로 이체 및 방문기부 :기탁금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31-647893(예금주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기부방법 둘, 신용카드 포인트로 기부 : 인터넷 또는 모바일에서 정치후원금센터(www.give.go.kr) 이용기부방법 셋, 카드사(신한, 롯데) 홈페이지 이용 기부문의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 ☎ 02-923-1390 간첩·테러범·방산스파이·사이버테러·군사보안 신고·상담은 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 1338(신규번호, 2016. 10. 1. 부터) 또는 ☎ 1661-1133(가장 가까운 군부대)주민 여러분의 소중한 신고정신은 신속한 작전종결을 가능하게 합니다.많은 관심 바랍니다. ]]> Sat, 24 Dec 2016 10:10:32 +0000 13 <![CDATA[2017 미술관 속 영화관 「All That Music」 외 ]]> 진행기간 : 2017. 1. 4.(수)~1. 20.(금)상영시간 : 매주 수·목·금 15:00, 일 1회 상영(총 9회)상영장소 : 성북구립미술관 제2전시실(2층)내용 : 음악을 테마로 선정 된 영화 및 영상 상영관람료 : 무료대상 : 일반인(회당 15명 선착순)참여방법 : 전화예약※ 상영영화는 기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예약 및 문의 : 성북구립미술관 ☎ 070-8644-8338, ☎ 02-6925-5011 미디어로 만드는 마을, 성북마을TV 1월 주간편성표시청방법 :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방송시간 - 본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다시보기 : 홈 페이지 내 [성북마을TV] → [프로그램] 게시판편성표 (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성북구 한국문화대학 제6기 수강생 모집 성북구 한국문화대학은 시민들의 노후대비 제2의 인생준비를 위한 평생교육기관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재교육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양과 취미활동, 나아가 대인관계의 폭을 넓히는 소중한 기회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모집기간 : 2016. 12. 26.~2017. 2. 10.접수처 : 성북구청 12층 북카페(☎ 02-922-3233)등록금 : 9만원(1학기 6개월간 전 과목)교육기간 : 6개월 1학기교육장소 : 삼선동주민센터 2층 강의실강의내용 : 한자강사자격증, 댄스스포츠강사 자격증, 경매실전, 노래교실, 웃음운동, 마술강좌, 역사문화강좌, 태극기공수련법 등문의 : 성북구한국문화대학 ☎ 02-922-3233, 02-927-3233 구민정보화교육 1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 구민정보화교육), ※ 전화접수 불가(컴퓨터기초,컴퓨터활용, 스마트폰왕기초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기초’ 과정은 하단참조, 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12. 26.(월) 09:00~27.(화)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12. 28.(수)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 성북정보도서관(상월곡동)월·수·금반은 설날연휴로 인한 교육일수 부족으로 하루2시간 교육에서 2시간 30분으로 변경※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기초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홍보전산과 ☎ 02-2241-2471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2017년 1학기 시니어반 모집(학점은행제)수업일 : 주간반(월·수·목) 주 3회 / 야간+주말반(야간 1일+토요일 1일) 주 2회모집대상 : 시니어(고졸학력 이상이면 누구나) / 무시험등록금 : 추후안내(특별반은 교육원 규정에 따라 학비감면이 별도로 있음)모집일 : 2016. 12. 12.~2017. 2. 20.교통편 : 6호선 월곡역에서 도보로 7분(대중교통 편리)개강일 : 2017. 3. 2.※ 학점은행제 과정을 통해 동덕여대에서 소정의 학점을 취득하면 동덕여자대학교 총장명의의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과정입니다. ※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사회복지학 학사 학위 취득과 동시에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무시험으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문의 : 동덕여대 사회복지학과 주임교수 ☎ 02-940-4266, ☎ 010-7252-4954 ]]> Sat, 24 Dec 2016 10:03:24 +0000 13 <![CDATA[안녕 안녕하세요]]> 안녕 안녕하세요 지난해 말 대우인터내셔널이 한국석 유공사와 함께 국내 대륙붕 6-1 해상광구 석유개발 사업에 참여하였다. 그간 한국석유공사가 단독으로만 추진해 왔던 국내 대륙붕 탐사사업에 민간 기업이 참여하게 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국내 대륙붕 석유개발의 역사는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Shell, Texaco 등 메이저라고 불리는 외국의 대형 석유 기업들이 탐사를 하였으나 석유발견에 실패하였다. 1979년 한국석유공사가 설립되어 자주적으로 국내 대륙붕 석유자원 탐사를 추진한지 20년 만에 1998년 울산 앞바다에서 양질의 가스층을 발견하였고 2004년에 소규모이지만 국내 최초로 천연가스를 생산하게 되었다. 유력한 국제 석유기업들도 석유발견에 실패하고 관심을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고 당시 석유개발 기술이 일천하였던 우리가 인고의 노력 끝에 자주적으로 석유를 발견한 것이다. 이제는 민간 기업들이 능동적으로 국내 대륙붕 석유개발 사업에 참여하게 된 것은 우리나라 석유개발에 대한 기술적 역량이 그만큼 높아졌다고 평가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아무쪼록 국내 대륙붕 석유자원 탐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정부 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석유가스전을 발견하여 저렴한 가격으로석유가스가 국민들에게 공급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소규모이지만 자국 내에 천연가스전을 가진 우리나라도 이제는 산유국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나라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석유의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석유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 The Cafe Fresh roasted coffee, exclusive teas & light meals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Vivamus leo ante, consectetur sit amet vulputate vel, dapibus sit amet lectus. alt 薑 鼻 撰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竺“‘””?“ 匙擊 擒”萄董棲?. ””虜 ?棲? 措陛 勒撲晦? 嫦?? ?‘‘‘””‘‘“婁 雖衝, “ “‘?煎賦 雖羲婁 ‘”’婁 ?’擊 檜瑞朝 輿羹陛 腎?蝗棲?. “ “’““?, 斜葬堅 ?””“ “ 匙檜貊, 艙僥?僥?曖 SCIE 蛔營餌機擊 雖”‘‘?煎 摹”’“ 措頂 勒撲?晦曖 ?晦瞳檣 ?羹諦 ‘’“” ”“””“”’棲?. ㅇㅇㅇㅇ안녀아세요 터널 및 지하공간 분야의 전문가 단체로서 터널건설기술과 지하공간정책을 선도하는 전문 학술단체입니다. 터널분야의 설계기준과 시방서의 작성 주체로서 터널지하공간분야의 조사, 계획, 시공 및 유지관리 기술개발과 연구를 담당하고 있으며, 터널지하공사의 안전시공과 건설품질 향상으로 인프라 구축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와 국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터널지하공간기술과 정책에 대한 국내외 학술대회, 포럼, 세미나를 개최하고, 관련 국내외 단체와 교류 협력함으로써 기술과 정보의 습득, 교류 및 확산에 힘쓰고 있습니다.  Heading 2 Text Goes Here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 안녕하세요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COL 1 COL 2 COL 1 COL 2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input text Beautiful Content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Lorem Ipsum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 alt caption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 alt The Cafe Fresh roasted coffee, exclusive teas & light meals altcaption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has been the industry's standard dummy text ever since the 1500s, when an unknown printer took a galley of type and scrambled it to make a type specimen book.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adipiscing elit. Vivamus leo ante, consectetur sit amet vulputate vel, dapibus sit amet lectus. alt The Cafe Fresh roasted coffee, exclusive teas & light meals 竺“‘””?“ 匙擊 擒”萄董棲?. ””虜 ?棲? 措陛 勒撲晦? 嫦?? ?‘‘‘””‘‘“婁 雖衝, “ “‘?煎賦 雖羲婁 ‘”’婁 ?’擊 檜瑞朝 輿羹陛 腎?蝗棲?. “ “’““?, 斜葬堅 ?””“ “ 匙檜貊, 艙僥?僥?曖 SCIE 蛔營餌機擊 雖”‘‘?煎 摹”’“ 措頂 勒撲?晦曖 ?晦瞳檣 ?羹諦 ‘’“” ”“””“”’棲?. ]]> Tue, 20 Mar 2018 20:18:29 +0000 14 <![CDATA[편집후기 편집후기]]> 편집후기 편집후기 미세먼지가 없어지니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리네요. 무엇보다 긴 가뭄이 걱정입니다. 건설인들에게는 이래저래 어려움과 걱정이 많은 요즘입니다. 이번 7월호부터는 연재특집기사, 음악이야기, 책이야기 등 문화광장, 지역위원회 소개 등 새로운 구성으로 준비하였습니다. 이번호 학회지는 시론으로 우리학회 동남권지부 지부장님이신 부경대 정진호 교수님께서 동남권지부 설립에 대한 인사말을 써 주셨습니다. 특집기사로는 시설안전관리공단에서 터널분야의 성능중심 사회기반시설 유지관리체계에 대해 준비하였고 새로운 구조물 상태평가 방법에 대한 기사가 주요 시설물별로 연재가 될 예정입니다. “문화광장”을 새롭게 오픈하였습니다. 바리톤 양성원의 음악이야기와 우리학회회원 중 전공관련 책 외에 독서 많이 하기로 손에 꼽히는 강원대 이철주교수님의 책이야기를 읽으시며 힐링하시기 바랍니다. “우리들의 시간”에서는 동남권지부를 시작으로 지역위원회가 돌아가면서 위원회 소개, 지역관광지, 지역 맛집 등 볼거리를 제공할 계획이니 재미있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으로 학회지를 준비하며 바쁘신 중에도 흔쾌히 기사를 준비해주신 여러 회원님들께 먼저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 2년 동안 학회지를 위해 수고하여 주실 학회지 편집위원님들께도 미리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Thu, 22 Mar 2018 14:20:02 +0000 14 <![CDATA[토목공학은 복지와 소통을 이루어가는 기본학문 Civil Engineering is the Basic Learning for Welfare and Mutual Understanding]]> 토목공학은 복지와 소통을 이루어가는 기본학문 Civil Engineering is the Basic Learning for Welfare and Mutual Understanding 토목공학은 인류가 편안하고 안정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기반시설 마련에 선도적 역할을 하여 왔으나 문화와 문명이 발전되어 가는 추세에 부응하여 지공(地空)정보(Geospatial Information)에 의한 친인간 주거환경개선, 글로벌국토관리, 친환경공간마련, 재난방지 및 정보화사회 구현 등에 모태적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미래지향적 복지와 소통을 이루어 가는데 필요 불가결한 기본학문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사전적 의미로 복지(福祉)는 사람들이 건강하고 편안하여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게 갖추어진 사회환경이고, 소통(疏通)은 의견이나 행동이 막히지 않고 잘 통하고 전달되는 것이다. 토목공학은 인류가 건강하고 안정적이며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환경 조성과 의사전달이나 행동영역에 접근이 순조로운 친환경공간마련을 위하여 깨끗하고 맑은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사용하다 버리거나 더럽혀진 물의 처리를 하는 하수도, 생활 및 농업용수와 수력발전을 위한 저수지 및 댐건설, 깨끗한 공기보존을 위한 공기청정, 삶의 안식처인 주택 및 식량재배를 위한 주거단지 및 경작지 조성, 토사나 물의 피해를 예방하는 사방 및 제방공사와 기상재난에 대비하는 재난방지, 생활영역에서 소요되는 인문사회적 및 물리적인 교류를 위하여 편리하고 편안하며 활동하기에 불편함이 없는 교통망형성과 정보화 환경의 광역화 등에 관한 큰 몫을 수행하여 복지와 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사회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최근 토목공학은 우리의 의지로 이루어가는 인공환경 [空 또는 空間정보(Spatial Information)에 의한 영역]에 관하여서는 국토 및 도시계획, 수변·공원·주택 및 업무건물공간·범죄예방환경설계·경관 및 조형미가 도입된 친환경공간 마련과 바람·물·산림·지진 등에 관련되어 발생되는 재난의 방지, 정보화 생활에 소요되는 대상들의 특성 해석 및 활용, 인공위성 해석에 의한 위치 및 지형공간정보 활용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토목공학은 풍력·태양열·수력·해양에너지·바이오·폐기물·지온 등 신·재생에너지개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의 의지와 무관하게 주어진 자연환경[地 또는 地形정보(Geo Information)에 의한 영역]에 관하여서는 대기권에 대한 특성 및 기후체계, 지구에 대한 내부구조, 운동 및 물성 등을 해석하며 우주에 관해서는 우주개발·우주발사체의 구조해석·탐사된 행성의 환경 및 지반해석·발사장의 지형해석 및 처리 등을 다루기 위해 최첨단과학기술의 융·복합을 활용하고 있다. 이에 토목공학은 첨단복합과학기술로서의 자긍심을 지니고 삶의 터전에 나타나는 형상들의 영역인 자연환경과 시간과 위치에 관련되어 발생되는 현상들의 영역인 인공환경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 문제점 파악 및 개선책 등을 마련하는데 큰 역할을 충실히 감당함으로써 토목공학의 새로운 위상정립을 이루어가고 있다. 이에 미래지향적인 학문을 이루기 위해 정진하는 초등단계의 학도는 자연 및 인공환경에 관련된 분야를 두루 활용하여 전공 관련 학문 간의 연계, 융·복합 등에 의한 다양한 추구로 성취 가능한 영역의 설정 및 가치창출의 계기마련으로 주된 전공분야에 대하여 완성도 높은 기반조성에 기여할 수가 있어야 하고 성숙단계 및 전공수학을 마친 고등단계의 전문가들은 이미 전공한 분야에 대하여 기여도의 영역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관련분야와의 교류 및 지속적인 연구자세 확립으로 높은 차원의 복지와 소통의 사회구현에 최선을 다하여 참된 삶의 기반조성에 크게 기여하여야 될 것이다. 대단위 국가 토목사업은 미래지향적이며 선경지명이 있는 국가지도자의 용단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대단위 토목공사를 계획할 경우 많은 재정적 투자 및 10년 또는 그 이상의 먼 미래사회의 복지와 소통을 위한 기반조성이므로 현실의 이해관계에만 급급하거나 미래사회의 복지와 소통에 무관심한 소수인들에 의한 무책임하고 부정적인 평가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1968년에 건설되어 현재 년 간 3억 3천만대의 자동차가 통행되고 있는 경부고속도로와 1997년에 시행된 경부고속철도건설에 관하여 격렬한 반대가 있었으나 이를 극복하고 공사를 완수한 결과 급성장하는 국가위상에 걸 맞는 교통망 및 문화권이 형성됨으로써 국격에 상응하는 복지와 소통이 조화롭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토목공학이 복지와 소통에 기본이 되는 중요학문인데도 불구하고 토목, 복지 및 소통에 관한 상호관계와 중요도도 분명히 모를 뿐만 아니라 미래사회발전에 대해서도 무관심 내지 무책임한 소수인들이 복지를 위해 토목사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부적절한 발언으로 참되고 건전한 사회환경을 이루는데 큰 장애요인이 되기도 하였다.미래지향적이고 지혜로운 국가지도층은 토목공학이 복지와 소통에 기본이 되는 학문이라는 것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토목기술인도 맡은 바 소임에 충실하기 위해 조화된 예지와 창조적 열정으로 최선을 다한다면 복지와 소통이 잘 이루어져 국민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국가로 번영되는데 크게 기여 될 것이다. 유복모 교수는 서울공대 토목공학과, 네델란드 ITC, 일본동경대학 박사 후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본 학회 29대 회장,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회장, 한국측량학회 회장, 한국전통조경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地空探測學(또는 地空改善, Geospacematics) 분야의 기반조성에 진력하고 있다. alssmile@hanmail.net ]]> Thu, 22 Mar 2018 20:15:26 +0000 15 <![CDATA[제 62 회 정기총회 및 신년교례회 ]]> 정기총회 및 신년교례회 INPUT SUB SUBJECT 대한토목학회 원로회원, 참여회원, 그리고 회원여러분, 그동안 안녕하셨습니까? 청마의 해인, 갑오년 새해에도 모두 건강하시고, 뜻하시는 모든 일을 성취하시기를 바랍니다.지난해 바로 이 자리에서, 계사년 한 해 동안 제가 대한토목학회를 위해 일하겠노라고 약속했던 세 가지 활동목표는, 첫째 ‘대국민 홍보’, 둘째 ‘국제협력 강화’, 그리고 셋째 ‘일자리 창출’ 이었습니다.‘대국민 홍보’를 위해서는 지난해 년초부터 국토부 출입기자단과 수차례 회동하여 홍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그 결과 4대 일간지 및 4대 경제지에 우리학회가 약 170 여회에 소개되었고, 기사 내용들은 “토목은 생활복지다” 그리고 “토목기술은 하이텍이다” 라고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토목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대국민 홍보활동은 올해에도 계속사업이 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국제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토목사업의 신시장으로 알려진 중남미 대륙에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국가들, 아프리카 대륙의 선도 국가들, 그리고 아시아에서는 ASEAN 국가들을 대상으로 학문 및 기술교류를 위한 MOU 교환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결과 이집트, 남아공화국, 터어키, 인도네시아, 인도, 코스타리카 등 8개국과 MOU 를 교환한 바 있으며, 특히 지난 9월에는 인도 뉴델리에서 양국간의 “하이텍 토목기술 교류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 행사는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에게 해외진출을 위한 홍보의 장을 우리학회가 제공하였던 최초의 사업이었습니다.마지막 목표였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북한에서의 SOC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대한건축학회와 MOU를 교환하였으며, 한국건설산업연구원과도 긴밀한 관계를 만들었습니다. 지난해 봄에는 “북한 경제와 사회기반시설”이라는 주제로 미래 정책토론회를 개최하였고, 늦은 가을에는 “북한 건설인프라의 현황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 바 있습니다. 이 두 행사에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토목인들이 참석하였습니다.  대한토목학회 원로회원, 참여회원, 그리고 회원여러분,모건스탠리, 시티그룹, S&P 등 외국의 많은 투자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5년 이내에 통일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통일된 한국을 21세기에서는 가장 좋은 투자처로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들은 남한의 고급 기술과 자본, 그리고 북한의 값싸고 숙련된 노동력과 지하자원이 이루어낼 시너지 효과를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주변국인 중국, 러시아, 일본 등에서의 적극적인 투자를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황금빛 통일이, 아직까지는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우리 토목인들에게는 매우 커다란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해외 건설시장에서는 2012년 한해에 649억불 수주하여 누적 수주액은 5천억 달러를 넘어섰었고, 2013년에는 700억불을 목표로 했지만 다소 부족한 결과를 성취하였습니다.  그러나 2020년에는 해외건설 누적 수주액이 1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대한토목학회 원로회원, 참여회원, 그리고 회원여러분,저는 북한과의 평화통일, 그리고 해외건설시장의 확대 등을 우리학회 회원들의 희망과 꿈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꿈은 노력하면 이루어집니다. 여러분 모두에게 갑오년 청마의 정기가 함께하여 힘찬 도약의 한해가 되시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이것으로 이임사에 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대한토목학회 제 45 대 회장   ]]> Thu, 22 Mar 2018 20:23:29 +0000 15 <![CDATA[‘걷고 즐기고 꿈꾸는 거리’ 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An Instruction of SinChon Transitmall Construction]]> ‘걷고 즐기고 꿈꾸는 거리’ 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걷고 즐기고 꿈꾸는 거리’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An Instruction of SinChon Transitmall Construction김상신 Sang-Shin Kim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교통정책과 주무관)이수진 Soo-Jin Lee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교통정책과 교통수요관리 팀장) Ⅰ. 추진배경 과거 도시 성장을 위해 산업화와 도시화를 추구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은 ‘더 빨리’, ‘더 많이’라는 화두아래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도시화가 이루어진 이후, 만성적인 교통정체로 인한 시간손실, 대기오염, 사고증가, 심리적 불만등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여 오히려 자동차 중심의 도시환경이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도로이용의 효율성과 보행권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함에 따라 도시교통체계 개선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서울시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사람과 대중교통이 우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중교통체계 개편, 보행친화도시 구축 등 교통체계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바꾸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대중교통전용지구 또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통수요관리를 통한 정체 완화, 대중교통 이용환경 개선, 쾌적한 보행환경 조성, 지역활성화 등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고자 도입을 검토하게 되었다.  Ⅱ. 대중교통전용지구 개요 1. 대중교통전용지구의 개념 및 도입목적 1) 대중교통전용지구의 개념대중교통전용지구(Transit Mall)는 승용차를 포함한 일반 차량의 진입을 금지시키고 노면전차, 경전철,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의 이용과 보행자의 보행활동만 허용된 지구로서, 대중교통수단의 통행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보행자전용지구와는 차이가 있다. 2) 도입 목적 o대중교통의 활성화 o도로교통 및 보행환경의 개선 o도심상업지의 활성화 및 도심재생 2. 법적 근거법적근거로는 지정 및 운용, 통행제한, 재정 지원 근거로 구분할 수 있다.  1) ]]> Thu, 22 Mar 2018 20:51:42 +0000 15 <![CDATA[쉴드TBM 터널공사에 있어서 지반개량의 범위산정 방법과 개량의 예 ]]> The Cafe Fresh roasted coffee, exclusive teas & light meals 1. 머리말 도심지 쉴드TBM 터널공사의 경우 지반조건이 복잡하고, 인접하여 구조물이 다수 분포하며, 기존 지하 매설물과의 간섭 등으로 인해 발진과 도달부 외 지반개량을 검토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공 중 지반조건의 변화와 기존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경우, 계획시 예상치 못한 커터교체위치 또는 유지관리 점검을 위해 갱내 그라우팅으로충분히 공기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는 지상에서 사전에 지반개량 또는 보강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다.여기서는 이러한 쉴드터널 공사에 있어서 지반보강을 검토하는 경우에 그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 일반적인 약액주입 및 고압분사교반공법의 적용성과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해 해외 자료를 조사하고, 보강그라우팅 시공과정에 있어서 품질관리 기준에 대해 나타내었다. 아울러 보강범위의 설계는 명확한 표준이나 지침이 없기 때문에 설계자의 판단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나,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계산방법으로서 일본 지반공학회와 Jet Grout협회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2. 일본 지반공학회에서 제시하는 지반보강 범위와 계산방법 (쉴드공법, 2012) 지반보강 범위는 안전성, 경제성, 시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해야 하며, 주입범위는 굴진단면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설계한다. 쉴드TBM이 발진할 때는 흙막이벽을 절삭하여 지반으로 진입한다. 이때 막장자립과 용수방지를 위한 주입범위에 대해서는 상부, 측부, 저부 두께를 각각 산정한다. 일본 지반공학회의 “쉴드공법”(2012)에서 제시하는 보강범위의 산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일본 “Jet Grout 기술자료”(2011)에서는 최소 지반보강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율에 대해서도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막장부 범위는 계산결과와 최소 개량범위 중 큰 값을 적용한다. 지상보강 영역산정(상,하,좌,우)은 지반조건의 특성을 고려한 계산방법과 쉴드TBM 직경별 최소보강범위를 산정하여 보강범위 대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적용한다. 2.1 발진 및 도달부 발진 및 도달 보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가설벽 철거 시 지반안정 확보 및 지하수 유입방지 ② 쉴드TBM 주변부로부터 지하수 및 토사 유입방지 ③ 수직구 주변 지표면 및 지하매설물 등에 대한 영향방지 발진 및 도달부의 지반개량 설계는 상기 목적을 명확히 설정한 후 지반조건, 지하수위, 쉴드TBM 형식, 토피 및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보강공법을 선정한다.발진보강을 위한 지반개량은 가설 벽체를 철거할 때 막장면의 붕괴 위험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또한, 사질토에서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는 쉴드TBM이 완전히 지반 중에 진입한 후 엔트런스부에서 뒤채움 등 보강이 가능할 때까지 지하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쉴드TBM 길이+α범위의 개량이 필요하다. 또한 도달보강을 위한 개량범위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막장의 자립과 용수방지를 위한 범위에 대해서는 천단, 측부, 저부 두께를 산정하고 그림 1과 같이 발진에서는 진입부 길이, 도달부의 진출부 길이는 약액주입공법과 고압분사교반공법의 경우에 따라 상이하므로 적용 공법에 따라 검토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input image 2.2 상부 두께 계산 터널을 굴착하는 경우 주변에 발생하는 부가응력(탄성영역)에 근거한 방법이며, 그림 2에 나타낸 방법으로 산정한다. 2.3 측부(B) 및 저부(H2) 두께 계산 쉴드TBM 측부의 개량두께는 그림 3(a)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저부의 두께는 그림 3(b)에 나타낸 개량체 저부에 걸리는 양압력(U)와 개량토괴의 중량(W)와 개량토의 전단저항력(F)와의 평형식으로 산정할 수 있다. 2.4 최소 보강범위와 적용 안전율 상술한 방법으로 쉴드TBM 터널의 주변을 보강하는 범위의 계산결과에 대해 일본 제트그라우트협회(2011)에서는 표 1과 같이 최소 보강범위를 제시하고 있다. 3. 쉴드터널 주변에 대한 지반개량의 예 3.1 급곡선부 쉴드TBM 장비의 급곡선부 시공을 위해 지반개량을 하는 경우는 토질과 시공방법의 관계와 시공상 주의사항에 유의하면서 수행할 필요가 있다.먼저 급곡선부 시공을 위한 지반개량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o연약지반에 있어서 급곡선부 시공시 지반반력을 확보 o주변 지반의 개량으로 쉴드TBM 굴진면의 변형을 방지하고 회전을 위해 필요한 여굴량을 확보 o 여굴에 의한 지반침하를 억제 input image 지반개량공법으로는 약액주입, 고압분사교반공법, 기계식 심층혼합교반공법, 동결공법 등이 있다. 이 중 동결공법은 개량강도, 신뢰성이 가종 높은 공법이지만, 대규모의 시공설비, 동결해동시의 지반침하 등 문제점이 있고 또한 혼한교반공법은 교반날개가 가장 때문에 매설물이 혼재하는 교차로 등 간섭이 많은 급곡선부 보호에는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급곡선부의 시공을 위한 개량범위는 개량의 목적으로부터 그림 4와 같이 문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점성토에 있어서 약액주입공법은 개량강도가 작으므로 외측뿐만아니라 내측 모두를 고압분사교반공법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N값이 작고 느슨한 모래나 모래자갈층에 있어서는 고강도가 필요한 외측은 강도가 큰 고압분사교반공법을 적용하고, 여굴량의 확보나 지반침하의 억제가 목적인 천단부나 내측은 약액주입공법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N값이 크고 잘 다져진 모래층이나 모래자갈층에서는 지반이 가지는 강도가 원래 크기 때문에 모두 약약주입공법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나 토질에 상관없이 지반반력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외측의 개량은 고강도의 개량을 할 수 있는 고압분사교반공법이 바람직하다.쉴드TBM공법이 적용된 지반은 일반적으로 토질구성이 복잡하고, 모래층, 점토층, 모래자갈층으로 이루어진 호층이 많으므로 이러한 지층의 경계면은 일반적으로 느슨하고 또한 전반적으로 균일한 지층이더라도 렌즈형의 상이한 지층으로 구성된 얇은 층이 끼어있다. 이러한 지층에 약액주입을 하는 경우, 이 경계면이나 얇은 층에 약액이 집중되어 주입되기 쉽고, 목적으로 하는 지층에 주입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2배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개소의 정보는 주입압뿐이므로 주입압은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주입재의 침투상태를 추정하고 시공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겔화된 약액주입재는 열화되기 때문에 시공시기도 쉴드TBM 통과와 함께 계획하여야 한다.고압분사교반공법은 어떠한 지반에서도 적용할 수 있고, 강도가 큰 개량체를 조성할 수 있으나 배토가 충분하지 않으면 소요 개량체를 조성할 수 없다. 따라서 슬라임 배출상황이나 배출량을 감시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3.2 인접 구조물의 보호근접 시공에 대한 판정은 굴착영향범위가 기존 구조물의 지지지반에 미치는 범위, 구조물과 쉴드터널의 이격, 대상지반의 성질, 기존 구조물의 구조나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영향범위에 있는 것에 대해서는 수치계산 등 영향도를 평가한다.쉴드TBM의 굴진과 함께 기존 구조물에의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기존 구조물 또는 쉴드터널에 대해 대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지반개량의 대상으로는 다음과 같다.① 쉴드터널 주변지반을 강화하고 쉴드TBM 굴진에 따른 지반의 교란이나 이완을 저감② 기존 구조물의 주변지반을 직접 보강하고 구조물의 침하를 억제③ 쉴드TBM과 구조물의 사이에 강성이 큰 구조물을 구축하고 굴진에 따른 지반변형을 차단지반개량공법의 선정에 있어서는 대상 구조물의 중요도와 토질을 조사하고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①, ②의 경우는 약액주입공법이나 고압분사교반공법의 지반개량공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③에 대해서는 고압분사교반공법과 같은 방법 외 주열식 말뚝공법, 강관말뚝공법, 지중연속벽과 같은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쉴드터널 공사에 근접하여 중요구조물이나 지하 매설물이 있는 경우는 사전에 FEM등에 의한 해석을 수행하고, 시공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대상 구조물의 구조, 형상, 노화도 등 특징을 조사하여 둔다. 또한 해당 관리자와 협의하여 시공관리 기준값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대상 구조물에 쉴드TBM이 근접할 때 까지 사전계측을 수행하고 어느 정도의 영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구조물의 보호방법으로는 쉴드TBM 시공시에 있어서 이완범위를 설정하고 쉴드TBM 굴착단면부분을 지반개량하여 영향을 저감시키는 방법과 기존 구조물 주변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기존 구조물과 쉴드TBM 통과부의 사이를 지반개량하여 쉴드TBM 시공시 영향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다.쉴드TBM 굴착단면 주변의 지반개량이나 기존 구조물의 주변 지반을 개량하는 경우에는 약액주입공법이나 고압분사교반공법 등의 지반개량공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지반개량공법 수행후에는 설계대로 개량이 수행되었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압분사교반공법을 사용하는 경우는 시공후 강도발현까지 몇 일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양생기간을 확보하여야 한다.쉴드TBM과 기존 구조물의 사이에 차단벽을 시공하는 경우는 고압분사교반공법과 같이 지반개량공법 외, 주열식 말뚝공법, 강관말뚝공법, 지중연속벽과 같은 공법도 적용되고 있다. 시공에 있어서는 기존 구조물에 근접하여 시공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구조물에 대한 영향에 대해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지반개량 시공시 때로는 지하매설물을 손상시키는 사고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험굴착 등 반드시 매설물을 육안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요한 구조물(가스, 전화, 전력 등)이 근접되어 있는 경우, 그 주면은 가이드관을 설치하고, 지반개량시 천공에 의한 사고 등이 없도록 안전을 꾀한다. 약액주입공법에서는 시공중 주입압력 등 급격한 상승에 의하 노면 등이 융기하는 (매설물도 융기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노면계측의 관리값을 설정하고 공사중 수준측량을 상시 수행하여 안전에 유의하여야 한다.4. 그라우팅시의 수직도 등 시공관리 사항일본 제트그라우트협회의 기술자료(2011)에서는 지반보강을 위한 그라우팅 시공과정에 있어서 관리기준을 표 3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5. 맺음말도심지 쉴드TBM 터널공사에 있어서 지반보강을 검토하는 경우,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과 약액주입공법과 고압분사교반공법를 적용하는 경우의 유의사항, 보강그라우팅 시공과정에 있어서 품질관리 기준에 대해 국내의 설계기준이나 지침이 없기 때문에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 나타내었다. 향후 본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조건에 맞게 검토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input image INPUT MORE TEXT INPUT MORE TEXT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Lorem Ipsum is simply dummy text of the printing and typesetting industry. ]]> Mon, 26 Mar 2018 19:32:02 +0000 16 <![CDATA[공감 : 한장의 사진 外 ]]> 경로당 풍경김영숙(길음1동)우리 송매골 경로당에는오래 된 여인들이 모여 있어요창 밖 나뭇잎이 떨어져 모퉁이로 모일 때잎 새처럼 하늘거리며 모여 들어요지나온 삶은 베란다 한쪽 구석에 묻어 두고요해가 저물 때 까지지고 온 보따리를 조금씩 털어 버리고 갑니다거친 손마디로알타리 김치 양념삭삭삭 버무려 놓고집으로 가는 길앙상한 가지 사이로 차가운 바람이 지나 갑니다뒤 뜰 응달목련 가지 끝자락에는벌써부터 피어날 준비를 합니다오늘이 어제와 같고내일이 오늘 같아도바람 부는 오후에는조그마한 내 집이 고맙습니다input image 사랑하는 가족과 친지에게 보내는 감동릴레이 편지쓰기 공모 이 달의 편지를 소개합니다 동생 윤진이에게조민진(종암동)윤진아, 안녕? 언니야.어렸을 때 같이 놀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네가 중학교를 졸업하고 이제 고등학생이 됐구나. 늦었지만 다시 한 번 졸업 축하하고 새롭게 펼쳐질 고등학교 생활도 잘 해 나가길 바랄게.중학교랑 고등학교는 아마 많이 다를 거야.공부나 성적에 대한 압박도 더 심해질 거고 친구들이랑 맘껏 놀 수 있는 시간도 거의 없겠지.아무래도 대학입시가 코앞으로 다가왔으니까 부담이 많을 수밖에 없어.언니가 보니까 요즘 공부하는 것 때문에 엄마랑 갈등이 좀 많은 것 같더라.그걸 보면 엄마 마음도, 네 마음도 모두 이해가 되는 심정이라 마음이 안타깝더라.지금 당장은 공부하기가 싫고, 놀고 싶은 마음이 크겠지만 엄마가 너한테 잔소리하는 것도다 네가 고등학교 가서 성적 잘 받아서 대학갈 때 편했음 하는 마음이니까 너무 고깝게 생각하지 말았으면 좋겠어.그리고 언니가 하나 더 해주고 싶은 말이 있는데,나중에 어른이 돼서 사회에 나갔을 때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 꿈을 정했으면 해.장래희망을 정하고 공부하면 동기부여가 잘 되기 때문에 공부가 한결 보람이 있어지거든.앞으로 고등학교 가서 야자도 하고, 보충수업도 하면서 공부가 많이 힘들 텐데,조금이라도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음 싶어서 언니가 해주는 충고야.그러면 다시 한 번 고등학교 입학을 축하하며 이만 줄일게.앞으로도 힘들거나 지치면 언니한테 언제든지 말하구~ 파이팅!!! ^^*언니가.   공모기간 : 2016. 2월~9월 공모대상 : 성북구민(학생, 학부모, 직장인 등) 공모방법 : 마음전달 창구를 통해 - 성북구청 홈페이지 감동릴레이 편지쓰기 창구 (성북구청 홈페이지 → 구민참여마당 → 참여광장 → ‘감동릴레이 편지쓰기’ 메뉴) - 마음릴레이 SB우체통 창구(성북구청 1층 및 12층 위치/마음편지지 비치) 문의 : 여성가족과 ☎ 02-2241-2572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 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input image]]> Wed, 06 Apr 2016 15:20:05 +0000 4 <![CDATA[[보문동]“보이소!” 보문동 이웃을 소개합니다 外 ]]> 성북동 성북동주민센터 ☎ 02-2241-5011성북동에 흐르는 나눔의 손길봉사활동을 하면서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내이웃이 성북동에도 많다는 것을 느낀 한 주민이식당 이전 개업을 하면서버려지는 화환 대신 쌀로받아 백미 1,200kg을 동주민센터와 종교시설에기부, 2월 말 독거어르신 등 60여 가구에 전달하여 따뜻한 마음을 나누었다. 미담의 주인공은 주민자치위원장 김육영씨로 이번 나눔의 손길이 작은 씨앗이 되어 내 이웃에관심을 갖는 주민이 많아지길 희망한다는 소감을 밝혔다.input image 정릉2동 정릉2동주민센터 ☎ 02-2241-5350도리도리! 잼잼! 빵야빵야! 「하루 5분 관절 운동」지난 2월 24일 간호학과 대학생 자원봉사자 2명과 정릉2동 동마을복지팀이 508번지 경로당을 방문했다. 정릉2동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는 2016년 1년 동안매월 ‘보건의 날’에 정릉2동 소재 경로당 12개소를 차례로 찾아가는데, 그 두 번째 경로당이었다.손자들 같은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시범으로 ‘백세인생’, ’내 나이가 어때서’ 등 신나는 트로트 음악에 맞춰 「하루 5분 관절 운동」을 따라하는 어르신들의 열기가 정릉2동 508번지 경로당에 가득했다. 「하루 5분 관절 운동」은목 운동(도리도리), 손가락 운동(잼잼), 팔꿈치와 손목 운동(빵야빵야), 어깨 돌리기 운동, 발목과 무릎을 위한 발끝 밀고 당기기 운동 등으로 구성되며, 어르신들의 관절기능 감퇴 예방, 건강한 생활습관 강화 및 수명 연장에 도움을 줄 것이다.정릉2동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는 앞으로도 어르신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하루 5분 관절 운동」 교육 자료를 경로당에 전달했으며, 지속적으로 어르신들을 방문해운동에 도움을 드릴 예정이다. 어르신들이 더욱더 건강하시길 기원하는 바람이다.명예기자 한정혜 길음2동 길음2동주민센터 ☎ 02-2241-5832청소년에게 희망 안긴 길음2동 통장들의 37년길음2동 통장들의 37년 고집이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안기고 있다. 통장들이 자발적으로 장학회를 만들어 저소득가정의 청소년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는 선행을 37년째이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길음2동 20통 통장들이 장학회를 만든 것은 1979년. 적은 금액이지만 회의 참석 수당을저소득가정 자녀들이 학업에 충실할 수 있도록 모아보자고 의기투합한 것이 시작이었다.지금까지 1억원을 모아 370여 명의 아동·청소년에게 희망을 나누어 주었다. 지금은 재개발 때문에 20통이 아니라 16통 16명의 통장들이 활동하고 있으나 이들의 ‘고집’은 여전하다. 지난 2월 25일에도 10명의 아동·청소년에게 25만원의 장학금을 지급했다. 이번에 장학생으로 선정된 방○○ 학생(고1)은 “형편이어려운데도 학원에 보내주시는 부모님께 늘 죄송했는데 장학금을 받게 되어 마음의 부담을 좀 덜게 되었다”면서수줍게 웃었다. 찾아가는 마을복지 확산의 해를 맞아 길음2동 통장협의회의 어려운 이웃을 위한 열기로 새봄을 여는 우리의 마음에 꽃이 피고 있다.  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5666따뜻한 情이 넘치는 북카페로 새단장했어요지난 1월 장위1동 새마을문고가 리모델링 공사 후 주민들의 쉼터 및 힐링 공간인 북카페로 새롭게 태어났다. 책을 더 많이 꽂을 수 있도록 기존의 책장을 재제작하여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총8,000여 권의 장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이번 공사는 북카페를 신설하여 이용자의 편의공간을 마련했으며 소규모 영화를 볼 수 있는 문화공간을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장위1동 새마을문고는 이번 북카페개소를 바탕으로 독서와 교육, 카페를 통합한 문화커뮤니티 공간으로 새롭게 발돋움할 계획이다. input image 장위2동 장위2동주민센터 ☎ 02-2241-56801장위2동, 척사대회로 주민 화합 다져지난 2월 22일 장위2동주민센터 앞마당에서는 대보름행사가 떠들썩하게 진행되었다.정월대보름은 예부터 민족 최대 명절 중 하나로, 오늘날에 와서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 우리 풍속을 지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장위2동에서는 정월대보름 척사대회를 개최했다.곳곳에서 “이긴 편과 진 편 모두 수고했다”며 주민들의 얼굴에 웃음꽃이 떠나지 않았고, 오곡밥과 막걸리, 김치, 빈대떡을 즐기며 서로의 안부와 덕담을 나누는 모습이 정겹기만 하다. 이번 척사대회를 계기로 더욱 하나되는 장위2동이 되었으면 좋겠다. 명예기자 강희자 석관동 석관동주민센터 ☎ 02-2241-57821범죄 없는 석관동을 만들기 위해 민·관·학·경이 뭉쳤다!석관동주민센터는 주택가 골목길범죄의 예방과 청소년 일탈행위 등에 대한 선도 활동을 공동 협력, 추진하는 협약을 지난 2월 29일 체결하였다. 올해에는 협약 단체가 19개로 작년보다 확대되었다.이 선도활동은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하교시간인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며 청소년 흡연 및고성방가 등에 취약한 학교 주변 골목길 등을 특별선도 구역으로 설정, 연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합동단속 출범식이 3월 2일에 진행되었는데, 업무협약 체결 단체장 및 회원들이 모여 석관고 신입생 하교지도와 석관동 먹자골목 일대 합동순찰을 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 협약 체결로 석관동 골목길 범죄의 예방과 청소년 일탈행위 등에 대한 선도 활동을 함으로써 평온하고 쾌적한학교 주변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input image input image]]> Wed, 06 Apr 2016 15:48:37 +0000 4 <![CDATA[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한번에 확인하세요 ]]> 담장을 허물어 무료로 주차장을 만들어 드립니다담장 허물어 주차장 만들기(Green Parking)사업 이란?주택의 담장을 허물어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주택가 주차난 해소 및 살기 좋은 마을환경으로 개선하는 사업지원대상 : 담장 또는 대문을 허물어 주차장 조성이 가능한 주택※ 단, 가까운 장래 신축이 확정된 주택은 제외(뉴타운 지정지역,재개발사업 지역, 재건축 허가주택)지원내역- 담장 또는 대문을 허물어 주차장 조성- 담장을 대신할 방범창 또는 무인감시카메라(주택내부) 설치 등지원방법 : 주차장 조성은 구청과 계약된 전문건설업체가 공사대행(현금지원불가)지켜야 할 사항- 임의로 담장을 다시 쌓거나 펜스, 자바라 등 설치 시 공사비 환수- 주차장 조성 후 최소 5년간 기능 유지사업절차건물주 신청(전화, 서면 등) → 현장방문 타당성 조사 → 지원여부 결정→ 설계협의(건물주, 구청, 시공사) 및 확정 → 공사시행 → 준공input image주차장 조성 사례(事例) 청년마을방송PD 양성과정 참여자를 모집합니다마을의 소소한 이야기와 지역 소식들을 청년의 시각에서 방송 콘텐츠로 기획, 제작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하는 활동을 함께할 '청년마을방송PD 양성과정’ 참여자를 모집합니다.참여대상- 영상 제작 경험이 있거나 관심 있는 청년- 마을 이야기로 방송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보고 싶은 청년모집인원 : 20명 내외교육장소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마을방송 스튜디오 등접수기간 : 2016. 4. 4.(월)~4. 22.(금) 18:00까지접수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02-2241-2226, moonyo@sb.go.kr)교육일정 : 2016. 5. 3.~6. 28.(주 2회 /화·금/ 15차시)교육내용 : 마을미디어 필요성, 마을방송 제작방법, 마을미디어 활동가와의 만남 등※ 세부 교육내용은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활동지원- 콘텐츠 제작 시 소정의 활동비 지급- 마을미디어네트워크 단체 및 활동가 교류- 센터 장비·시설 무상 대여 및 보수교육 지원input image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최초 2시간 면제 조례 시행(종전)최초 90분 이내 한하여 70퍼센트 할인 ▶ (개정)최초 2시간까지의 주차요금 면제2016. 2. 18. 제239회 성북구의회 임시회에서 조민국 의원 대표발의로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할인율을 조정하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원안가결2016. 3. 3.부터 공포 시행되어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 이용자에 대하여는 최초 2시간까지 주차요금 면제성북구 전통시장 주변 공영주차장input image 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843,  성북구 도시관리공단 ☎ 02-6295-0023             input image 2016년 개별공시지가 열람 및 의견제출 안내2016. 5. 31.자로 결정·공시될 2016. 1. 1.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열람하니 기간 내 열람하시고 의견이 있으신 분은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열람기간 : 2016. 4. 13.~5. 2.장소 : 성북구청(지적과) 또는 동주민센터열람내용 : 토지 지번별 ㎡당 가격※ 인터넷 열람 : 서울부동산정보조회시스템(http://kras.seoul.go.kr/land_info)서울부동산정보광장(http://land.seoul.go.kr)성북구부동산정보광장(http://sbland.seongbuk.go.kr)의견제출기간 : 2016. 4. 13.~5. 2.제출사항 : 토지이용 상황 등 토지특성이 같거나 가장 유사한 표준지의 가격이나 인근토지의 지가와 균형을 이루고 있지 아니한 경우 적정한 의견가격 제시제출자 :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제출처 : 성북구청(지적과) 또는 동주민센터제출방법 : 성북구청(지적과) 또는 동주민센터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공시지가 의견제출서 서식에 기재하여 제출 는 인터넷, 우편, 팩스 신청문의 : 지적과 ☎ 02-2241-4642~5(팩스 : 02-2241-6600)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감정평가사가 직접 상담해드립니다.기간 : 2016. 4. 13.~5. 2. / 5. 31.~6. 30. 주 1회 14:00~17:00(공휴일 제외)장소 : 성북구청 지적과상담내용 : 표준지 공시지가 및 개별공시지가 산정 및 결정 사항 등방법 : 유선, 직접, 현장방문 상담 가능, 사전예약제 실시문의 : 지적과 ☎ 02-2241-4642~5 2015년 기준 성북구 경제총조사 실시 안내성북구 관내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에 대한 구조와 분포 및 산업활동 실태를 파악하여 각종 경제정책수립 및 산업 연구 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조사기간 : 2016. 6. 1.(수)~7. 22.(금)대상 : 2015. 12. 31. 현재 성북구에서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방법 : 조사원 방문 면접조사(인터넷, 이메일, 팩스 등 조사 병행실시)항목 : 총 41개(공통항목 16개, 특성항목 25개)문의 : 기획예산과 ☎ 02-2241-3833 2016년 4월 1일부터 단속실시 불법 주·정차 CCTV 집중 단속우리구 관내 신규 설치된 CCTV 불법 주·정차 단속을 2016년 4월 1일부터 실시합니다. 불법 주·정차가 근절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단속일시 : 2016. 4. 1.~계속과태료 부과- 승용차, 화물차(4톤 이하) : 과태료 4만원- 승합차, 화물차(4톤 초과) : 과태료 5만원- ‘어린이보호구역’ 내 오전 8시~오후 8시 사이에 불법 주·정차단속시 과태료 2배 부과(승용차 8만원, 승합차 9만원)신규 설치장소input image※ 서울시 및 성북구에서는 걷기 편한 보행친화 도시를 위하여 보도 위불법 주·정차를 지속적으로 단속하고 과태료를 부과합니다!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510 가정용 친환경 콘덴싱보일러 설치 지원에너지 절약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노후된 일반보일러를 친환경 콘덴싱보일러로 교체 시일반보일러 구입 차액의 약 80%(16만원) 비용을 지원해 드립니다.신청기간 : 2016. 3월~11월보급대수 : 45대(1대/1가구 지원)지원금액 : 16만원/대지원대상가. 가정용 일반보일러를 가정용 친환경 콘덴싱보일러로 교체하는 성북구 거주 가구주나. 저소득층 가구주, 저소득층을 세입자로 둔 주택소유자는 우선보급(5대)※ 저소득층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차상위계층 및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수급자지원절차 : 신청서 및 구비서류 제출 → 심사 및 고지 → 보일러 교체 및 지급요청(30일내) → 지원금 지급신청시 구비서류 : 신청서 1부, 계약서 또는 견적서, 건물등기부등본 또는 건축물대장,전·월세 계약서(세입자의 경우), 증빙서류(저소득층의 경우)접수처 : 성북구청 환경과홈페이지 안내 : 성북구청 홈페이지 접속 → 성북구소개 → 구정소식 → 구정안내※ 주의사항 : 2년 동안 의무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친환경보일러는 응축수가 발생하므로응축수 배관설치 가능 여부를 보일러 제작사에 사전 문의하시기 바랍니다.input image문의 : 환경과 ☎ 02-2241-3033 input image]]> Thu, 07 Apr 2016 12:30:27 +0000 4 <![CDATA[성북구의회 제240회 임시회 개회 ]]> 성북구의회(의장 임태근)는 3월 23일부터 30일까지 8일간의 일정으로 제240회 임시회를 개회한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23일 제1차 본회의를 시작으로 24일부터 29일까지 각상임위원회별로 상정된 조례안 등의 심사가 이루어지고, 마지막 날인 30일제2차 본회의에서는 상임위원회에서 심의한 안건에 대해 최종 의결하고 폐회할 예정이다.주요 심사안건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청년지원 기본 조례안 ▲서울특별시성북구 문화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공정무역 전시·홍보관 민간위탁 구의회 동의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1 주택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 의견청취안 등이다.다음 제241회 임시회는 4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9일간의 일정으로 열린다. 성북구의회, 2016년도 의원연구단체 구성성북구의회는 제239회 임시회 심의를 거쳐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윤만환 의원 외 7인)’, ‘성북구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 의원연구단체(정형진의원 외 5인)’,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목소영 의원 외 5인)’ 등 3개의 의원연구단체를 구성하였다. 의원들은 “지난해 처음으로 의원연구단체를 구성하여 공부하는 의회상을 정립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등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를 거울삼아 금년에도 더욱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해서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다짐했다. 2016년도 의원연구단체는 3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구성의원 : 김태수, 박학동, 송영옥, 윤만환, 이광남, 이미영, 이은영,이인순연구주제 :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에 대한 조사·연구·검토연구목적 : 국가 또는 서울특별시의 위임사무 및 자치사무의 민간위탁 사무의 내용 및 현황, 수탁기관 선정과정 및 수탁기관의 의무 이행, 구청의 지도·감독 등을 조사하여, 민간의 자율적인 행정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행정능률 향상을 목적으로 함input image대표의원 윤만환성북구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 의원연구단체구성의원 : 권영애, 김일영, 박학동, 오중균, 이광남, 정형진연구주제 : 성북구 음식물쓰레기 배출 및 처리실태를 점검하고 감량화및 자원체계 모색연구목적 : 음식물쓰레기 처리 실태 파악, 수거대행업체 애로사항 청취 및 개선방안 논의, 토론회를 통한 음식물쓰레기 감량방안 논의input image대표의원 정형진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구성의원 : 권영애, 김춘례, 목소영, 안향자, 이미영, 이인순연구주제 :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경로당을 중심으로)의 현재를점검하고, 보다 의미있는 기능을 위한 대안 모색연구목적 :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현실태 파악,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위한 당사자 간담회 개최(성북구 노인지회 임원 등), 관련 토론회 및 조례 제·개정input image대표의원 정형진 성북구의회, 미디어 스피치 교육성북구의회는 최근 제4회의실에서 여성 의원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함양을 위한 의원 역량 강화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번 교육은 효과적인 언론 대응을 통해 다매체시대의 의정활동 홍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마련된 미디어 스피치 교육이다. 교육을 진행한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황혜정 강사는 방송 취재 시사전 준비요령, 질문자가 원하는 대답, 적절한시간으로 인터뷰하는 노하우, 시선처리, 제스처등의 방송 인터뷰 요령을 강의하고 <성북구의회 핵심사업>을 주제로실제 인터뷰 실습과 모니터링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의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교육에 참석한 의원들은 “오늘 배운 방송인터뷰 요령은 인터뷰 기회가 많은 우리 의원들에게 유익한 교육이었다. 특히, 방송 인터뷰 실습과 인터뷰 후 녹화 화면을 보며 수정 보완하는 모니터링을 통해 인터뷰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앞으로 효과적인 의정활동 홍보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남성 의원들을 대상으로도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input imageinput image 윤만환 의원, 더불어민주당 탈당윤만환 의원(나선거구-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다.윤만환 의원은 2월 29일 “양심과 소신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생활정치에 혈혈단신 남을 것”이라고 의사를 밝혔고, “구의원은 정치인이 아니라 주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이라며 “아무리 힘들어도 성북을 사랑하는 마음과 열정을 가지고 성북의 달라져가는 모습, 변화하는 모습, 새로워진 모습을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 갈 것을 약속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input image]]> Fri, 08 Apr 2016 14:31:25 +0000 4 <![CDATA[월곡1동 명물 태극기 할아버지의 국가대표급 이웃사랑 이야기 ]]> 서울 성북구 월곡1동 명물 태극기 할아버지. 태극기 자전거를 타고 매일 동네를 돌며 나라 사랑과태극기 사랑을 전하는 모습 뒤엔 어려운 형편에도 소외된 이웃을 위해 거금을 쾌척하는 이웃사랑까지 실천하고 있어 주민들의 존경과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그런 태극기 할아버지의 자전거가 도난당한 사건이 일어나 주민과 태극기 할아버지의 ‘자전거 밀당’이 지역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주민센터 사랑의 열매 저금통에 기부를 하고 몰래 사라지는 태극기 할아버지.월곡1동 명물! 태극기 할아버지의 이웃사랑이 잔잔한 감동을 안기고 있다.월곡1동에서 그를 모르면 간첩이라고 할 정도로 유명한 김*우할아버지(80). 태극기로 한껏 치장한 자전거를 타고 매일 2~3시간씩 동네를 누비며 태극기 사랑과 나라 사랑을 알려 왔다.김 할아버지의 태극기 자전거가 지나가면 주민들은 손을 흔들거나 안부를 묻고 그를 처음 본 사람들은 박수를 치고 인증샷을 찍기도 한다.그러나 김 할아버지의 활약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는다. 이웃사랑 실천도 국가대표급이다. 지난 1월에는 주민센터를 찾아 어려운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100만원을 기부했다. 또한, 2014년에는 세월호 유가족의 아픔을 나누고 싶다면서 100만원을 기부하기도 했다.이뿐만이 아니다. 월곡1동주민센터 민원대 위에 놓아 둔 사랑의 열매 모금함에도 수시로 주머니를 털어 몇 천원 혹은 동전들을 넣고 간다는 게 직원들의 증언이다.그러나 김 할아버지는 임대주택에 홀로 거주하는 수급자다. 기초연금으로 받는 20여만원이 그의 주 수입원이다. 공공근로를 통해 15만원의 수입이 있을 때도 있지만 고정적인 것은 아니다.이처럼 넉넉지 않은 형편에도 나눔을 실천하는 김 할아버지를 위해 주민들과 주민센터에서 감사의마음을 전하려고 했지만 “살날이얼마 남지 않았지만 어려운 이웃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어 그들이 그래도 세상이 따뜻했다는말을 했으면 좋겠다”는 소감만 남긴 채 태극기와 함께 바람처럼 사라지기 일쑤다.최근에는 김 할아버지에게 발이나 다름없던 태극기 자전거를도난당해 할아버지는 물론 주민까지 실의에 빠지는 일이 있었다.3·1절이면 태극기 자전거가 그어느 때보다 신나게 동네를 누볐는데 올해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주민들이 나서서 새 자전거를 마련해 드리겠다는 의사를 전했지만 김할아버지는 감사의 마음만 받겠다면서 거부한 상태다.월곡1동주민센터 관계자는 “자전거를 마련해 드리겠다는 주민들과부담을 주고 싶지 않다는 김 할아버지의 밀당 때문에 중간에서 고민이많다”고 전하면서 “아파트 단지에서 방치된 자전거를 수거해 필요한 이웃에게 나눔을 하는 행사를 활용해 김 할아버지께 부담 없이 새 자전거를 마련해 드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당분간 태극기 자전거를 월곡동 거리에서 볼 수는 없겠지만 김 할아버지의 태극기 사랑과 이웃사랑은 여전히 거리를 달리고 있다.문의 : 월곡1동주민센터 ☎ 02-2241-6287 20대 건강이 돌아온다!!어르신 건강 부메랑 운동교실!성북구에서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건강을 책임질 운동교실을 운영합니다 .어르신들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건강 부메랑 운동교실’이 도와드리겠습니다input image모집기간 : 2016. 4. 18.~4. 22.(18:00까지)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필수조건) 선착순 45명참여기간 : 2016. 5~7월, 매주 월·수16:00~17:00 / 10주(총 20회)운동장소 : 보건소(월곡본소) 9층 sb문화홀접수방법 : 전화접수(방문접수 불가)프로그램 내용- 집중력, 기억력을 증진할 수 있는 요가 및말초운동 동작- 집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근력 운동프로그램- 낙상예방을 위한 관절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6, 5948, 5960~1 input image]]> Fri, 08 Apr 2016 15:35:20 +0000 4 <![CDATA[청년의 내 ‘일’ 자치구 최초 ‘청년지원팀’ 이 만듭니다 ]]>   input image input image  살자리도전宿 - 도전하는 사람들의 숙소● [전국 최초] 사무공간과 주거공간을 동시에 제공하는 직주혼합형 공공원룸주택● 국토교통부 공공주택 업무처리지침을 성북구 주도로 개정, 2014년 최초 공급● 2016년 3·4·5호점 총 100여개 기업 입주 예정input image도전숙 1호위치 : 성북구 보국문로12길 46규모 : 지상 5층, 원룸 21실, 회의실 1실세대면적 : 전용 14~18.5㎡임대료 : 보증금 1,200만원~1,400만원             월임대료 6만8천원~8만2천원도전숙 2호위치 : 성북구 보국문로14길 18-5규모 : 지상 5층, 원룸 15실, 회의실 1실세대면적 : 전용 18~29㎡임대료 : 보증금 1,200만원~1,900만원             월임대료 6만7천원~10만6천원  한지붕 세대공감(룸셰어링)- 대학 인근에 혼자 사는 어르신의 남는 방을 대학생에게 싼값에 세를 줌으로써 청년의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사업- [서울시 1위] 서울시 내 타 자치구 대비 사업실적 1위(2016. 3.)주택정책팀 ☎ 02-2241-2704  일자리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문화와 이웃하는 청년’-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일환으로 성북구 청년예술가들을 통해 지역 고유의 문화 콘텐츠 생산- 2016년 10명의 청년예술가 사업 참여, 월 92만원 임금 지원- 지역 청년예술가들에게 일 경험 제공 및 향후 예술단체 창업통한 일자리 창출청년지원팀 ☎ 02-2241-3992 청년인턴 지원사업- 관내 중소기업에 청년인턴을 지원하여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청년 미취업자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미취업자 20여명 4월 모집- 성북구 소재 5인 이상 중소기업에서 근무하게 되며, 1인당 임금(월 100만원 한도) 6개월간 지원지역경제팀 ☎ 02-2241-3962  설 자리성북 스마트 앱 창작터(비즈니스 센터)- [전국 최초] 1인 창조기업 육성을 위한 성북 스마트 앱 창작터 개원- [최우수기관] 2011년~2015년 중소기업청 운영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및 솔루션을 개발하는 창조기업가 육성을 통해 정보통신(IT) 분야 일자리 창출 노력- 성북구 동소문로 63 드림트리빌딩 6층(동소문동4가 260) 위치input image 벤처창업지원센터- 창업자에게 창업활동 공간을 저렴한 비용으로 임대하고 종합적 지원으로 창업 활성화- 간담회, 기술교류회 등 입주기업 간 교류 증진, 지적재산권 출원 지원 등- 성북구 화랑로 211(장위동 65-154) 위치창조산업팀 ☎ 02-2241-3982 놀 자리청년살이 발전소 - 성북구 전통시장과 연계하여 청년 창업활동을 지원하는 공간- 청년장사꾼 학교 운영,청년 창업 과정 융합 설계, 창업 아이템 개발 등- 2016년 4월 정릉동 개소(예정)input image무중력지대 성북 - [청년활동 거점공간] 생명력 넘치는 사회만들기를 소망하는 청년활동 공간- 지역밀착형 청년 플랫폼구축으로 청년 네트워크 활성화 및 자립지원- 하월곡동 진각종 부지 내에 올해 11월 설치(예정)청년지원팀 ☎ 02-2241-3992input image]]> Mon, 11 Apr 2016 10:47:01 +0000 4 <![CDATA[가족건강을 책임져요! [웰빙맘 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 가족건강을 책임져요!「웰빙맘 프로젝트」참여자 모집input image추진기간 : 2016. 4. 7.~4. 28. 매주 목요일(10:00~12:0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성북구 화랑로 63)대상 : 성북구 20~50대 주부/선착순 30명신청기간 : 2016. 3. 25.~4. 6.신청방법 : 전화신청(☎ 02-2241-5950~1)세부일정 및 교육내용 ( ※ 부분·선택 참여 신청 불가)input image 암검진 받고,가족건강 챙기고!검진기간 : 검진 안내문을 받으신 해당연도(매년 1. 1.~12. 31.)검진절차 : 검진기관에 사전 예약 후 방문하여 검진검진기관 : 검진안내문에 안내된 암검진 지정병원준비물 : 신분증, 검진표검진결과 : 검진 후 15일 이내 검진기관에서 결과 통보input image문의 : 보건소 건강검진실 ☎ 02-2241-6091 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 치유 프로그램 대상자 모집모집기간 : 2016. 4. 1.(금)~4. 29.(금)대상 : 30~65세 남녀 30명(선착순)일정 : 2016. 5. 11.~6. 15.(매주 수요일, 12:00~15:00, 6주 과정)내용 : 6가지 이야기를 주제로 인생을 돌아보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프로그램장소 : 성북구보건소접수방법 : 전화 또는 내소(성북구보건소 7층 의약과 마음건강팀),이메일 접수(kisun725@sb.go.kr)문의 : 의약과 ☎ 02-2241-6133 비만GX/직장인 운동프로그램비만 운동프로그램가정에서 꾸준히 손쉽게 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및근력운동 교육모집기간 : 2016. 4. 20.~4. 26. 18:00까지대상 : 20세(1997년생) 이상~64세(1953년생) 이하성북구민 중 1년 안에 체력측정실에서 체력검사를 받은 자 / 선착순 45명참여기간 : 2016. 5월~ 7월, 매주 화·목 16:00~17:00 / 10주(총 20회)접수방법 : 전화접수(방문접수 불가)운동장소 : 성북구보건소 9층 sb문화홀input image직장인 운동프로그램음악에 맞춰 다양한 댄스를 통한 피트니스 프로그램모집기간 : 2016. 4. 20.~4. 26. 18:00까지대상 : 성북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혹은 성북구 소재 직장인만 가능 / 선착순 45명참여기간 : 2016. 5월~7월, 매주 화·목 19:00 / 10주(총 20회)접수방법 : 전화 접수 후 재직증명서 또는 사원증 등 직장근무 확인이 가능한 서류 Fax 제출 혹은 직접제출(필수)운동장소 : 성북구보건소 9층 sb문화홀input image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6, 5948, 5960~1Fax : 02-2241-6606 상반기 척척박사 예비맘 교실 수강생 모집모집기간 : 2016. 3월~모집 마감시까지일시 : 2016. 4. 1.~4. 29.(매주 금요일) 14:00~16:00장소 : 보건소 9층 sb문화홀강사 : 출산준비교실 및 모유수유 전문가, 정신보건센터장비용 : 무료참여방법 : 전화예약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07 input image]]> Mon, 11 Apr 2016 11:30:51 +0000 4 <![CDATA[[2016 상반기 자기주도학습 학부모 프로그램]수강생 모집 ]]> ※ 강좌별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집인원 등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성북구에 주소를 둔 성북구민만 신청 가능합니다.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5 붐붐쑥쑥! 재미있는 교과체험캠프 프로그램 운영 안내신청방법 및 기간 : 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선착순 온라인 접수(2016. 3월 현재 모집중) ※2, 3차시 접수는 추후 공지참가비 : 3만원, 사회적배려계층(예 : 법정 기초수급자, 차상위복지급여수급권자, 한부모가정) 수강료 면제input image※ 강좌별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집인원 등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성북구에 주소를 둔 성북구민만 신청 가능합니다.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1 매월 목요일에 만나는 학부모특강 「공부비법」운영기간 : 2016. 4. 14.~7. 7. (총 4회) 장소 : 성북구청 다목적홀(지하 1층)input image문의 : 성북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 02-2241-2406 2017·2018 대입전형의 이해와 학생부종합전형일시 : 2016. 4. 21.(목) 10:00~12:00 장소 : 성북구청 다목적홀(지하 1층)강사 : 이장한 강사(한성여고 교장,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대학진학지도지원단)대상 : 학부모 및 수험생 200여명(※ 사전예약없이 당일 선착순 입장)주요내용 : 2017~2018 입시방향성과 대입전형의 특징, 2017 학생부종합전형의 이해문의 : 성북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 02-2241-2406 구민정보화교육 4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3. 28.(월) 09:00~29.(화)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3. 30.(수)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다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input image]]> Mon, 11 Apr 2016 13:32:35 +0000 4 <![CDATA[성북동! 우리 동네 역사이야기를 시작하며 ]]>   성북문화원은 이 글을 시작으로 조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성북동 역사이야기를 게재합니다.이 글은 그 가운데 성북동의 탄생을 담은 글입니다.성북동은 성(城)의 북쪽(北)에 있는 마을(洞)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성은 한양도성이니, 성북동은 한양도성이 만들어진 이후에 붙은 이름이다.한양 땅에서 동소문이라고 불리는 혜화문이 세워진 낮은 언덕을 넘고, 미아리고개를 오르는 길은 동북면으로가는 가장 빠른 길이었다. 성북동은 이 중요한 교통로에 접한 마을이다. 한양에서 혜화문 고개를 넘으면 바로 성북천이 흘렀고 왼쪽으로 성북천을 따라 자리한 마을이 바로 성북동이다. 성북동은 또한 아늑한 마을이었다. 백두대간은 힘차게달려 내려와 그 일부가 한양의 백악산까지 이른다. 백악산에 이르기 직전 작은 두 봉우리-구준봉과 응봉-에서 내려온 산자락이 감싸고 있는 마을이 성북동이다. 그산자락 사이로 흐르던 것이 성북천이었으니, 성북동은한양과 가깝고, 물이 흐르고, 산이 감싸고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었다.하지만 경치가 아름답다고 사람의 삶에도 좋은 것은 아니었다. 성북동의 토질은 농사에 적합하지 않았다. 더구나 산 사이에 개천이 흐르는 일종의 계곡과 같은 지형이었으므로 넓은 경작지를 확보하기도 힘들었다. 조선시대 중국의 제도를 따라 북쪽 외각인 성북동에 선잠단을 쌓고 나라의 큰 제사인 선잠제향을 봉행하였지만, 그것이 성북동을 사람살기에 맞춤인 마을로 바꾼것은 아니었다.성북동에 사람을 살게 한 것은 교통과 자연환경이었다.한양도성의 북문으로 만들어 놓은 숙정문은 너무 산속에 있었고, 문을 열어 두면 음란한 풍속이 돈다는 풍수상의 이유도 겹쳐 문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 동소문은 동북면으로 가는 가장 빠른 위치에 있었고, 그만큼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문이었다. 군사적으로 중요할 수밖에 없었다. 또 혜화문 밖 삼선평은 말 그대로 넓은 평야여서 군사 훈련하기에도 좋았다. 영조는 이곳에한양을 지키는 세 부대 가운데 하나인 어영청의 북둔(北屯)을 설치한다.군 시설을 놓고, 군사들을 살게 하였지만, 이것으로는부족했다. 병농일치 사회에서 성북동에 사는 주민들이많아야 국방이 안정될 수 있었다. 그리고 여전히 농사를 짓기 힘든 땅이었던 성북동에는 사람이 많이 살지 않았다. 영조는 이곳에 사람을 살게 하기 위해 그들의 생업을 보장해 주는 방법을 택했다. 성북동에서 쑨 메주와 마전한 포백을 국가가 값을 보장하고 사 주기로 결정하고 문서로 보장하였다. 지금도 남아 있는 「성북동포백훈조계완문절목」은 바로 이것을 보장한 문서이다.이로써 성북동에는 많지는 않아도 사람들이 모여 살기시작했다. 드디어 성북동에 마을다운 마을이 만들어진 것이다. 1766년의 일이었다.input image 1840년대에 만들어진 「수선전도」, 성북동이란 지명이 산과 산 사이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9기 성북협동조합 마을학교 수강생 모집“우리, 협동조합 한 번 해볼까?”“협동조합~! 어떻게 하는 건데?”그 궁금증을 성북구 『제9기 성북협동조합 마을학교』에서 풀어 드립니다.기간 : 2016. 4. 19.(화)~6. 14.(화) 10:00~12:00, 주 1회 총 8강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상가 3층)대상 : 협동조합에 관심있는 누구나모집인원 : 선착순 100명신청기간 : 2016. 3. 28.(월)~4. 18.(월)수강료 : 무료기타 : 각과정 4강 중 3강 이상 수강자 수료증 수여문의 및 접수 : 성북구청 홈페이지 강좌신청(온라인접수)성북구청 마을사회적경제과 전화 또는이메일(violem@sb.go.kr, kbkjj@sb.go.kr) 접수input image문의 : 마을사회적경제과 ☎ 02-2241-3922, 3924 / 팩스 : 02-2241-6573 성북여성회관 2016 봄학기 수강생 모집  input image※ 그 외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성북문화재단 : www.sbculture.or.kr)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 성북구 성북로 4길 177 성북예술창작터 성북예술동N 전시지원 작가공모 <실눈뜨기 Opening half-closed eyes>展input image성북예술창작터는 성북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관련 주제를 다루는 역량있는 작가들을 발굴하기 위해 ‘2016 성북예술동N 전시지원 작가공모’를 진행했고, 최종 선정된 작가들의 전시는 성북예술창작터와 성북도원 두 곳에서 개최됩니다.전시일정 : 2016. 3. 23.(수)~4. 17.(일)전시장소-성북예술창작터(성북구 성북로 23) -지연리(회화), 박종호(회화)-성북도원(성북구 성북로 31길126-9)- 김도희(영상, 설치),신이피(영상, 퍼포먼스)아티스트 토크 : 2016. 3. 30.(수) 16:00~19:00 성북도원클로징 파티 : 2016. 4. 15.(금) 17:00 성북예술창작터 문의 : 성북예술창작터 ☎ 02-2038-9989 성북구립미술관 2016 봄 기획전시 <소정 변관식>展 개최(4. 12.~5. 22.)성북예술창작터는 성북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관련 주제를 다루는 역량있는 작가들을 발굴하기 위해 ‘2016 성북예술동N 전시지원 작가공모’를 진행했고, 최종 선정된 작가들의 전시는 성북예술창작터와 성북도원 두 곳에서 개최됩니다.전시기간 : 2016. 4. 12.(화)~5. 22.(일) ※매주 월요일 휴관주최·주관 : 성북구립미술관, 성북문화재단관람료 : 성인 1,000원(매주 토요일 무료)위치 및 장소 : 성북구립미술관 제1, 2전시실(성북구 성북로 134)input image<외금강 삼선암 추색, 1966>문의 : 성북구립미술관 ☎ 02-6925-5011 2016년 지구의 날 행사 안내성북구에서는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우리가 살고 있는 하나뿐인 지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일들을 구민 여러분과 공유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차 없는 거리에서 지구의 날 행사를 개최합니다.행사일시 : 2016. 4. 23(토) 10:00~16:00장소 : 성북동 성북로(성북동주민센터 맞은편) 일대행사내용 : 무대행사, 친환경 에너지 기기 전시(LED, 태양광 등), 성북동 어린이와 함께 하는 나눔바자회, EM발효액 만들기 및 판매, 동네 자전거 수리공방, 전기차 카셰어링 홍보, 자동차 부수기 퍼포먼스, 인력거 타기 체험, 차없는 거리 행사 등찾아오시는 길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방향(도보 10분 거리) 문의 : 환경과 ☎ 02-2241-3013 input imageinput image]]> Mon, 11 Apr 2016 13:59:32 +0000 4 <![CDATA[2016 따뜻한 겨울보내기 사업 기부자 명단 ]]> Mon, 11 Apr 2016 14:51:13 +0000 4 <![CDATA[서울시 전체가 커다란 학교 ]]> “서울시 전체가 커다란 학교!” 얼마전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이 화제를 모았다, 불과 몇 년 전만해도 바둑을 제패하는 컴퓨터는 상상하기 어려웠지만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서울시는 시민들의 살 자리와 일 자리를 지키는 원동력이 배움에서 나오고 교육을 통해 길러진 시민력이 서울을 키운다고 보고 있다. 누가 뭐래도 교육이 힘이다. 교육도시 서울,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자.서울시민대학 네트워크 확대서울시가 성별, 연령, 문화, 지역에 차별받지 않고 누구나 평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성인 공교육 시대를 연다. 서울시는 2019년까지 총 870억 원을 투자하여 민관협력을 통해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구성, 시민들의 일상 속 교육기회를 늘리고, 시민들의 참여와 실천이 지역 사회에 환원되는 평생학습도시 모델을 만든다. 서울시는 기존 17개소였던 서울시민대학을 531개소의 네트워크형 시민대학인 서울자유시민대학(가칭)으로 확대하고 전역을 그물망처럼 연결하여 서울 어디서나, 시민 누구나 질 높은 교육서비스를 누릴수 있게 할 계획이다.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될 서울자유시민대학 본부 캠퍼스는 서울복지재단 건물 리모델링 후 2017년부터 본격 운영한다. 도심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 동북권 등 권역별 5개의 분교와 대학·기관단체를 연계하여 525개소의 민간 네트워크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독일 뮌헨시민대학 등 해외 시민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학점은행제 과정, 비학위 정규과정, 일반교양 과정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일정 기준을 수료한 시민은 서울시장 명의의 인증서를 받는 방식이다.일상에서 쉽게 학습하는 서울시 평생학습포털 확대확대일상학습 문화가 확산되도록 1인 1학습동아리 등 일상과 밀접한 교육을 확대한다. 1인 1학습동아리는 배움을 매개로 시민들이 만나는 주민공동체이다.최근 1인 가구 급증 등 가족 형태의 변화에 맞는 다양한 교육 과정도 개발된다. 응급처치, 건강관리, 죽음학, 아름다운 이별학교 등 시민들의 삶 전반을 아우르는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예정이다.이와 더불어,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평생학습포털(sll.seoul.go.kr)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쌍방향 학습 공간으로 개편하여 365일 무료로 들을수 있는 강좌를 올해 516개 온라인 과정과 269개 모바일 과정으로 확대 운영한다.사회적 삶이 단절되지 않도록 생애 전환기 맞춤학습 지원시는 중장년층 및 소외계층 성인의 삶에 동기를 부여하고 배움의 결실이 사회적으로 환원 될 수 있도록 생애 전환기 맞춤 학습을 지원할 예정이다.직장인과 퇴직자를 대상으로 전문대 직업교육과정과 연계한 야간주말강좌를 운영하고, 시 산하 기술교육원과 농업기술센터에서도 취업 및 창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이 운영 된다. 아울러, 자치구, 민간기관 등이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시, 민간기관, 자치구, 기업, 교육청 등이 협업해 학습-여가-고용이 이어지도록 만들 계획이다. 각 교육 기관들의 프로그램 정보를 한눈에 보는 온라인 평생학습지도, 평생교육 관련 콘텐츠를 한번에 제공하는 서울 평생학습 디지털 아카이브 등도 구축된다. 또, 서울시를 거대한 학교로 만들기 위해, 도서관이나 자치회관 등 시민들이 가까운 공공시설을 학습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우리동네 학습장(가칭)을 지정해 2019년까지 1,000개소로 확대한다.서울시는 “위대한 서울은 위대한 시민이 만들고, 위대한 시민은 평생학습이 만든다”며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공부를 시키고자 했던 부모의 마음으로, 어려울수록 평생학습에 더 열을 내는 독일의 지혜처럼 배움에 투자해야한다”고 밝혔다.문의 평생교육담당관 ☎2133-3964input imageinput image  직장맘 고충상담 전용콜 이용하세요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는 직장맘 고충상담 전용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출산전후 휴가, 육아휴직을 둘러싼 노동권 전반의 문제 등 직장 내 고충을 겪고 있는 직장맘과 직장대디는 120 다산콜(내선번호 5번)로 상담하면된다. 상담은 전문노무사들이 진행 한다.상담시간 : 평일 오전 9시 ~ 오후 10시 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6시이밖에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는 직장맘 역량강화 교육사업과 직장부모커뮤니티 지원 사업 등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문의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332-7171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비 지원태양광 미니발전소는?- 태양광 모듈을 콘센트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 베란다, 옥상 등 작은 공간에 설치하며, 이사시 이전 가능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 혜택- 설치용량(W)에 따라 설치비 50%(30~60만원) 지원- 10가구 이상 공동설치 시 추가지원(5~10만원)- 에코마일리지 절약 인센티브(최대 5만원)신청 및 세부내용 - 시 또는 서울시 햇빛지도 홈페이지 참조문의  녹색에너지과☎2133-3565, 자치구 에너지 담당부서직장맘 동주민센터 282개소,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로 변신동주민센터 202곳이 오는 7월부터 기존의 민원o행정 중심 공간에서 시민의 복지와 건강을 살피고, 공동체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지난해 7월, 80개 주민센터가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로 탈바꿈한데 이은 추가 전환이다. 이를 위해 올 4~6월까지 동주민센터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여 극장, 전시회장, 카페 등 주민이 원하는 공간으로 변신한다.또, 필요할 때는 복지플래너가 찾아가 도움을 준다. 출산가정, 빈곤위기가정, 65세 어르신들을 한분 한분 찾아가 꼭 필요한 맞춤형 복지를 제공한다. 우리동네 주무관도 운영된다. 다양한 마을의 구성원을 연결하여 안전하고 촘촘한 마을복지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이다. 이웃과 함께 마을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주민 중심의 공동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역 별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여 주민과의 ‘소통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문의 자치행정과 ☎2133-5836동주민센터 input image]]> Mon, 11 Apr 2016 15:28:23 +0000 4 <![CDATA[4·19혁명 56주년 기념 문화제 개최 ]]> 학술회의 ‘4·19혁명과 문화의 새로운 모색’주제 : 4·19혁명과 문화의 새로운 모색일시 : 2016. 4. 16.(토), 13:00~18:00장소 :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관국제원격회의실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8,          성북문화원 ☎ 02-765-1611   4·19혁명 학생 시위 재현 행사(거리행진, 퍼포먼스) 및 차없는 거리 행사일시 : 2016. 4. 17.(일), 10:00장소 : 고려대학교 정문~안암오거리 일대~참살이길 무대내용 : 4·19혁명 당시 학생 시위 재현 행사 및 차없는 거리 행사 연계 문화공연차없는거리 교통통제 : 2016. 4. 17.(일) 08:00~18:00 안암오거리~안암역 350m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8 4·19혁명 기념 특별 전시회주제 : 자유, 민주, 정의, 4·19혁명전시기간 : 2016. 4. 1.(금)~4. 30.(토) (30일간)전시장소 : 성북구청 1층 로비, 2층 갤러리 성북 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8 4·19 민주이념 계승 성북구민 거북이 마라톤 대회일시/장소 : 2016. 4. 17.(일) 또는 18.(월) 10:30※ 추후 홈페이지 공지 / 고려대학교 정문대상 : 성북구 참여희망 주민(당일 현장접수)주관 : 성북구생활체육회(육상연합회)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22 4·19혁명과 함께하는 4월 성북구민 걷기대회일시 : 2016. 4. 17.(일) 10:00대상 : 걷기동아리 회원 및 주민 등(당일 현장참여)주최/주관 : 성북구 걷지우 연합회/성북건강증진실천협의회코스 : 고려대학교 정문 → 안암오거리 → 성북천 →안암동주민센터 → 참살이길 무대(약 4km)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32  제9기 성북구 주민인권학교 수강생 모집모집대상 : 인권에 관심 있는 주민 누구나, 선착순 50명강의기간 : 2016. 4. 20.(수)~5. 10.(화) (총 4강, 1강(수), 2~4강(매주 화), 19:00~21:00)강의장소 : 성북배움터(성북구청 3층)수강료 : 무료신청기간 : 2016. 3. 25.~마감시까지접수방법 : 방문 및 전화, 팩스(02-2241-6524), 이메일(humanrights@sb.go.kr)input image※ 강의일정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접수 및 문의 : 성북구 인권센터 ☎ 02-2241-2192 성북구 녹색장터 운영자 모집운영기간 : 2016. 3월~10월(※ 운영자 모집기간 : 2016. 3월~5월)운영자 : 개인 또는 단체(부녀회, 봉사단, 종교단체 등)운영장소 : 아파트공터(주차장 등), 소공원, 종교시설 등 실내·외 일상공간운영내용 : 연 3회 이상 주민 참여방식의 재활용장터 운영추진방법 : 물품을 가져온 개인 최소 10인 이상 참여사업비지원- 일반운영자 : 연 3회 이상 운영(1회당 10만원, 최대 5회, 자릿수 10이상)- 전년도 평가결과 우수운영자 : 10만~20만원 추가지원접수 및 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15 장애인 투표활동보조인 지원제도 안내국가가 고용한 장애인 투표활동 보조인이 (사전)투표당일 투표소에 가서 투표하고자 하는 (중증)신체장애인에게 거주지로부터 투표소까지 왕복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교통편의 및 투표권 행사에 필요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제도신청방법 : 성북구선거관리위원회에 방문 또는 전화(☎ 02-923-1390)input image]]> Mon, 11 Apr 2016 15:52:27 +0000 4 <![CDATA[참견도 사랑이다! 제2의 토박이가 되고 싶은 나 ]]> 참견도 사랑이다! 제2의 토박이가 되고 싶은 나정선미(석관동)우리말 중에 ‘토박이’라는 말이 있다. ‘대대로 그 땅에서 나서 오래도록 살아 내려오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어느 한곳에 오래도록정착해서 살아오거나, 혹은 자신의 고향을 일컬을 때 쓰이기도 한다. “나, 여기. 이 동네 토박이야!” 나 역시, 그 수많은 토박이들 중에 한 사람이다. 하지만 그들과 내가 다른 점이 있다면, 그들은 ‘토박이’ 라는 단어 하나만 가지고 있지만, 나는 1+1의 ‘투투 토박이’라는 새로운 단어를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나는 원래, 지금 내가 살고 있는 동네로 이사 오기 전에 살았던 동네에서 유명한 토박이였다. 어느 날 갑자기 내가 살던 동네에 재개발 바람이 불었고 더 이상 그곳에 머물 수도, 그곳을 지킬 수도 없게 되자, 결국 나는 새로운 곳으로 떠나야만 했다. 그리하여 도착한 곳이 지금내가 살고 있는 이곳이다. 너무나도 정든 그 장소와 사람들과의 아쉬운 이별 때문에 마음이 무척이나 아프고 저려오는데, 그날따라 하늘도 내 마음을 아는지 온종일 하늘에서 비가 주르륵 주르륵 내렸다. 동네 사람들이 하나둘씩 밖으로 나오더니, 어느새 내 곁으로 모여들기 시작했다. 가뜩이나심란한 마음과 이사 때문에 정신이 없는데,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이삿짐 차 주위로 모여들어 질문을 하고 때론 자기네들끼리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닌가? ‘거참, 사람들하고는. 남의 이사에 뭐가 그리 궁금하다고 참견을 다 한대? 이 동네 사람들,참 별스럽다!’ 그들의 관심인지, 참견인지 모를 그 모습에 나는 점점 더 짜증이 나기 시작했다. “이삿짐은 잘 정리했어요?” “우리 동네에서 제일 싼 마트 좀 알려줄까요?”‘이사 온 게 뭐 별일이라고 이러는지. 제발, 나한테서 관심 좀 꺼줬으면 좋겠네…. ’사람들이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물어 볼수록, 나는 예전에 살던 동네와 사람들이 너무나도 사무치게 그리웠고, 결국 ‘향수병’이 아닌 ‘옛 동네 병’에 걸리고 말았다. 집으로 들어오는 동네 어귀에서부터 낯설음과 그리움으로 나도 모르게 눈물이 핑 돌기를 수차례하고 있을 무렵, 몸도 마음도 그동안 많이 지치고 힘이 들었던지 열쇠로 대문을 열려는 순간, 눈앞이 핑~하고 돌더니 어질어질하고 다리에 힘이 쭉 빠져 그 자리에 주저앉았다. 그순간, 지나가던 동네 분이 나를 발견하시고 큰 소리로 동네 사람들에게 외쳐댔다.“여기 좀 나와 봐요!” 무슨 일인가 싶어 밖을 내다보시던 동네 분들은 나의 상태를 보고서 다들 한걸음에 달려오셨다. 어느 분은 냉수를 가지고 오셨고, 또 어느 분은 따뜻한 보리차를, 그리고 또 어떤 분은 비상약으로 가지고 있던 청심환을 들고 나오셔서 나에게 건네주셨다. 나는 감사하다는 말도 제대로 못한 채로, 그 분들이 주시는 관심과 물과 약을 넙죽넙죽 받았다. 그 일이 있고도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서야 나는 그 분들에게 마음의 문을 열 수가 있었다. “원래 우리 동네 사람들이 좀 유별나지. 이웃사촌이 아닌, 동네 친척이 되고 싶은 사람들이라서 말이지, 호호호!” 동네에서 가장 오래 사신 토박이이자 연세가 많으신 할머니께서 웃으며 나에게 말씀을 해주셨다.봄이 되면 다 함께 동네 뒷동산으로 가서 진달래, 개나리 등 봄맞이 꽃들을 구경하고, 여름이면 밤마다 동네 골목에 돗자리를 펴고, 시원한 수박화채를 만들어 먹고, 춥고 긴 겨울밤에는 집집마다 돌아가며 군고구마와 삶은 계란을 나눠 먹고 함께 얘기하며 지냈다. 그러나 아쉽게도 함께 해 오던 그 분들은 지금 내 옆에 안 계신다. 개인 사정으로 인해 다들이사를 가셨기 때문이다. 그 분들이 떠나시고 나서 나는 한동안 마음 한쪽이 텅 빈 것 같이 외롭고 쓸쓸했다. 하지만 다들 좋은 일로 이사를 나가셨기 때문에 얼마나 다행스럽고 잘 된 일인지 모르겠다. 이제 나는, 예전에 그분들이 이곳에서 보여주셨던 관심과 사랑을새로 오시는 분들에게 나눠주려고 한다. ‘그분들’이 이곳에서 ‘토박이’로 해 오신 것처럼, 나 역시 이곳에서 ‘제2의 토박이’로 살면서 말이다.  성북소리는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 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성북세무서 청사 이전 안내업무개시일 : 2016. 4. 18.(월)주소 : 성북구 삼선교로16길 13대표번호 : ☎ 02-760-8200(기존번호 동일)input image]]> Sat, 23 Apr 2016 19:06:24 +0000 5 <![CDATA[성북구, 다산목민대상 본상 수상 外 ]]> input image동선동 마을복지센터에서는 지난 3월 26일 토요일 아나바다와 플리마켓이 동시에 열리는 ‘동선나누장’을 개장했다. 주최는 동선동 마을활력소 활력단(동동마당 반짝단) 운영진이 직접 기획하여 진행했다. 성북구에 유일하게 있는 동선동 마을활력소 활력단은 주민센터의 공유공간을 자율 운영 관리하는 운영진들이다. 일반주민들이 모여 주민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고, 마을에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제일 먼저 고려하여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을 기획, 실행하고 있어 동선동의 마을발전과 마을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에는 아나바다 벼룩시장 ‘동선나누장’을 개최하였다.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고 서로 필요한 의류나 도서 등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사고팔고 교환할 수 있다. 이번 행사에 주민들이 신청한 품목은 대부분 집에서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이나 연령이 지나 다 읽은 도서 및 의류, 신발, 중고 생활용품들이 많이 접수 되었다. 가족이 함께 나와 아이들에게도 경제교육을 직접 체험을 통해 알게 해 주는 좋은 기회를 마련해주어 고맙다는 부모님, 버리기엔 아깝고 이웃과 나눠 쓰려 해도 방법을 몰랐던 분들도 가까운 동네에서 이런 장터가 열린다니 매우 적극적으로 호응해 주셨다. 이번 ‘동선나누장’에서는 인절미 만들기 체험부스도 운영되어 직접 떡메치기를 해서 떡을 만들고고물을 묻혀 먹을 수 있어 주민들과 어린이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동선나누장’은 주민들의 힘으로 주민들과 함께 어우러져 더불어 하나가 되고자 마련한 자리이다. 이번 첫 개장을 시작으로 매월 넷째 주 토요일마다 정기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마음을 사고 정을 파는 곳, 돈암시장을 소개합니다input image돈암시장은 2014년부터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지정되었고, 아케이드와 아트트릭 등 시설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주민들이 장을 보기에좀 더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응답하라 돈암시장’,‘야한 마켓’ 등 다양한 콘텐츠를 품고 있는 돈암시장에 많은 관심과 방문을 부탁드립니다.위치 : 성북구 동소문로18길 20오시는 길- 성신여대역(4호선) 3번 출구에서 도보로 50m- 1014, 1062번(간선) 탑승 후 ‘돈암시장 입구’에서 하차행사- 매주 금요일 ‘야(夜)한 마켓’ 진행- 둘째·넷째 주 일요일 ‘전통시장 가는 날’ 진행- ‘태조감자국’, ‘돈암순대’, ‘오백집’ 등의 다양한 맛집※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성북구청 전통시장 나들이’를 검색하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74           돈암시장 상인회 ☎ 02-926-5133           성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프로그램 안내이용대상 : 9세~24세 청소년이용시간 : 월·수·금 09:00~18:00 / 화·목 09:00~20:00상담방법 : 개인상담, 심리검사, 놀이치료, 미술치료, 모래놀이, 사이버상담, 전화상담 1388 헬프콜(매주 1회, 50분 진행)신청방법 : 전화예약 후 방문이용요금 : 개인상담 - 일반청소년 5,000원, 학부모 10,000원 / 놀이·미술치료 - 20,000원(1회기별 금액)문의 : 성북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 02-3292-1779/1789,           이메일 choiwa@sb.go.kr,           성북구 정릉로 242(성북아동청소년센터 4층)        ]]> Sat, 23 Apr 2016 19:15:06 +0000 5 <![CDATA[[길음2동]겨우내 묵은 때를 벗기고 새봄맞이~ 外 ]]> 장위1동주민센터는 3월 14일, 동네 취약지역인 장수경로당 앞 화단을 대상으로 대청소를 실시했다. 경로당 어르신, 통·반장, 부녀회, 성북구 도시관리공단, 동주민센터 직원 등 30여 명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장수경로당 주변의 화단에 버려진 생활쓰레기 및 이면도로에 방치된 폐가구 등 약 1.5톤을 수거하고, 불법 광고물을 제거하는 등 지역 주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민 스스로가 구슬땀을 흘린 뜻 깊은 행사였다.명예기자 문영임 동선동 동선동주민센터 ☎ 02-2241-5104행복 한 끼 나눔 두 끼input image동선동은 2012년부터 저소득 취약계층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민들의 후원으로 ‘만원의 행복보험’이라는 상해보험을 지원하여 지역사회 안전망을 제공하고 있다. 2016년에도 동선동지역복지협의체와 복지통장협의회 주최로 주민들이 함께 손을 맞잡아 취약계층 지원기금 조성을 위한 일일 먹거리 장터를 열었다.일일 먹거리 장터는 4월 21일(목)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다운타운(동소문로23길 20)에서 국수, 부침개, 떡볶이, 순대 등 다양하고 푸짐한 먹거리와 함께 진행되었다. 먹거리 장터를 연다는 소식에 장소를 기꺼이 내준 이웃을 비롯해 쌀, 김치 등 식자재를 지원해준 이웃 등 여기저기서 희망의 손길이 이어졌다. 준비한 주민들도 “많은 분들이 오셨는데, 나누고 하나 되어 「함께 사는 동네, 동선 희망동」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전했다.명예기자 김란희 정릉2동 정릉2동주민센터 ☎ 02-2241-5320우리 동네는 내가 지킨다!input image지난 3월 20일 정릉2동 마을안전협의회는 ‘주민과 함께하는 우리 마을 안전 순찰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창의적 자원봉사 학습터전을 마련하고, 지역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주민 참여의식을 높이고자 실시되었다. 정릉2동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와 청소년 30여 명으로구성된 자원봉사자들은 마을안전협의회와 동주민센터 직원의 인솔 하에 지역을 순찰하며 공사장 안전 펜스 및 표지판 설치 점검, 석축이나 옹벽 균열, 도로 파손 점검 등을 통해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주는 요인이나 위험물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순찰하면서 만난 주민들과 평소 생활하는데 불편한 점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정릉2동주민센터와 마을안전협의회는 자원봉사자들이점검한 사항과 의견을 수렴하여 해당 부서에 전달함으로써 해결 가능한 사항들이 바로 처리되도록 조처하였다.명예기자 한정혜 삼선동 삼선동주민센터 ☎ 02-2241-5040아나바다 삼선 녹색장터 열려input image지구를 살리는 작은 실천, 아나바다 삼선 녹색장터가 4월9일 한성대 전철역 분수마루에서 열렸다. 삼선 녹색장터는 아나바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다시쓰는) 정신을 살려 주민 스스로 참여하는 자원 재활용 실천운동의 일환으로 열린 행사이다. 서울시 녹색장터에 신청한 사단법인 함께사는 성북마을문화학교, 적십자 삼선봉사회, 삼선동 마음돌보미 회원들은 일반주민들에게도 신청을 받아 중학생 등 청소년과 가족이 집에서 쓰지 않는 물건들을 가지고 나와 함께 판매에 나섰다. 분수마루에서 열린 장터 참가자들은 아이가 커서 못 입는작은 옷, 안 읽는 책 등이 다른 사람들에게 소중하게 쓰일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며 판매 금액은 많지 않아도 청소년들이 열심히 참여하는 모습이 훈훈했다고 전해왔다. 올해는 5, 6, 7, 9월에도 일반 주민들의 참가신청을 받아 진행한다.명예기자 김준용 석관동 석관동주민센터 ☎ 02-2241-5760석관동 도시 텃밭에 봄이 시작됩니다input image지난 3월 23일, 자연 친환경적인 도시환경 조성 및 생활속 도시농업 실천을 위해 두산아파트와 철길 사이에 위치(석관동 14-5)한 석관동 도시 텃밭이 개장하였다. 도시 텃밭은 석관동 두산아파트 입주민 30가구와 공동체(단체)가 추첨 분양받았다.(※ 도시철도의 소음피해에 대한 보상으로 조성된 부지로 석관동 두산아파트 입주민 대상으로 한정. 도시철도 소유부지)초보 도시 농부들은 농약, 화학비료를 절대 사용하지 않고 깨끗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길러서 먹겠다는 포부를 밝혔으며, 반면에 추첨 받지 못한 많은 주민들은 내년에 더많은 구획이 조성되기를 소망하였다. 다음 분양에는 더 많은 도시 농부가 탄생되기를 바라며 석관동 도시 텃밭으로 힐링하러 오세요~.명예기자 황규은  서울특별시립 성북청소년수련관과 함께하는 프로그램 안내input image활동일시 : 2016년 연중모집기간 : 수시접수(선착순접수)대상 : 유아·초·중·고 개인 및 단체장소 : 수련관 및 학교참가비 : 프로그램별 상이(문의요망)전통문화 프로그램인성리더십, 배례법, 식사법, 다도예절, 한복입기, 천연염색, 민화부채, 한지공예, 전통매듭팔찌 ,전통등만들기, 짚풀공예, 전통탈만들기, 모둠북, 태껸, 탈춤, 민속놀이, 전통떡, 다식, 강정, 한과생태·텃밭·환경 프로그램허브삽목, 작물심기, 동·식물관찰, 수중생물관찰, 모히토&카나페, 쌈채소비빔밥, 부르게스타 ,압화손수건, 허브방향제, 허브비누, 천연염색문의 : 성북청소년수련관 특화사업팀 ☎ 02-3292-1318(내선 303)]]> Sat, 23 Apr 2016 19:21:06 +0000 5 <![CDATA[성북구의회 제240회 임시회 폐회 ]]> 성북구의회(의장 임태근)는 3월 30일 8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된 제240회 임시회를 마무리하고 폐회했다.이번 임시회는 23일 제1차 본회의를 시작으로 24일부터 29일까지 각 상임위원회별로 상정된 조례안 등의 안건을 심사하고, 마지막 날인 제2차 본회의에서 상임위원회에서 심의한 4건의 안건에 대해 최종 의결 후 산회했다.처리된 안건을 살펴보면 ▲공정무역 전시·홍보관 민간위탁 구의회 동의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1 주택재건축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 지정 의견청취안 ▲서울특별시 성북구의회 위원회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원안가결되었고, ▲서울특별시 성북구 청년지원 기본 조례안은 수정가결되었다.성북구의회, 제241회 임시회 개회성북구의회(의장 임태근)는 4월 25일부터 5월 2일까지 8일간의 일정으로 제241회 임시회를 개회한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2016년도 행정사무감사 기간 및 부서를 선정하고, 조례안을 비롯한 주요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상정된 안건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서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구세 기본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신건강검진·상담 지원에 관한 조례안 ▲공유재산 관리계획안 등이다.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 의원연구단체’ 본격 출발input imageinput image성북구의회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 의원연구단체’는 3월 16일, 4월 15일 두 차례에 걸쳐 운영위원장실에서 구청 관계부서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 모임을 가졌다.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 의원연구단체’는 성북구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및 처리실태를 점검하고, 음식물쓰레기 감량화와 자원체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정형진 의원을 비롯하여 권영애·김일영·박학동·오중균·이광남 의원이 활동하고 있는 연구단체이다.연구단체는 두 차례의 모임을 통해 구청 관계부서 직원들로부터 성북구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및 처리실태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감량화 방안과 대행업체 계약방식 개선 등의 연구 분야와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의원들은 “주민의 부담을 줄이면서 환경도 지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감량 방법과 자원체계 개선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한편, 윤만환 의원을 비롯해 김태수·박학동·송영옥·이미영·이은영·이인순 의원이 구성한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와 목소영 의원을 비롯해 권영애· 김춘례·안향자·이미영·이인순 의원이 구성한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도 정식 모임을 갖기 전 개별적으로 연구주제와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공부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일신초등학교 어린이 성북구의회 방문input image지난 4월 1일 일신초등학교 어린이 13명과 학부모 6명이 성북구의회를 방문했다. 이번 견학은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구의원이라는 직업에 대하여 소개하고, 기초자치단체 의회를 체험하고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이날 어린이들은 본회의장에서 의회 홍보동영상을 시청하고 의회사무국 직원으로부터 구의원이 하는 일과 회기가 진행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또한, 어린이 한 명 한 명이 의장이 되어 의사봉을 두드려보고, 제4회의실에서 상임위원회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졌다.의회 견학을 희망하는 사람은 전화로 사전예약을 하면 가능하며, 견학 가능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일과 종료 시까지이다.문의 : 의회사무국 의정팀 ☎ 02-2241-5853 2016년도 양귀비·대마 특별단속 실시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서는 양귀비 개화기 및 대마 수확기를 맞이하여 2016. 5. 1.부터7. 31.까지 양귀비·대마 특별단속기간으로 지정하여 단속을 실시하고자 합니다.주위에 양귀비·대마를 재배하는 사람이 있거나 자생하는 양귀비·대마를 발견하면 즉시 서울북부지방검찰청(☎ 02-3399-4377, 국번없이 ☎ 1301) 또는 인근 경찰서나 보건소에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Sat, 23 Apr 2016 19:22:51 +0000 5 <![CDATA[2016년 주택가격 결정·공시 및 이의신청 안내 ]]> http://aao.kab.co.kr)주택가격 이의신청이의신청 방법 : 성북구청(세무1과) 또는 동주민센터에 비치된 주택가격 이의신청서 서식에 기재하여 제출 또는 인터넷·우편·팩스 제출※ 공동주택의 경우 한국감정원 각 지점에 직접제출 가능(우편, 팩스, 방문접수)인터넷을 통한 이의신청- 개별주택 : 일사편리 부동산통합민원서비스(http://kras.go.kr)- 공동주택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http://www.molit.go.kr)이의신청 기간 : 2 016. 4. 29.~5. 30.이의신청 처리결과 : 서면통보문의 : 세무1과 ☎ 02-2241-4102~4 4~6월 민방위교육 안내교육대상 : 일 반대원(2~4년차), 1회 4시간※ 일요·야간 교육 : 지역·직장 민방위대원(1~4년차) 교육희망자교육장소 : 서 울시 민방위교육장(성북구 석관동, 석계역 4번 출구에서 월릉교 방향으로 300m)교육방법 및 내용 : 집 합교육· 기본소양 1시간, 실전훈련 3시간(화재, 교통안전, 전기가스)※ 시간대 : 오전(09:00~13:00), 오후(14:00~18:00), 일요(09:00~13:00), 야간(18:00~22:00)※ 현지교육안내 : 교육훈련통지서상의 교육일정에 참석이 원칙, 현지교육 규정에 따른 부득이한 경우(장기출장 등)에 한해 타 지역 교육에 참석 가능교육일정 : 국 가재난정보센터(www.safekorea.go.kr) 접속▶ 민방위 ▶ 교육·훈련 ▶ 교육일정에서 확인 가능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4385 급증하는 자연재해 풍수해보험으로 대비합시다풍수해보험이란?태풍, 홍수, 호우, 강풍, 풍랑, 해일, 대설, 지진 등의 풍수해로 발생하는 국민의 재산피해를 보상하기 위해국민안전처가 관장하고 민간보험사가 운영하는 정책보험입니다.보험특징개인이 부담하여야 하는 보험료의 절반이상을 정부에서 보조함으로써 저렴한 보험료로예기치 못한 재산피해에 대비- 전체 보험료의 55~62%를 정부에서 지원(개인은 38~45% 부담)  ※ 기초생활수급자 86%, 차상위계층 76% 지원대상시설 : 주 택(단독·공동주택, 세입자동산 포함), 온실(비닐하우스 포함)손해평가- 정액보상 : 전파, 반파, 소파의 3단계로 실시(주택은 침수피해 추가)- 실손보상 : 공동주택은 실제 손해에 대해 보상하는 실손비례보상(침수 포함) 가능- 소파손해 부보장(不保障) : 소파손해 보험금을 받지 않는 대신 보험료 할인- 침수손해 부보장(不保障) : 침수손해 보험금을 받지 않는 대신 보험료 할인- 지진재해 부보장(不保障) : 지진으로 인한 손해 보험금을 받지 않는 대신 보험료 할인문의 : 치수과 ☎ 02-2241-3624, 각동 주민센터, 판매 보험사※ (판매보험사) 삼성화재, 동부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NH농협손해보험(농축협지점) / * 농협중앙회 제외 5월은 개인지방소득세(종합소득) 신고납부의 달입니다소득세 확정신고시 개인지방소득세도 함께 신고납부하시기 바랍니다.납세 의무자 : 2 015년 귀속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대상자신고납부기간 : 2 016. 5. 1.~5. 31.과세표준 : 소득세와 동일한 과세표준적용세율 : 소득세율의 10% 수준 누진세율납세지 : 소득세 확정신고 당시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 신고납부방법 :- 관할 세무서에 소득세와 동시에 개인지방소득세를 신고하고, 「개인지방소득세 납부서」를 작성하여 시중 금융기관에 납부(서울시 외 지역에서는 우리은행 및 우체국에서만 납부가능)- 서울시 지방세 인터넷 납부서비스(https://etax.seoul.go.kr)에서 신고납부- 국세청 홈페이지(https://www.hometax.go.kr)에서 국세와 같이 전자신고납부※ 납부마감일에는 금융기관의 업무폭주와 인터넷 과다접속으로 납부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오니, 미리 납부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문의 : 세무2과 지방소득조사팀 ☎ 02-2241-4152~5, 지방소득관리팀 ☎ 02-2241-4192~6 밤길 귀가 무서우세요? 여성 안심귀가 스카우트 이용하세요!운영기간 : 2 016. 12. 31.까지 (※ 주말, 공휴일 제외)운영시간- 월 22:00~24:00- 화~금 22:00~다음날 새벽 01:00어떻게 신청하나요?성북구청 안심귀가 스카우트 상황실(☎ 02-2241-1900)이나 다산콜센터(☎ 120)를 통해 지하철역이나버스정류장에 도착하기 30분 전에 미리 전화로 신청하여 안심스카우트와 만나는 장소·시간 약속스카우트를 어떻게 만날 수 있나요?약속한 시간·장소에서 스카우트 유니폼(노란 조끼, 모자)을 입은 안심귀가 스카우트를 만나 2~3인으로 구성된 안심귀가 스카우트와 함께 안전하게 집에 도착문의 : 여성가족과 ☎ 02-2241-2575 2016 성북구 청소년 노동인권 특강모집대상 : 청소년 노동 인권에 관심 있는 주민 누구나강의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 중강의실강의일정 : 2016. 5. 25.(수) 14:00수강료 : 무료(수료증 발급)모집정원 : 70명(선착순)강의내용input image신청기간 : 2016. 4. 25.~마감시까지접수방법 : 방문 및 전화, 팩스(02-2241-6524), 이메일(humanrights@sb.go.kr)문의 : 구청 인권센터 ☎ 02-2241-2192성북구 청년정책네트워크(청정넷) 모집청년들 스스로 청년의 삶에 주목하고 청년발전을 위해 능동적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함께할 ‘성북구 청년정책네트워크’ 활동 청년을 공개 모집합니다.모집기간 : 2016. 4. 18.(월)~5. 27.(금) ※ 활동기간 : 6~8월모집인원 : 30명 내외모집대상 : 성북구 주민등록 거주자 및 관내 대학에서 수학하는 만 19세에서 39세까지인 청년지원방법 : 성북구청 홈페이지에서 지원서 작성 후 이메일(201508024@sb.go.kr)로 제출활동분야 : 청년정책관련 분야별 4개 팀(고용·주거·생활·문화)으로 구성활동특전- 구 청년지원사업 신청시 우선순위 부여(예 : 도전숙, 비즈니스센터 입주 등)- 프로젝트 활동비 지급 및 우수활동자 구청장 표창 수여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922016년 청년인턴 지원사업 참여 기업 및 인턴 모집모집인원 : 18명모집분야 : 정규직 전환 가능성이 높은 경영, 기획, IT분야, 제조업 등 일자리 창출분야모집(신청)자격- 기업 : 성북구 소재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중소기업으로 인턴종료 후 정규직 전환 계획이 있는 기업- 청년인턴 : 공고일 현재 만 18세 이상 39세 이하 미취업자 중성북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청년사업기간 : 2016. 5월~10월(6개월)지원조건 : 1인당 월 100만원 이상(중식비, 4대보험료 사용자부담분은 해당기업에서 지원)접수기간- 참여기업 : 2016. 4. 15.(금)~4. 22.(금) 7일간- 청년인턴 : 2016. 4. 15.(금)~4. 29.(금) 14일간접수처 : 성북구 상공회※ 신청서는 홈페이지 모집공고문에서 신청서 서식을 다운 받아출력 후 작성 활용청년인턴 선발 및 참여업체 선정 : 2016. 4. 29.(금) 예정문의 : 성북구청 일자리경제과 ☎ 02-2241-3962         성북구 상공회 ☎ 02-909-8195~6 공유토지분할 시행 안내공동으로 소유한 토지를 단독 소유토지로 토지분할 및 등기정리를 할 수 있도록 『공유토지분할에 관한 특례법』이 2017. 5. 22.까지 한시적으로 시행중입니다. 신청을 원하시는 대상토지의 소유자께서는 제출서류를 구비하시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시행기간 : 2012. 5. 23.~2017. 5. 22.대상토지- 공유자 총수의 1/3 이상이 그 지상에 건물을 소유하는 방법으로, 1년 이상 자기 지분에 상당하는 토지부분을 특정하여 점유하고 있는 등기된 공유토지※ 제외토지 : 공유물분할에 관한 판결이 있었거나, 소가 계속중인 토지와 분할하지 아니하기로 약정한 토지분할신청 요건- 공유자 총수의 1/5 이상 또는 공유자 20인 이상의 동의를 얻어 구청(지적과)에 신청소요비용 : 측량비, 취득세, 감정료(감정에 의하여 청산하는 경우)구비서류- 공유자 전원의 지분을 표시하는 명세서※ 토지등기부상 소유자 각각의 지분을 합하여 ‘1’ 이 되는지 확인(1이 안될 경우 등기부상의 지분 정정 후 신청)- 건축물대장 또는 건물 등기사항전부증명서- 이해관계인 표시명세서- 경계(청산)에 대한 합의서문의 : 지적과 ☎ 02-2241-4622 주택에는 꼭 기초소방시설을 설치해야합니다input image최근 3년간 서울시 전체 화재 사망자의 62%가 주택에서 발생!!주택용 소방시설이란?설치대상 : 단독, 다중, 연립, 다가구, 다세대 input image주택, 공관 등주택 기초 소방시설 설치 의무화(2012. 2. 5.)input image문의 : 성북소방서 예방팀 ☎ 02-925-0906 난방개선을 위한 집수리비용 융자지원융자기간 : 2016. 12. 9.까지(단, 융자기금 소진 시 조기 종료)지원사업 : 에너지 절약시설 설치사업(단열창호, 단열재,고효율 보일러·고효율 LED조명 교체 등)취급은행 : 우리은행(보증보험은 서울보증보험 가입)융자대상 : 모든 주택(단독, 아파트)지원대상 : 주택 소유자융자금액 : 공사비의 100%(200만원~1,500만원)융자조건 : 연리 1.45%, 8년 균등 분할상환기타 : 무담보 융자지원 시 보증보험 가입문의 : 환경과 ☎ 02-2241-3022전기차 차량구입비를 지원해드립니다!신청자격 : 2016. 3. 4. 이전 서울시에 주소를 둔 시민 또는 사업장 소재한 기업, 법인 등신청기간 : 2016. 3. 14.~7. 29.(선착순 마감)보급대수 : 520대(전기승용차 510대, 전기트럭 10대)지원금액 : ① 차량구입비 대당 1,200만~1,800만원, ② 충전기 무료(400만원 한도 내) 설치 지원신청방법 : 차량 판매 대리점 방문 신청서 작성·접수※ 차량 판매점 현황 등 자세한 내용 안내 : 서울시 홈페이지 → 뉴스·소식 → 공고 → 고시·공고 → 전차기 검색문의 : 환경과 ☎ 02-2241-3044]]> Sat, 23 Apr 2016 19:24:19 +0000 5 <![CDATA[어린이날, 성북구청으로 놀러가자! ]]>   input imageinput image12층미래직업체험부스드론, 3D 프린터 체험, 가상현실 체험 등- 시간 : 11:00~17:00- 장소 : 12층 북카페 및 옥상정원6층1일 구청장 체험구청장과 함께 하는 포토타임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색다른 경험 제공- 시간 : 15:00~16:00- 장소 : 6층 구청장실4층성북 아리랑 동요제5월 1일 예선을 통과한 관내 5세 이상아동 및 초등학생의 동요 경연대회- 시간 : 14:00~16:00꿈을 찍는 사진관포토월, 포토부스에서 어린이와 가족의 행복한 모습을 촬영하여 인화- 시간 : 11:00~17:00아동친화도시 성북에 바란다아동친화도시 사업에 관한 어린이들의 의견을 듣는 함 설치 운영- 시간 : 11:00~17:00가정의 달 맞이 감사엽서 보내기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어린이들이 부모님, 선생님, 친구 등에게 구청에서 제작한 도로명 주소 맞춤 엽서에 감사편지를 작성하여 우체통에 투입지하1층단편영화 및 애니메이션 상영유럽 단편영화 ‘마틸드’, ‘파란치마’ 및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이언킹’ 상영- 시간라이언킹 : 11:00~14:10  마틸드, 파란치마 : 16:20~16:40- 장소 : 지하 1층 다목적홀모차르트와 떠나는 유럽 음악여행라라잼 콘서트가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클래식 공연- 시간 : 15:00~16:10- 장소 : 지하 1층 다목적홀마인크래프트트릭아트를 활용한 포토존- 장소 : 지하 1층 외부 홀input image보고(See)05 메인무대 공연마술쇼, 바디퍼커션 공연- 시간 : 바디퍼커션 - 14:00~15:0002 영양 한 다발 건강한 프로포즈터치스크린 식품카트 담기를 통한 건강한 음식 찾기 및 식품모형 전시18 캐릭터 존 및 탈 인형 퍼포먼스아이들에게 친근한 디즈니 캐릭터 조형물을 이용한 캐릭터 존 운영 및 탈 인형 퍼포먼스체험하고(Do)06 친환경 떡사탕 만들기관내 아동 100명 대상 친환경 떡사탕 만들기 체험코너09 카네이션 만들기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아이들이 직접 부모님께 드릴 카네이션을 만들어 봄으로써 가정의 달 의미를 되새겨봄10 영유아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재료로 비행기 만들기16 어린이 교통안전 놀이터교통안전 Zone 설치로 어린이 안전학교강사와 함께하는 안전지도실습 및 자동차, 자전거 장난감 놀이터말하고(Say)11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아이들과의 놀이를 통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13 미래가 창창! 진로상담학부모마을교사네트워크와 함께하는다중지능검사를 토대로 한 진로상담20 어린이를 위한 그림게시판담벼락 방명록 및 낙서장 등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그림을 나타낼 수 있는 그림판즐기고(Play)01 페이스페인팅아이들 얼굴 또는 손에 그림을 그려주는 이벤트05 거리 버블 퍼포먼스 및 버블체험여러 종류의 버블스틱을 활용해 다양한 퍼포먼스 진행, 아이들이 직접 여러 도구들을 활용하여 버블을 만들어 보는 버블체험존 설치19 가족과 함께하는 프리마켓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오픈 프리마켓배우고(Learn)03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부스유니세프 활동 소개와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 확산15 엄마는 교통안전 선생님교통안전 스티커 붙이기 책자를 이용한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및 교육교재 보급17 타요버스 운행교육타요버스와 하나언니가 함께하는 버스 승차요령 등 안전 운행교육 2016 ‘북스타트(BookStart)’ 책꾸러미 선물 받아가세요!성북구 거주 0~35개월 영유아에게 생애 첫 그림책 2권과 가방을선물로 드립니다. 보호자 주민등록증, 주민등록등본, 아기수첩을지참하시고 가까운 도서관이나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을 방문하세요.단계별 한 번씩만 받을 수 있습니다위치 및 장소 : 성북정보도서관(성북구립도서관 및 작은도서관, 아이조아, SB장난감도서관, 부모지원센터 등에서도 수령이 가능합니다) input image문의 : 성북문화재단 성북정보도서관 북스타트 담당 ☎0 70-8644-8043, 가까운 성북구립도서관         2016 성북구 유아축구 주말리그 모집일시 : 2016. 6. 12.(일) 08:30~19:00장소 : 월곡인조잔디축구장대상 : 성북구 관내 초등학교 1학년, 2학년(54개팀)접수 : 성북구생활체육회 팩스(02-3676-7331) 접수 ※ 선착순모집문의 : 성북구생활체육회 ☎ 02-3676-7330    ]]> Sat, 23 Apr 2016 19:25:58 +0000 5 <![CDATA[성북동愛 숲 속의 유토피아 선잠단 터 ]]>   성북구는 약 900년 전 고려시대부터 양잠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개최한 선잠제향 행사를 매년 5월 선잠단지에서 재현, 봉행하고 있습니다.성북동 우리 동네 역사이야기 두 번째! 우리 구 대표적인 전통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한 선잠제향의 무대, 선잠단 터에 대해 소개합니다.성북동 선잠단 터(사적 제83호)의 무성한 뽕나무숲을 들여다보면 나도향의 단편소설 「뽕」(1925)이생각난다. 소설 속 뽕밭이 모든 희망이 무너진 디스토피아의 축도라면 선잠단 터의 뽕나무 숲은 유토피아, 즉 입을 것 걱정 않고 누구나 부족함 없이 사는, 살기 좋은 나라를 향한 오랜 갈망의 표현이다.선잠단에서 지내던 선잠제(先蠶祭)는 처음으로 누에를 쳐서 비단을 짜 옷을 해 입었다는 전설의 여인서릉씨를 선잠신으로 받들어 모시는 국가의 중대한제사였다. 그 해 양잠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한 선잠제는 일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농제와 짝을이루었다. 고대 중국에서 발달한 이 제사들이 한국에 수용된 것은 고려시대부터로 조선왕조는 고려의체제를 이어받아 정종 2년(1400) 음력 3월에 처음선잠제를 지냈다. 이후 잠시 중단되기도 했지만 선잠제는 조선시대 내내 중요한 국가제사로 치러졌다.input image선잠단(일제강점기). 가운데 직사각형으로 구획지은 토지와 정사각형 제단이선잠단이다. 제단 앞으로 복개되지 않은 성북천이 흐르고 있고 오른쪽 산 아래에서는 마전한 광목을 햇볕에 말리고 있다.※ 본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4유형으로 개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작성자 : 국립중앙박물관)’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선잠단 터는 서울에 남은 조선시대 유적들 중에서도 연대가 오래된 축에 속한다. 『세종실록』 지리지에‘선잠단은 동소문 밖 사한이에 있다’고 적혀 있고,『태종실록』 13년(1413)조에 ‘선잠의 단과 담이 이미 축조되었으나 법식과 다르므로 옛 제도에 따라수축해야 한다’는 기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선잠단은 태종이 한양으로 환도한 이후인 태종 5년(1405)과 태종 13년(1413) 사이에 동소문 밖 사한이(沙閑伊), 곧 성북동 지금 이 자리에 조성된 것으로 보는것이 타당하다. 그 후 단을 옮겼다는 기록이 없으므로 1908년 신위가 사직단으로 옮겨가면서 제단이철폐되기까지 선잠단은 거의 600년 세월 동안 제자리를 지킨 셈이다. 일제강점기에 본래 있던 제단과담장도 없어지고 길가의 필지도 일부 잘려 나갔으나 가운데 터는 용케 살아남았다. 지금 터 안쪽에 마련해 놓은 제단과 그 위의 비석은 본래의 것은 아니며 근래 선잠단 터 정비 시에 만들어 놓은 것인데 이것을 옛 제단으로 착각하는 방문객들이 많다. 『세종실록』과 『국조오례의』 등 여러 문헌에 그 치수와 규례가 도판과 함께 실려 있으니 제단과 담장을 옛 제도에 맞게 복원하는 일이 어렵지만은 않을 것이다.일제강점 이후 중단된 선잠제를 이곳에서 다시 봉행하기 시작한 해는 1993년이다. 제단이 철폐된 지85년 만의 일이었다. 1976년부터 제단 터 안에 뽕나무를 식재하고 가꾸어오던 성북동 주민들과 대한잠사회의 노력이 컸다. input image선잠단지(2016. 4. 7. 선잠단 앞 백강빌딩 옥상에서 촬영). 뽕나무 40여 주가 식재되어 있으며 입구에 홍살문이 세워져 있다. 올해 선잠제향은 5월 22일(일)에 열린다.이후 선잠제는 성북동 주민들이 주축이 된 선잠제보존위원회를 중심으로 매년 5월마다 성북구민의 날 행사와 연계해 치러졌으며 올해로 23회를 맞는다. 특히 올해는 왕비·공주선발대회가 다시 열려 온 구민이 함께하는 성대한잔치로 치러질 전망이다.선잠단과 마찬가지로 선잠제 역시 복원이 필요한‘무형’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원형을 복원하고자 한다면 지금과 같이 1년에 한 번씩 치르는 재현 행사만으로는 백년하청이다. 선잠제와 같이 하나의 지역 공동체 속에서 재현되는 무형유산은 반드시 원형을 철저히 고증한 다음 재현에 참가할 사람들을지정해 놓고 정기적인 연습을 통해서 그 지역의 다음 세대에게 전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자체적인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며무엇보다 지방정부의 역할이 커 보인다. 장기적인복원 계획의 수립과 제례의식의 전수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구의소중한 문화유산인 선잠단과 선잠제가 주민들의 삶의 맥락과 무리 없이 이어져 모두가 사랑하고 아끼는 문화유산으로 부활할 날을 기다린다. (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 제23회 선잠제향 개최고려시대부터 조선말까지 양잠의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개최했던 선잠제향!화창한 봄날, 여러분과 함께 조상의역사와 문화를 계승하고자 선잠단지에서 전통 제례의식을 재현합니다.input image일시 : 2016. 5. 22.(일) 10:30~12:30장소 : 선잠단지(성북로 17), 성북동길세부행사 :input image 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3 선잠퍼레이드 참가자 모집모집대상 : 선잠퍼레이드 참가자 100명 이내(왕비, 공주 이외 장군, 상궁, 병졸 등으로 참가)응모자격 : 성북구에 주민등록을 두거나 관내 교육기관에 재학중인 중학생 이상자선착순 모집(가족단위 참가 환영)접수기간 : 2016. 4. 18.(월)~5. 13.(금)신청방법 : 이메일(sbcc1@naver.com) 또는 성북구청 홈페이지 직접 신청 문의 : 선잠제향준비위원회 ☎ 02-765-1611           문화체육과 ☎ 02-2241-2603]]> Sun, 24 Apr 2016 14:57:23 +0000 5 <![CDATA[즐기고, 누리는 성북 ]]> ※ ‘우리 동네 요리사’와 행사당일 자원봉사자 절찬 모집중! 전화접수 받습니다.문의 : 성북문화재단 누리마실 사무국 ☎ 070-5023-1942  2016년 5월 성북구 역사문화탐방 모집 안내성북구의 다양한 문화유산을 해설하고 안내하는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오니 남녀노소 관심 있는 개인 및 단체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코스안내input image※ 모든 투어는 무료로 진행하지만 능·원·박물관 입장료는 개인이 준비해야 합니다.주최/주관 : 성북구청/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 마을기업접수신청 : 2016. 4. 24.부터(평일 10:00~18:00)문의 : 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서울시 인증 마을기업) ☎ 010-5301-3637 비서구문학 인문강좌 <지역과 세계는 어떻게 만나는가?>일시 : 2016. 5. 6.~7. 22. 매주 금요일 19:00~21:00장소 : 달빛마루도서관(성북구 종암로 167)대상 : 누구나(선착순 신청자 40명)접수 : 2016. 4. 25.부터 정책협력팀 전화접수강의 일정 : 아시아의 글로컬리티input image※ 아프리카의 글로컬리티 : 6. 17.~7. 8.(총 4강) / 라틴아메리카의 글로컬리티 : 7. 15. / 7. 22.문의 : 성북문화재단 정책협력팀 ☎ 070-5023-1941  성북주민 연극교실의 ‘주민 배우’를 모십니다성북의 역사문화 및 지역의 소소한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지역 예술가들과 함께 연극을 통하여 연습하고 활동함으로써 지역의 가치와 소중함을 함께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성북주민 연극교실의 주민 배우를 모십니다.input image모집기간 : 충원시까지 ※ 연습은 5월 중 시작 예정입니다.문의 : 성북문화재단 ☎ 070-8644-8365(정릉 담당 권은영)☎ 070-8644-8248(장위/의릉 담당 김준환) 5월 주민주도 성북구민 걷기행사봄꽃이 살랑살랑 피어오르는 홍릉수목원 시험림길 걷기일시 : 2 016. 5. 21.(토) 09:00~11:30장소 : 서울국유림관리소(상월곡동 소재) 09:00 출발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신청없이 무료참여)코스 : 홍릉수목원 시험림길(3.2km, 약 1시간 소요)주최·주관 : 성북구 걷지우연합회·성북구 통합방위협의회행사내용 : 건강체조, 걷기운동, 경품행사, 건강부스 등서울국유림관리소 찾아오시는 길(주차장 이용불가)- 지하철 : 6호선 상월곡역 4번 출구(월곡2동주민센터) 도보 2분- 버스 : 120, 163, 1111, 1226 상월곡역 하차 도보 2분※ 행사당일 오전 9시까지 오셔야 걷기행사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문의 : 보건소 ☎ 02-2241-59332016년 제2기 성북여성교실 수강생 모집교육기간 : 2016. 5. 9.(월)~7. 29.(금) 12주과정교육장소 : 성북여성교실(장위1동주민센터 지하 1층)교육과목 : 11개과목(한식조리사·헤어디자인·피부미용 자격증반, 김치담그기반 등 요리교실, 홈패션실내소품, 퀼트, 꽃꽂이반)접수기간 : 2016. 4. 19.(화)~5. 3.(화)※ 자세한 사항은 성북구청 홈페이지 모집강좌에서 확인 바랍니다 .문의 : 성북여성교실 ☎ 02-2241-2579, 02-942-5920]]> Sun, 24 Apr 2016 15:09:17 +0000 5 <![CDATA[경로당 찾아 어르신 마음 다독여 정신건강 프로그램 ‘마음통통’ 진행 ]]> 문의 : 성북구치매지원센터 ☎ 02-918-2223 ,           SH공사 성북권역주거복지센터 ☎ 02-944-8000 고령화사회를 위한 준비, 데이케어센터를 아시나요?데이케어센터는 치매·노인성질환이 있는 어르신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이용시설입니다.이용대상 : 1~5등급 장기요양급여 수급자, 노인성질환자 등이용가능시간 : 08:00~22:00(※ 센터별로 상이하므로 센터별 문의 필요)운영 프로그램(예시) : 생활체조, 미술활동, 서예교실, 음악치료, 찜질·발마사지, 뷰티케어 등이용료 : 장기요양등급 및 이용시간에 따라 상이하므로 해당시설로 전화 또는 내방상담input image 나의 이웃김정희(정릉3동)“저기요, 시장은 어느 쪽으로 가면 됩니까?” 건널목에서 신호를 기다리고 있는데 나와 나이가 비슷해 보이는 할머니가 나에게 말을 합니다.“네. 이쪽으로 쭉 가시면 됩니다.”나는 내가 아는 것을 물어 보는 게 다행이라 생각하며 친절히 가르쳐 드렸습니다.“아, 그래요. 그런데 사실은 저도 아는데 그냥 물어봤어요.”‘알고 있는데 왜 물어봤을까’ 하는 나의 표정을 보고 그 이유를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실은 하루 종일 말 한마디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그래서 내게 말을 걸어보았다는 거예요.요즘 노인들의 삶이 대부분 이래요. 그분을 보며 나를 생각했어요. 내 집에서 현관문이 마주 보이는 앞집은 젊은 분인데 내게 매우 신경을 써줍니다. 색다른 음식을 하는 날은 꼭 챙겨주시고, 우리 집이 불이 켜져 있는지, 물소리는 나는지 살펴 봅니다. 너무나 고마워서 눈물이 날 때가 있어요. 심심치 않게 매스컴에 올라오는 노인들의고독사. 사망하고 오랜 후에야 발견되는 일들. 이런저런 생각으로 우울하다가도 좋은 이웃이 있어서 살만한 세상이란 생각이 듭니다.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주제 : 두통 바로알기강사 : 김병건 교수(을지병원 신경과)일시 : 2016. 5. 2.(월)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신청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Sun, 24 Apr 2016 15:21:33 +0000 5 <![CDATA[유아 편식개선 클리닉 外 ]]> ※그룹별 교육 횟수는 상이함   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4 '밥상이 의사다' 영양프로젝트 안내주제 : 수명 연장을 위한 약이 되는 건강밥상 1탄강사 : 백수경 강사일시 : 2016. 5. 13.~6. 24.(매주 금요일 10:00~11: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신청방법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교육 일정input image      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7 전립선암 무료검진 및 건강강좌대상자 모집검진 일시 : 2016. 5. 19.(목) 07:30~11:00검진 대상 : 관내 55세 이상 남자(여러 가지 배뇨증상이 있으신 분)검진 장소 : 성북구보건소 9층 sb문화홀검진 의료진 : 한국전립선관리협회접수 : 전화 접수(선착순 100명)비용 : 무료(전립선암 검사 및 건강강좌)세부 내용input image※ 일정상 강좌와 검사가 일정부분 동시에 진행됩니다.문의 : 의약과 검진팀 ☎ 02-2241-6092~3 대사증후군 유소견자들을 위한맞춤형 걷기운동교실 안내대사증후군 유소견자(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분들을 대상으로대사증후군 완화를 위해 전문강사와 함께 전신 스트레칭, 걷기코스 돌기,바른 걷기자세를 익히는 프로그램입니다.기간 : 2016. 5월~6월 주 3회(월, 수 10:00, 금 09:00)대상 : 대사증후군 유소견자(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장소 : 정릉천 2구간(화랑교~종암대교)집결지 : 홈플러스 건물 뒤편 정릉천 입구방법 : 전신 스트레칭, 근력운동, 개인별 워킹지도 등신청 : 전화 ☎ 02-2241-5934※ 우천 시에는 취소됩니다.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34 아이를 행복하게! 다양한 육아 프로그램 운영 베이비 마사지일시 : 2016. 5. 17.(화), 5. 31.(화) 10:00~12:00장소 : 보문동 육아종합지원센터 1층 부모어울림터대상 : 생후 2개월~6개월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또는 가족내용 : 스트레칭, 다리·발 마사지, 가슴·배 마사지,팔과 손 마사지, 등·엉덩이 마사지, 얼굴 마사지개인준비물 : 타월, 천연오일인원 : 50명(영유아 25명 + 어머니 포함 가족 25명)※ 사전예약 필수             종이접기/모빌 만들기일시 : 2016. 5. 10.(화), 5. 24.(화) 10:00~12:00장소 : 보문동 육아종합지원센터 1층 부모어울림터대상 : 임산부 또는 영유아 가정내용: 강사와 함께 발달수준에 맞는 종이접기를이용한 모빌제작개인준비물 : 가위, 풀인원 : 30명※ 사전예약 필수             손주사랑 육아교실일시 : 2016. 5. 19.(목), 5. 20.(금) 14:00~16:0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대상 : 손주를 돌보는 할머니, 할아버지내용: 신생아 관리, 모유수유법,산후조리법, 응급처치법인원 : 30명※ 사전예약 필수문의 : 건강관리과 ☎ 02-2241-6003 자전거 교통안전 체험교육장에서 무료로 자전거 교육을 시행합니다!  교육일정 : 2016. 5. 18.~5. 20.(3일간, 1일 3시간 10:00~14:00)교육대상 : 초·중학교 학생, 주부·자전거 초보자 등 일반구민(1일 30명)교육내용 :안전교육(기초교통규범), 자전거 끌기, 자전거 브레이크 작동법,페달 딛고 일어서기(올라타기), 단체 라이딩시 수신호 인지법 ,간단한 자전거 고장 처치법교육장소 : 자전거 교통안전 체험교육장(위치 : 중랑천 월릉교 하류)신청방법 : 전화 또는 방문접수(수시 접수, 매회차 선착순접수 및 문의 : 교통행정과 ☎ 02-2241-3412(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2층)                     성북구생활체육자전거연합회 ☎ 02-501-9282(성북구 보문로 119-1, 301)]]> Sun, 24 Apr 2016 15:54:11 +0000 5 <![CDATA[2016 상반기 자기주도학습 학부모 프로그램 및 특강 ]]> ※ 강좌별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집인원 등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성북구에 주소를 둔 성북구민만 신청 가능합니다.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5~6 성북청소년토론캠프 운영성북구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생각하고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토론과 글쓰기 경험을통해 소통 및 표현역량 등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2016성북청소년토론캠프를 운영하오니, 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대상 : 성북구 관내 중학생 40명(참가비 무료)일시 : 2016. 5. 13.(금)~5. 14.(토) <1박 2일>장소 : 봉도청소년수련원(강북구 삼양로 181길 68)내용 : 토론기법 학습 및 쟁점토론, 논술대회, 몸과 마음 깨우기, 산책 등신청방법 : 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자기주도학습지원센터), 선착순 온라인 접수(2016. 4월 현재 모집 중)※ 강좌별 상세내용 및 세부일정 등은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라며, 모집인원 등 프로그램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성북구에 주소를 둔 성북구민만 신청 가능합니다. input image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1 성북마을 사진작가 양성교육 수강생을 모집합니다성북구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생각하고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토론과 글쓰기 경험을통해 소통 및 표현역량 등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2016성북청소년토론캠프를 운영하오니, 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참여대상 : 1 ) 성북구에 살고 있는 우리구 주민이라면, 2) 사진을 잘 찍는 사람도, ‘처음 배우는 사람’도 참여 가능합니다.교육장소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아리랑로 82 아리랑시네센터 4층)모집기간 : 2016. 5. 2.(월)~5. 31.(화) 18:00까지신청방법 : 온라인(성북구청 홈페이지 ▶ 성북구소개 ▶ 구정소식 ▶ 모집강좌), 전화, 이메일(therethere@sb.go.kr) 접수수강료 : 10만원(수강등록 후 문자로 입금계좌 안내) 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구민정보화교육 5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왕초보’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4. 26.(화) 09:00~27.(수) 17:00                [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4. 28.(목)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 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다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왕초보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미래창창과 함께하는 5월 프로그램프로그램명 : 토요일엔 Job Go(학부모 마을교사와 함께 하는 직업스토리텔링 및 진로체험)input image접수기간 : 5. 2.(월)~5. 20.(금)접수방법 : www.sbcareer.or.kr 온라인접수(프로그램 신청게시판) ※ 선착순모집       문의 : 미래창창 성북청소년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 02-2038-2132          네이버밴드(band.us/@sbcareer),          페이스북(facebook.com/seongbukdreamjob)]]> Sun, 24 Apr 2016 16:07:42 +0000 5 <![CDATA[한 달에 두 번! 서울의 중심 세종대로… 걷기 천국으로 대 변신 ]]> 평소 세종로를 지나던 39개 버스도 우회 운행하고 보행전용거리로 통제되는 광화문↔세종도로 내 시내버스 정류장 3개도 폐쇄되기 때문에 버스를 이용하려면 광화문(동화면세점 앞), 종로1가(종각 앞) 등 주변에서 하차 후 걸어서 이동하거나 지하철을 이용해야 한다. 보행전용거리 관련 교통정보는 120 다산콜센터, 서울시 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와 모바일, 보행전용거리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보행자전거과 ☎2133-2427           자원순환과 ☎2133-3699  2016 지구촌 나눔한마당 개최도심 속 최대 다문화 축제인 2016 지구촌 나눔한마당이 서울광장과 무교동 거리, 청계로 일원에서 펼쳐진다. 금년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17개 해외 자매우호도시 공연단 300여명의 초청공연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일시 : '16. 5. 7(토) ~5. 8(일) ※ 개막식 : 5. 7(토) 16시장소 : 서울광장, 무교동 거리 및 청계로 일원 주요행사 - 주한대사관 65개국 참여 : 세계 음식·관광 홍보전, 해외도시 초청 공연, 세계명소 포토존- 지구촌 퍼레이드, 지구촌 나눔존, 지구촌 패션쇼, Music Cafe(거리공연), 한복 플래시몹 등문의: 국제교류담당관 ☎2133-5259본인서명 사실 확인제도 알고 계세요?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는 민원인이 직접 구청 민원실 및 동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본인이 서명하고 기재한 내용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로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하다. 전국 시·군·구청 민원실 및 읍·면·동주민센터에서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제출하고 본인 확인 후 서명만하면 본인서명사실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방문 발급이 어려울 때는 인터넷(민원24)에서 발급 받아도 된다. 전국 시·군·구청 및 동주민센터를 1회 방문하여 ‘전자본인서명확인서 이용승인 신청서’를 제출하고, 승인받은 후에는 동주민센터 방문 없이 인터넷 민원24(www.minwon.go.kr)에서 편리하게 발급받을 수 있다.문의: 자치행정과 ☎ 2133-5827만화의 거리 축제 ‘재미로 놀자’만화의 상상력을 담은 주고 싶은 거리 재미로에서 할로윈축제가 열린다.일시 : 2016.5.5.(목)~5.8.(일) 10:00~18:00장소 : 만화의 거리 ‘재미로’(명동역 3번 출구 ~ 서울애니메이션센터)축제내용- 볼거리 : 코스프레 퍼레이드, 거리 공연 등- 즐길거리 : 탈인형퍼레이드, 페이스 페인팅, 캐리커처, 플리마켓 등- 먹을거리 : 한식, 중식, 양식, 일식 등 다양한 이색가게문의: 문화융합경제과 ☎ 2133-2597             input image]]> Sun, 24 Apr 2016 16:22:58 +0000 5 <![CDATA[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업, 여러분의 제안을 기다립니다! ]]>             input image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업, 여러분의 제안을 기다립니다!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업은 무엇이 있을까요? 여러분이 직접 제안을 하면 마을에 필요한 사업이 예산으로 반영되어 실제로 시행됩니다. 우리 마을 살림살이 결정, 주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주민참여예산제란?주민참여예산제는 그간 지방자치단체장이 일방적으로 편성하였던 예산의 편성권을 주민과 나누고, 각종 사업의 필요성이나 예산분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말합니다.어떻게 제안하나요?제안기간 : 5월 13일까지제안내용 : 2017년도 우리 동네에 시행되었으면 하는 일제안방법- 인터넷 : 성북구청 홈페이지(www.sb.go.kr) → 화면 오른쪽 주민참여예산go → 주민참여마당 → 제안사업 신청- 우편 :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마을민주주의과 주민참여팀(02848)- 방문 : 동주민센터, 성북구청 마을민주주의과 방문접수주민제안사업신청서 다운로드(※ 제안시 주민제안사업신청서 서식 이용)- 성북구청 홈페이지 → 주민참여예산go → 알림마당 → 자료실문의 : 마을민주주의과 ☎ 02-2241-2232  「플랫폼 창동 61 개장식」 및동북4구 특화 플리마켓 ‘아네모네’ 개최동북4구(성북, 강북, 도봉, 노원구) 창동 일대 61개의 컨테이너 박스로 구성된 「플랫폼 창동 61 개장식」 및동북4구 특화 플리마켓 ‘아네모네’로 구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플랫폼 창동 61 개장식일시 : 2016. 4. 29.(금) 17:30~21:30 <개장식 본식 행사 : 19:00~19:40>장소 : 플랫폼 창동 61(창동역 1번 출구 앞, 도봉구 창동 1-9)참석자 : 초대가수 - 시나위, 장기하와 얼굴들, 이하이 등(20:00~21:30)정창욱 셰프, 한혜진 스타일리스트, 오중석 작가 등(17:00~19:30)행사내용 : 플랫폼 창동 61 개장식 및 개막공연, 패션/포토/쿠킹 클래스 등동북4구 특화 플리마켓 '아네모네' 개최일시 : 2016. 4. 29.(금)~5. 1.(일), 3일 간장소 : 플랫폼 창동 61(창동역 1번 출구 앞, 도봉구 창동 1-9)※ 플리마켓이란? : 안 쓰는 물건을 공원 등에 갖고 나와 매매나 교환 등을 하는 행사문의 : 플랫폼 창동 61 개장식 ☎ 02-907-9301,          동북4구 특화 플리마켓 ‘아네모네’ ☎ 02-993-0563 2016년 성북어울림장터 개최사람과 물건 그리고 마을이야기의 어울림을 통해 자원순환과나눔의 가치를 살리는 성북어울림장터가 5월 21일(토) 성북구청 바람마당에서 진행됩니다. 나에겐 필요 없지만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는 옷가지, 잡화 등을 판매하고, 구입할 수 있으며,다양한 이벤트도 마련되어 있으니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장터 일정5월 장터 : 5.21.(토) 11:00~16:00, 성북구청 바람마당6월 장터 : 6.18.(토) 11:00~16:00, 월곡동 공동 주차장장터 판매 참가신청인터넷 선착순 접수 : www.flea1004.com/special신청기간 : 장터 3주 전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 모집- 5월 장터 : 4. 25.(월) 10:00~마감시까지(30여팀)- 6월 장터 : 5. 23.(월) 10:00~마감시까지(50여팀)장터 이벤트나눔캠페인 : 페이스페인팅, 에코팔찌, 에코버튼,양말인형 만들기 등전통놀이마당 : 대형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고리던지기 등문의 : 아름다운가게 나눔장터팀 ☎ 02-2115-4266          청소행정과 ☎ 02-2241-4415 수도요금 납부 편리한 제도 이용하시고 감면도 받으세요자동납부(금융기관 방문없이 납부)와 전자고지(수도요금 고지서를 이메일로 전송) 함께 이용시 ▶ 상수도 요금 고지 금액의 1% 감면자가검침(고객님께서 직접 검침한 사용량으로 요금 부과) ▶검침 입력 1회당 600원 감면※ 대상 : 가정용 사용자(계량기 구경 40㎜ 이하)/ 일반용 사용자의 경우 오피스텔 내 호별로 수전 분리 계된량기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신청방법 : 전화 신청 - 다산콜센터(국번없이 ☎ 120), 사업소 민원실(☎ 02-3146-2000 )인터넷 신청 - 아리수사이버고객센터(i121.seoul.go.kr), E-tax 홈페이지 및 인터넷 지로 사이트(www.giro.or.kr, 자동납부만 가능)방문신청 - 중부수도사업소 및 금융기관(자동납부만 가능. 수도요금 고지서, 신분증, 통장, 도장/서명 지참)※ 이사 가실 때는 꼭 해지해 주세요!]]> Sun, 24 Apr 2016 16:36:35 +0000 5 <![CDATA[봄, 이슬 ]]> 이 슬위영남(월곡1동)누가이름 없는 풀꽃들에게도진주 목걸이를걸어주었을까?누가이름 없는 풀잎에게도보석반지를끼워주었을까?아무도 찾는 이 없는황토밭 언덕길에외롭게 핀 풀꽃들서럽게 자란 풀잎들.별빛이 엮어놓은무지개 빛진주목걸이를 걸고.달빛이 짜놓은보석반지를 끼고,아침 햇살에눈물 짓는이름없는 풀꽃들서러운 풀잎들‥‥‥.누가이름없는풀꽃들에게도진주목걸이를걸어놓았을까?누가이름없는 풀잎에게도보석반지를끼워놓았을까?input image 모바일 성북소리가 확 바뀌었어요!  ‘성북소리’ 모바일앱을 사랑해 주신 구민 여러분 고맙습니다. 다양한 구민생활 정보를 전해드리는 ‘성북소리’ 모바일앱이 5월호부터 더욱 편리하게 바뀌었습니다. 그동안 모바일앱 서비스로만 제공했던 ‘성북소리’를 이제 새로워진 ‘성북소리’ 웹진(webzine.seongbuk.go.kr)으로 발행합니다. 기존의 모바일앱 서비스는 2016년 3월 31일자로 종료되었으니, 새로운 ‘성북소리’ 모바일앱을 구글플레이에서 다운받아 설치하시거나 모바일이나 PC에서 ‘성북소리’ 웹진으로 접속하시어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input image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Tue, 24 May 2016 16:09:24 +0000 6 <![CDATA[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시대 ]]>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시대6월, 마을총회 개최! 타운홀미팅으로 공론의 장을 만들다input imageinput image올해 초 마을계획단을 설립한 종암동 과 동선동이 오는 6월 25일, 28일 마을 총회를 개최한다. 동선동주민센터와 성복중앙교회에서 개최되는 이번 마을총회는 주민 100여 명이 모여 타운홀미팅방식으로 공론의 장을 만든다는 점이 특색 있다. 종암동의 마을계획 사업으로는 ‘마을둘레길 조성(북바위 둘레길)’, ‘정릉천 되살리기’, ‘종암동 소식공유 게시판’ 등 11건의 사업이, 동선동은 ‘상습 흡연구역 환경정리’, ‘아리랑고개 입구 버스정류장환경개선’, ‘성신여대역 하나로거리 무장애 시범거리’ 등 13건의 사업이 선정되었다. 이렇게 선정된 마을계획은 주민자치위원회의 추인을 거쳐 마을총회를 통해 보다 많은 주민의 동의를 얻어 결정된다. 마을총회는 주민들이 사업제안자로부터 상세한 내용을 듣고 평가하여 사업내용을 결정하고 투표를 통해 사업에 대한개인 의사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개최되며, 투표는 태블릿 PC에 설치된 투표앱을 통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진행된다. 또한, 마을총회에 참석하지 못한 주민은 총회 이후 일주일 간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전자투표를 통해 사업에 대한 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이처럼 마을의 일을 마을에 사는 주민이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마을계획은 모든 일을 행정에서 결정하던 관습에서 벗어나 아래에서 위로의 의사결정을 통해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input image문의 : 마을민주주의과 ☎ 02-2241-2202 성북구의 협동조합을 소개합니다너른마당 사회적협동조합input imageinput image너른마당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살아가기 위한 기회를 만들고, 장애인의 삶을 공동의문제로 여기는 복지공동체를 지향합니다.장애?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려 소통하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의역할을 합니다.주요 사업장애 청소년 사회성 발달 및 심리·정서지원 사업- 장애 청소년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교육(다양한 예술교육, 심리운동 등)- 장애·비장애 청소년이 함께 하는 탐방프로그램장애인 지역사회 교육사업 및 자립생활 지원- 기초 학력을 비롯한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 지원(한글, 검정고시, 문화, 여가, 심리운동 등)-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형 자립생활 지원(함께 체험하며 서로 알아가기)문의 : 너른마당 사회적협동조합 ☎ 02-921-2171, 010-2747-3816성북구 동소문로20다길 10, 세창빌딩 3층(동선동)이메일 : madangcoop@hanmail.net  서울전세버스 협동조합  input image서울전세버스 협동조합은 제도적 문제로 인해 법적보호도 받지 못하고 기존 업체들이 운영하는 직영차와의 불평등한 처우 속에서 고통받는 지입차주들이 협동조합을 결성하여 합법적인 제도 속에서 부당한 금전적 피해를 해소하고 안정된 경영을 할 수 있게 하며 소비자들에게는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하였습니다. 주요 사업(전세버스 임대)- 관광여행(단체관광, 결혼식, 각종 단합대회 등)- 학교행사(수학여행, 수련회, 각종 견학 등)- 기업통근(출퇴근, 워크숍, 체육대회 등)- 셔틀버스(학교 통학, 유치원·학원 등 각종 행사)문의 : 서울전세버스 협동조합 ☎ 02-912-1830~1성북구 화랑로19가길 3, 4층(장위동)홈페이지 : www.seoulbus.kr ]]> Tue, 24 May 2016 16:23:16 +0000 6 <![CDATA[안암동_어르신들을 위한 인권 강좌 열어 外 ]]> 전국 최초 인권청사인 안암동 복합청사에서는 지난 4월21일 어르신들을 위한 인권 강좌가 열렸다. 이번 강좌는노인관련 사회적 병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노인 스스로가 인권의 개념을 알고 자신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인권 의식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강한 첫걸음이었다. 노노케어, 거리환경 지킴이, 교통지킴이 등으로 활동하시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열린 이 강좌에서는 강의 시작 전에 동 마을 간호사가 어르신들의 혈압, 당뇨 등을 체크하고 건강 상태를 살펴 주었다. 처음엔 인권을 어렵게만 생각하셨던 어르신들이 이 강좌를 통해 ‘나에게 인권이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고 하셨다. 또한, 함께일하는 사람들에게 효율적으로 내 마음을 전달하는 방법을 연습해 보면서 서로를 배려하는 방법을 배우는 뜻 깊은 시간이 되었다. 강좌를 들으신 한 아버님은 “짧은 시간이었지만, 내가 존중받고 있는 느낌이 들어 행복했다”며 다음에 또 이런 시간을 마련해달라고 전하셨다. 돈암1동 돈암1동주민센터 ☎ 02-2241-5140어르신 생신 축하드려요!input image지난 4월 22일 돈암1동주민센터에서는 ‘저소득 홀몸 어르신 생일 챙겨 드리기 및 돌봄 행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차상위 및 기초생활수급 홀몸 어르신으로 북악산로에 사시는 정00, 김00 어르신이다. 주민자치위원장과 위원들, 복지플래너 2명 등 9명의 인원이 행사에 참여하여 사랑이 담긴 생일 케이크와 과일,밑반찬 등을 어르신들께 지원하였다. 평소에 홀로 쓸쓸히 생일을 맞이하던 어르신들은 케이크촛불을 끄시며 어린아이처럼 즐거워하시면서 찾아줘서 고맙다고 말씀하셨다. 이 사업은 ‘이웃과 더불어 함께’ 정을 나누는 마을 공동체사업의 일환으로 돈암1동 주민자치위원회가 주관한 주민자치 특화사업이며, 앞으로 매달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명예기자 문혜현 정릉1동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288‘사랑나눔 마을텃밭’ 개장input image지난 4월 26일 정릉1동주민센터 옥상에서 주민자치위원회, 녹색환경실천단 등 관내주민이 참석한 가운데 ‘사랑나눔 마을텃밭’을 개장하였다. 이번 행사는 정릉1동주민센터 옥상 90㎡ 공간을 활용해 상자텃밭 80여 개를 만들고 상추, 토마토, 가지, 고추 등10여 종의 모종을 심고 작물이 잘 자라도록 물을 주고 솎아 주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특히, 텃밭을 아기자기한 정원처럼 꾸며 눈길을 끌었으며, 앞으로 동네주민들의 만남의 장소로써의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들어 가장 먼저 수확한 작물은 저소득 주민에게 전달할 예정이며, 앞으로 수확을 마친 상자텃밭은 재정비해 계절별로 배추, 무 등을 파종하여 나눔의 릴레이를 계속 이어갈 예정이다. 정릉2동 정릉2동주민센터 ☎ 02-2241-5300이웃을 위한 온정으로 훈훈한 정릉2동input image어려운 이웃이 한겨울을 따뜻하게 보낼 수 있게 연말에 집중되던 이웃돕기가 정릉2동에서는 4월에도 이어지고 있다. 4월 27일 수요일 오후, 정릉2동의 직원들이 100포대의 쌀을 나르며 구슬땀을 흘렸다. 동주민센터 마을문고 한쪽을 가득 메운 100포대의 쌀은 원불교 정릉교당에서 대각개교절을 맞아 정릉2동의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해달라며 후원하셨다. 이외에도 어려운 이웃을 위해 개인 후원자 분들이 줄을 잇고 계시다. 둘째 아이의 출산 기념으로 어르신 물품을 기증했던 주민은 아이의 백일을 맞아 어려운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후원금을 기부하였고, 겨울에도 이웃돕기를 해주셨던 동주민센터 인근 회사에서는 지역의 어려운 이웃을위해 써달라며 후원금을 기탁하셨으며, 통장님을 통해서도 두 분의 후원자께서 후원금을 기탁하셨다. 이웃을 위한 관심과 사랑과 후원이 넘치는 정이 많은 정릉2동, 따뜻한 마음들이 모여 마음이 더욱 행복해지는마을이다.명예기자 한정혜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60전통시장 주차, 이제 문제없어요!input image4월 27일 오후 2시 따사로운 햇살 너머 출렁이는 인파와함께 정릉3동 전통시장으로 향하는 차량행렬이 줄을 이었다. 이날은 정릉시장 내 공영주차장 준공식이 있어 구청장님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준공식에 참석하여, 정릉전통시장의 발전과 함께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주차장 완비를 기념하였다. 공영주차장은 정릉시장과 대우푸르지오 아파트 사이에 위치(정릉로23길 56)하며, 시설 규모는 1층에 주차 대수 20면을 비롯해 관리실과 공용화장실 그리고 2층에는 청년살이 발전소 약 40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동안 부족했던 주차공간을 조성하는 것은 전통시장의 판로 개척을 위한 서울시와 성북구의 다각적인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정릉시장은 한 달에 두 번(매주 둘째·넷째주 토요일) 개울장을 열어 정릉천변의 아름다운 개울 소리와 함께 이웃이 가지고 나온 상품들을 서로 공유하며 함께 즐길 수 있는 생동하는 즐거움이 있는 장소이다. 이제 공용주차장 완비와 함께 우리 전통의 멋과 편안함을 더할 수있게 되었으니 앞으로 정릉시장 상인들의 얼굴엔 웃음꽃만 필 것으로 보인다.명예기자 김수희 석관동 석관동주민센터 ☎ 02-2241-5760맑은 물 흐르는 중랑천 만들기input image지난 4월 19일, 성북 새마을운동 성북구지회(새마을문고,새마을협의회, 새마을부녀회)에서는 많은 회원들이 함께중랑천 청결을 위해 쓰레기 줍기를 하였다. 일부 회원들이 직접 하천에 들어가 물속에 가라앉은 비닐, 부유물 등 각종 쓰레기 오물을 치우고 다른 회원들은 한 손에 쓰레기봉투, 한 손에 집게를 들고 하천 옆 산책로풀 속에 숨겨져 있는 쓰레기를 주웠다. 이날 청소에 참여한 석관동 새마을문고 회장은 “깨끗하고살기 좋은 우리 동네를 만드는 일에 앞장서는 석관동 새마을문고, 석관동 새마을부녀회, 석관동 새마을협의회 회원들의 자발적 참여에 감사드리며 앞으로 우리 동네 가꾸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많은 회원들의 수고로 화사한 봄날처럼 깨끗해진 석관동 중랑천이 앞으로도 지역단체와 지역주민들의 지속적인 청결 활동으로 인해 맑은 물이 흐르는 중랑천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명예기자 황규은]]> Tue, 24 May 2016 18:00:52 +0000 6 <![CDATA[성북구의회 제241회 임시회 폐회 ]]> 성북구의회(의장 임태근)가 5월 2일 오전 제2차 본회의를 열고 8일간의 일정으로 열린 제241회 임시회를 폐회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행정사무감사 실시 시기와 기간, 감사 대상 기관 등을 결정하고 상임위원회별로 심사 활동을 거쳐 제2차 본회의에서 5건의 안건을 최종 의결하고 산회했다. 주요 처리 안건 중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신건강검진·상담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수정가결되었고, ▲서울특별시 성북구 도서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구세 기본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구세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공유재산관리계획안은 원안가결되었다. 다음 제242회 제1차 정례회는 6월 7일에 시작되며, 6월 20일부터 28일까지 9일간 행정사무감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도시건설위원회,성북구 마을·사회적경제센터 시설 및 현황 점검input image성북구의회 도시건설위원회(위원장 권영애)는 제241회 임시회 기간 중인 4월 26일 오후 종암동에 소재한 성북구 마을·사회적경제센터에 대한 현장방문을 실시하였다. 2014년도에 개관한 마을·사회적경제센터는 사회적기업 등 11개 입주업체의 전용 사무공간부터 청소년 휴카페, 주민자치 프로그램 다목적홀까지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방문은 3월 조직개편에 의해 도시건설위원회 소관으로 편입된 마을·사회적경제센터의 시설 및 현황을 점검하고 좀 더 나은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위원들은 양현준 센터장으로부터 센터 설립 취지, 사회적기업 지원방법과 시설 현황 등의 설명을 듣고 센터의 원활한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한 후, 시설을 둘러보며 입주기업들과 만나 입주여건에 대한 만족도와 애로사항 등을 청취하고 격려하는 자리를 가졌다. 권영애 위원장은 “마을·사회적경제센터가 사회적기업의 허브센터 역할도 중요하지만 주민지원 활성화 등을 통해서 주민조직과 사회적 경제 조직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지역 생태계가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 첫 모임input image성북구의회 의원연구단체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 소속 의원들이 4월 27일 첫 모임을 가졌다.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에 대한 조사·연구·검토를 연구 주제로 하는 이 연구단체는 윤만환 의원을 대표로 하여 간사에 박학동 의원, 회원으로는 김태수·송영옥·이광남·이미영·이은영·이인순 의원이 포함되어 있다. 구의회 정진만 전문위원의 연구주제에 대한 설명을 시작으로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가 되는 ‘지방자치법’을 비롯한 ‘행정권한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등의 자료를 참고로 하여, 각종 법적 용어의 정리, 국가기관의 민간위탁 현황과 우리구의 민간위탁 현황을 비교 분석하며 강도 높게 진행되었다. 현재 성북구의회에는 ‘성북구 사무의 민간위탁 조사 연구회’를 비롯하여 ‘성북구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체계 개선 의원연구단체’,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 등 모두 3개의 의원연구단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올 10월까지 각 분야에 대한 활발한 연구활동이 진행될 예정이다. 의원 역량강화 교육 - 4대 폭력 예방 통합 교육input image성북구의회(의장 임태근)는 4월 25일 본회의장에서 전문성 함양을 위한 ‘의원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였다.이날 교육은 법령으로 규정한 기관 필수 교육의 하나인 4대 폭력(성희롱·성매매·성폭력·가정폭력) 예방 교육을 성평등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실시하여, 인권 존중 및 성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을 함양하고 왜곡된 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여 지속가능한 폭력예방 체계를 구축하고자 진행되었다. ‘폭력! 다시 보고 새로 보기!’라는 주제로 교육을 진행한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김문미 강사는 폭력의 본질, 4대 폭력의 특성과 상호연관성, 2차 폭력 피해 예방과 역할, 피해자 보호 지원체계 이해 순으로 정리하고 질의 답변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의원들이 의정활동을 하면서 접할 수 있는 성희롱 등을 예방하고, 피해자를 도와 줄 수 있는 방법을 사례를 들어가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의원들의 호평을 받았다. 교육에 참석한 의원들은 “폭력의 본질에 대해 바르게 이해할 수 있었으며, 폭력을 예방하고 피해자를 도울 수 있는 정책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구 서구의회, 성북구의회 벤치마킹 방문input image성북구의회 김일영 행정기획위원장은 4월 18일 오후 의회청사에서 대구광역시 서구의회 사회도시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이번 방문은 대구광역시 서구의회 사회도시위원회 소속 장태수 위원장을 비롯한 6명의 의원들이 성북구의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과 관련된 추진 정책과 성과를 벤치마킹하고자 이루어졌다.김일영 위원장은 먼저 의장실에서 임태근 의장과 대구광역시 서구의회 의원들을 맞이하고 의회의 전반적인 현황과 의정 운영방향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고, 행정기획위원장실에서 아동친화도시 인증 준비과정과 아동복지를 비롯한 지역 현안 업무에 대한 질의시간을 갖고 환담을 나누었다.김일영 위원장은 “오늘의 만남이 큰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어린이가 살기 좋은 도시는 누구나 살기 좋은 도시다. 어린이가 행복하고 나아가 구민 모두가 살기 좋은 도시 건설을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자”고 말했으며, “우리구는 아동친화도시 외에도 좋은 정책들이 많은데 앞으로 더 많은 교류가 있었으면 좋겠다. 우리 의원들도 대구광역시 서구의회뿐 아니라 타 의회의 모범사례를 공부하고 연구해서 우리구 실정에 맞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Tue, 24 May 2016 18:22:05 +0000 6 <![CDATA[2016년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 및 이의신청 안내 ]]> 기간 :  2016. 5. 31.∼6. 30.열람내용 : 토지 지번별 ㎡당 가격※ 인터넷 열람 : 서울시토지정보조회시스템(http://klis.seoul.go.kr), 성북구 홈페이지(http://www.seongbuk.go.kr)이의신청 제출자 : 토지소유자 및 이해관계인이의신청 장소 : 성북구청(지적과)이의신청 제출방법 : 성북구청(지적과) 또는 동주민센터에 비치되어 있는 개별공시지가 이의신청서 서식에 기재하여 제출 또는 인터넷, 우편, 팩스신청문의 : 지적과 ☎ 02-2241-4642~5(팩스 : 02-2241-6600) 2016년 개별공시지가 감정평가사 상담서비스 실시기간 : 2016. 5. 31.∼6. 30. 중 지정일 14:00~17:00장소 : 성북구청 지적과상담내용 : 표준지 및 개별공시지가 산정 및 결정 사항 등방법 : 유선, 대면, 현장방문 상담 가능, 사전예약제 실시문의 : 지적과 ☎ 02-2241-4642~5 우리 주변의 어려운 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찾아서 알려주세요 input imageinput image어떤 사람을 찾아야 하나요?- 경제적·신체적으로 어렵거나 위기상황으로 정부나 민간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 또는 가구어디로 알려야 하나요?-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 보건복지콜센터 129(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129)- 복지로(www.bokjiro.go.kr)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긴급복지, 기초생활보장제도 등 정부지원(소득·재산 기준 등 충족시)- 소득기준에는 미달하지만 돌봄 등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가구 등의 경우 통합사례관리 지원- 민간서비스 연계 대상자로 우선 선정, 방문 상담·후원물품 등 지원복지사각지대 발견 신고의무자 안내- 사회복지시설의 장·종사자, 장애인활동기관의 장·종사자, 의료인, 의료기관의 장·종사자, 보육시설의 장·종사자, 초중등 교직원, 여성보호시설의 장·종사자,통장 등의 경우 사회보장급여법에 따라 ‘신고의무자로 규정’ 지원이 필요한 사람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지체없이 신고하여야 합니다.문의 : 복지정책과 희망복지지원팀 ☎ 02-2241-2369 승용차요일제 전자태그부착차량 갱신 안내input image갱신 대상 : 2006년~2010년 발급된 승용차요일제전자태그 부착자갱신 기한 : 2016. 6. 30.까지갱신 절차1. 신청 - 구청, 동주민센터- 서울시 승용차요일제 홈페이지2. 전자태그 발급 - 구청, 동주민센터 : 직접수령 - 홈페이지 : 우편수령3. 전자태그 부착 - 운전석 앞면 유리창 하단부위4. 차량부착 후 인증샷 - 사진 2장 촬영(차량번호판 사진 1장,차량에 전자태그가 부착된 사진 1장)-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폰 앱에서 사진올리기(비회원도 가능)5. 전자태그 발급기관에서 승인처리※ 승용차요일제 전자태그 갱신을 하지 않을 경우 기존에 받아왔던 혜택이 중단됩니다.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482 및 각동 주민센터 맞춤형 보육 신청하세요2016년 7월1일부터 아이와 부모의 필요에 맞는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보육이 전면 시행됩니다. 맞춤형 보육이 시행되면 종일형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아동은 종일형 서비스를 이용하고, 종일형 자격에 해당되지 않는 아동은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게 됩니다. 종일형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보육료 수급자격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대상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2013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0~2세반만 해당)내용 - 종일형(07:30~19:30 장시간 이용이 필요한 가구)- 맞춤형(09:00~15:00 + 월 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종일형 자격 요건 : 맞벌이, 다자녀, 임신, 한부모, 생계·의료수급, 질병·장애 등신청기간 : 2016년 5월 20일(금)~6월 24일(금)※ 동 기간 내에 종일반을 신청하지 않으면 7월 1일자로 자동으로 맞춤반 자격이 부여됩니다.신청장소  - 방문신청 : 아동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온라인신청 : 복지로(www.bokjiro.go.kr) 신청 후 증빙서류 우편발송제출서류 : 사회서비스이용권(바우처) 제공(변경) 신청서(주민센터비치) 1부, 종일형(종일반) 보육서비스 자격 유형 확인서(주민센터 비치) 1부, 종일형(종일반) 자격기준을 증빙하기 위한 서류(직접 구비 필요)문의 :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여성가족과 ☎ 02-2241-2554, 보건복지콜센터 ☎ 129 2016년 생활체육교실과 함께 건강해지세요접수기간 : 2016. 6. 1.~6. 10.(근무시간 내)접수방법 : 문화체육과 유선 접수 및 현장방문 접수input image※ 장소사용료 본인 부담, 장소사정에 따라 운영시간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접수 및 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24 2016 라틴아메리카 축제, 글로벌공동체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극복하다일시 : 2016. 6. 11.(토) 12:00~20:00※ 개막식 행사 : 2016. 6. 11.(토) 14:00장소 : 성북천 분수마루(4호선 한성대입구역 2번 출구)주최 : 성북구청주관 : 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후원 : 서울특별시, 주한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멕시코,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스페인,에콰도르,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페루대사관 등참여대상 : 내국인 및 거주외국인행사내용- 라틴아메리카 전통 음식 판매 : 타코, 또띠아, 엠빠나다, 안티쿠초, 샹그리아, 코로나 맥주 등- 라틴아메리카 전통 음악연주 및 댄스 공연 : 에콰도르, 페루, 브라질,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칠레 전통공연- 라틴아메리카 전통 물품 판매 : 전통 모자, 악기, 액세서리, 특산품 등- 라틴아메리카 홍보 부스 : 도미니카공화국 대사관 자료 제공- 에콰도르 지진 피해 극복 성금 모금 특별 부스운영 문의 : 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 ☎ 02-2241-6381~4 ‘협동조합 同幸(동행)’ 에 초대합니다「7월 2일 협동조합의 날」을 기념하여 구민 여러분이 일상생활 속에서 협동조합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볼거리 및 즐길 거리를 제공합니다.일시 : 2016. 6. 29.(수) 11:00~17:00장소 : 길음1동 마을복지센터 별관 앞 주요 프로그램- 협동조합 교류회 : 협동조합간 친교의 시간, 협동조합 1분 발언대, 축하공연- 협동조합 한마당 : 제품 홍보·판매·체험 부스운영, 상담 및 컨설팅 부스운영, 구민대상 이벤트 및 영화상영 문의 : 마을사회적경제과 ☎ 02-2241-3922, 3924 성북구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꿈드림’은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이 자신감을 회복하고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들의 공간입니다.이용대상 : 학교 밖 청소년(9~24세 청소년)① 초·중학교 입학 후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의무를 유예한 청소년② 고등학교에서 제적·퇴학처분을 받거나 자퇴한 청소년③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아니한 청소년꿈드림 프로그램 안내- 스마트 교실input image- 두드림(진로 및 자립 프로그램) : 무료(센터 내의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 상시신청(무료)- 자기계발 프로그램(상시) : 자격증 취득 및 롯데호텔·CJ 인턴십프로그램 참여 기회- 문화·예술 프로그램 : 공연 및 문화 활동 무료 문의 : 성북구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 02-3292-1785, 1787 성북구 정릉로 242(성북아동청소년센터 4층)]]> Tue, 24 May 2016 18:32:40 +0000 6 <![CDATA[안전한 성북, 그래서 안심됩니다 ]]>    안전한 성북, 그래서 안심됩니다input image서울에서 두 번째로 5대 범죄 적어112신고범죄 현장검거율 제고, 범죄 취약지 집중순찰 등 경찰서의 특별한노력으로 성북구가 서울에서 두번째로 안전한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넘치는 것보다 모자란 것이 낫다는 말이 적용되지 않는 ‘안전’! 행정과 주민, 학교, 경찰까지 온 마을이 하나 되어우리 가족과 이웃이 안전한 성북을 만들어가는 모습을 소개합니다. 안전만큼은 과민대응!균열폭 진행 측정기 설치- 2016년 안전성북 현장시무식을 재난위험시설물인 숭곡시장에서 개최- 시무식 당일 균열폭 진행 측정기 부착하여 화제! 올해 1,000개 설치 예정input image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3614 붕괴위험 정릉 스카이연립, 공공에서 재건축 나서input image문의 :주거정비과 ☎ 02-2241-2875 2016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전처럼’input image대상구청 관련부서와 지역 내 유관기관, 재난안전 민간단체 등(11개 부서, 7개 유관기관, 2개 민간단체)훈련내용재난 발생시 초기 대응능력 점검을 위한 직원 비상소집 훈련, 갑작스런 심정지 환자 발생에 대비해 소화기·심폐소생술 훈련,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상황을 설정하여 현장대응 훈련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3613 풍수해, 우리 모두 함께 대비합시다주민행동요령- 재해위험시설을 치수과 및 각 동주민센터로 신고합시다.- 오래된 담장과 축대 등은 집중 호우시 무너지지 않도록 사전에 점검 및 안전조치해주세요.- 저지대 지하주택 하수구 역류방지시설과 하수구, 배수구 등은 사전에 점검 및 안전조치해주세요.- 빗물받이에 덮어놓은 장판(널판지) 등은 빗물유입을 방해하여 침수원인이 되므로 제거해주세요.호우태풍이 올 때-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특보 상황을 확인하고 가옥의 안전상태를 점검해주세요.- 긴급사태 발생에 대비하여 대피장소 및 방법 등을 사전에 숙지해주세요.- 주택이 침수될 때에는 ‘전기 누전 차단기’를 내리고, ‘가스밸브’를 잠그고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주세요.- 천둥, 번개가 칠 때는 큰 나무나 전신주 밑으로 피신하지 마시고,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해주세요.문의 : 치수과 ☎ 02-2241-3622 성북구 통합관제센터,범죄 사전예방부터 검거까지성북구 통합관제센터 이모저모위치 : 성북구청 청사 4층 통합관제센터(보문로 168)센터 운영시간 : 연중 24시간 무휴input image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4562 동네 맞춤형 안전망 구축 위해 온 마을이 대동단결input image주민과 지자체 및 유관기관 이지역에 최적화된 치안 안전망을 구축- 2016. 3. 9 성북구 아동학대 근절 및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 2016. 3. 29 우리동네 치안불안 해소위한 업무협약- 2016. 4. 28 안심마을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 업무협약- 2016. 5. 4 우수 생활안전협의회로 석관동·돈암동 선정 ]]> Wed, 25 May 2016 10:29:22 +0000 6 <![CDATA[복사꽃 마을 성북동의 아취 ]]> “눈이 벌써 취했는데 술이 필요하랴”북저동 北渚洞골짝 안에 복사꽃 흐드러지고, 마을 지나 시냇물 급히 흐르네 洞裏桃花滿 村中澗水馳꽃가지를 헤치면 소매에 향기 배고, 바위에 올라서면 물에 그림자 비치네 拂枝香襲袂 臨石影搖池눈이 벌써 취했는데 술이 필요하랴, 멍하니 마음 뺏겨 시 지을 짬도 없네 眼醉何須酒 神癡未暇詩구경 나온 사람들 밤낮으로 시끌벅적, 모두가 태평 시절 즐기고 있네 遊人喧日夕 俱是樂平時윤기(1741~1826), 『무명자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강민정 역, 2014input image성북동에서 마전하는 광경(1935년 사진)       input image『성북동포백훈조계완문절목』(1805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82호,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성북동 강운봉의 집에 보관해 둔원본을 유실한 관계로 1805년(선조5)새로 작성한 것이다.북저동은 성북동의 옛 이름으로, 도성 북쪽 물가에 연한 동네라는 뜻이다. 조선시대 관료, 학자였던 무명자윤기는 어느 봄날 동료들과 함께 성북동에 놀러왔다가이 한시를 지었다. 동네를 가로질러 시냇물이 졸졸 흐르고 집집마다 복사나무 울타리를 둘러 봄이면 흐드러진 분홍 꽃잎이 분분히 날리는 풍경― 술을 챙겨오긴 했지만 굳이 마실 필요가 없다. 이미 꽃 향기, 꽃 그림자에취해 몸도 못 가눌 지경에 이르렀으니까. 지금으로부터 200여 년 전 성북동의 봄 경치를 손에 잡힐 듯 생생하게 보여주는 시다. 그 시절 성북동의 복사꽃은 ‘북둔도화北屯桃花’라고 하여 서울의 이름난 볼거리로 꼽혔다. 성북동이 복사꽃 마을로 알려지게 된 것은 1766년(영조42) ‘성북둔城北屯’이라고 하는 한양도성을 방어하기 위한 군사기지 겸 창고가 설치되고, 뒤따라 백성들이 들어와 살게 되면서부터다. 주민들은 처음에 농사를 지어 먹고살려고 했으나 토질이 마땅하지 않아 충분한 소출을 얻기 힘들었다. 이를 염려한 조정은 ‘포백훈조계曝白燻造契’라고 하는 촌락 단위 공동노동조직을 만들도록 하였다. 이로써 포목을 마전해서(포백) 도성안 가게들에 납품하고, 또 메주를 쑤어서(훈조) 궁궐에 공급해서 받는 얼마간의 일정한 수입이 성북동 주민들의 생계 수단이 되었다. 비로소 안정된 생업을 갖게 된 성북동 주민들은 집 주변 공지마다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등 유실수를 심어 가꾸기 시작했다. 관상용이라기보다는 성 안 시장에 내다팔아 생계에 보탤 요량으로 기르는 나무들로 복숭아가 주종을 이루었다. 복숭아나무는 4월 곡우를 전후해서 초가 사이사이에서, 성북천 양안에서 꽃잎들을 흐드러지게 피어 올렸다. 그리하여 성북동은 이미 정조 즉위 초부터 서울 사람들의 대표적인 꽃구경 장소로 알려지게 되었다. ‘북둔도화’라는 말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 것은 이 무렵부터다. 지금 복사꽃 마을 성북동의 명성은 사라진 지 오래되었지만 그 시절 이곳의 멋진 경치에 반해 지은 한시들은 수두룩해서 애면글면 모아 보면 백여 편이 넘는다. 옛 사람들은 여럿이 모여 시를 지으면 지은 시들을 한데 이어 붙여서 길다랗게 시축詩軸을 만들어 돌려 보았다. 좋은 경치 속에서 함께 보낸 시간의 흐뭇함을 오래 간직하고, 다른 이들에게도 들려주고 싶어서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 선조들은 참 멋스럽고 그윽한 취미를 가졌었다. 그 향기 높았던 멋을 다시 여기서 이어나갈 수는 없을까? 아련한 생각만 깊어가는 성북동의 봄밤이다. (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input image성북동의 봄날. 성북문화원 옥상정원에서 내다본 풍경이다. 2016 성북예술동 ‘이웃트기’input image성북동의 미술관련 기관, 문화거점, 예술가, 기획자 등이 함께 어우러지는 ‘성북예술동’은 올해로 두 번째를 맞아 삼선동까지 지역적인 범위를 확대하여 진행됩니다. 올해는 ‘이웃트기’라는 주제 아래 성북예술동 주민들과 지역주민, 그리고 타지역 예술가들이 스스럼없이 이웃이 되어갈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우리이웃 마실가기>, <지역이웃 관계맺기>, <별별이웃 함께하기> 세 가지의 카테고리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됩니다. 성북예술창작터 카페와 페이스북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일정 : 2016. 5. 13.~6. 11.프로그램 상세 : http://cafe.naver.com/sbyspace https://www.facebook.com/sbartcenter문의 : 성북예술창작터 ☎ 02-2038-9989 성북구 성북로 23   성북여성회관 2016 여름학기 수강생 모집무료 특별 프로그램사회적 혼란 속에서 교육의 기회를 놓친 성인 학습자들에게 제2의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문해교육을 통해 글자 넘어 세상과 소통하고 지역사회 깊숙이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합니다.input image여름학기 추천 프로그램프로그램명input image※ 그 외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성북문화재단 : www.sbculture.or.kr)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 성북구 성북로 4길 177 2016 서울시민예술대학, 성북캠퍼스모집기간 : 2016. 5. 25~모집완료시까지(참가비 무료) 주최·주관 : 서울문화재단 / 성북문화재단input image※ 프로그램 일정은 기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공예학교의 경우 프로그램 특성에 따라 재료비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문의 : 성북예술창작터 ☎ 02-2038-9989 성북구립미술관 NeoForum2016「Oneness」 展 개최input image Crow's ordeal  신건우input image Self Portrait 유나얼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현대미술 작가 2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음악가 1인, 영상감독 1인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의 미적 공감과 소통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NeoForum2016 전을 기획하였습니다. 여러 차례 대화와 만남을 지속하며 예술가 4인이 창조해낸 회화, 조각, 설치, 음악, 영상 작품 등은 하나의 공유된 세계(Oneness) 안에서 어우러지며 관람객들에게 현대미술의 새로운 풍경을 제시합니다.전시기간 : 2016. 6. 17.(금)~7. 31.(일) ※매주 월요일 휴관참여작가 : 신건우(시각예술가), 유나얼(시각예술가),몽라(피아니스트), 송원영(미디어 디렉터)주최·주관 : 성북구립미술관, 성북문화재단관람료 : 무료위치 및 장소 : 성북구립미술관 제1, 2전시실(성북구 성북로 134)문의 : 성북구립미술관 ☎ 02-6925-5011 제4회 통일한마당나라사랑 그림공모전 개최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성북구협의회에서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문화적 접근을 통해 통일 미래세대인 아동.청소년의 국가관과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자 통일한마당 나라사랑 그림공모전을 개최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응모분야 : 자유화(유치원-8절, 초등-5절, 중고등-4절)대상 : 서울시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응모기간 : 2016 .6. 7.~ 6. 20.주제 : 통일한마당 나라사랑응모방법 : 우편발송(성북구 보문로 168, 12층 민주평통 성북구협의회)- 작품 뒷면에 출품원서 부착하여 접수(학교명, 학년·반, 이름,주소, 연락처 필히 명기)- 출품원서 : 민주평통 홈페이지(http://www.nuac.go.kr)정보자료실에서 다운로드시상 : 대통령상, 서울시장상, 성북구청장상, 국회의원상 외시상식 : 2016. 7. 9.(토) 10:30 성북구청(예정)※ 접수 작품은 반환하지 않으며, 수상작은 전시 및 책자 제작 예정주최 및 문의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성북구협의회 ☎ 02-2241-4935]]> Wed, 25 May 2016 10:34:49 +0000 6 <![CDATA[종암동 ‘기쁨 플러스 나눔 플러스’로 해피바이러스 전파 ]]> 기쁨 플러스 나눔 플러스 1호 후원자인 정세균 님과그의 어머니인 조숙자 님우리에게 기쁘고 즐거운 날은 어떤 날일까? 아마 생일, 결혼기념일, 시험 합격자 발표 등 다양할 것이다. 기분 좋은 날을 맞이한 주민이 자신만의 기념일이 아니라 모두가 축하하는 날이 될 수 있도록 종암동주민센터에서 한 가지사업을 진행한다. 바로 ‘기쁨 플러스 나눔 플러스’가 그것인데 기념일을 맞이한 주민이 후원을 통해 기쁨과 나눔이 배가 된다는 취지이다. 이렇게 모인 후원금은 저소득 주민에게 제공하는 ‘반찬하나 과일하나 지원 사업’의 기금으로 활용된다. 후원금은 동복지협의체를 통해 소득공제가 이루어지고, 기쁜 사연은 동주민센터내 게시판에 소개해 지역주민과 나누게 된다.여기 기쁨 플러스 나눔 플러스 1호 후원자인 정세균 님과 그의 어머니인 조숙자 님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제는 고인이 된 아버지가 심으신 목단꽃이 만개한 4월의 어느 날, 정세균 님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어머니의 건강회복과 가정의 평안에 대해 감사함을 표시하고자 후원을 하셨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건강이 좋지 않으신 어머니를 보면서 마음 졸인 날이 많았는데 요즘은 건강이 호전되셔서 형제들 간의 우애도 더 깊어진 것 같다”면서 행복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고 전하셨다. 또한 “이행복감을 나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모두가 느끼길 바란다”고 덧붙이셨다. 종암동 토박이로서 지역사회의 발전을위해 힘쓰는 모습에서 앞으로 종암동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이 든다. 예전에는 옆집 숟가락이 몇 개인지 알 정도로 이웃 간의 정이 돈독했는데 요즘에는 사는게 복잡해지면서 서로가 모르고 지내는 날이 많아졌다. 슬픔과 기쁨을 나누지 못하는 각박한 세상에서 ‘기쁨 플러스 나눔 플러스’를 통해 개인의 기쁨이 지역사회에 해피바이러스로 퍼지길 바란다.문의 : 종암동주민센터 ☎ 02-2241-5848 주민 공동체로 활동하는 어르신 사랑방래미안 월곡아파트 단지 게시판에는 눈에띄는 안내문이 있다. 바로 ‘주민 공동체로 활동하는 경로당’이라는 내용이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점심을 드시러 어르신들이 하나 둘 모이기 시작했다. 삼삼오오 편한 의자에 앉아 자식자랑, 손주자랑에 배고픔도 잊으시고 담소를 나누며 시간을 보내는 동안 맛있는 음식을 조리하는 냄새가 내코를 자극하였다. 2015년 8월 취임한 박병선 회장님은 주말농장에서 직접 재배한 유기농 채소로 정성껏 점심을 준비하여 “오늘반찬 입에 맞으세요? 다음에는 어떤 것 해드릴까요?”라고 살뜰히 챙기신다. 어르신들은 방금 한 윤기 있는 쌀밥에 다같이 둘러앉아 먹으니 외롭지 않고 행복하다 하시며 서로의 반찬을 챙겨 드리고, 좀더 연로하신 어르신들은 상을 따로 봐드려 편하게 드실 수 있도록 했다. 어르신들은 한 달에 한 번씩 외식도 하시며 수요일에는 분식의 날로 정해 다양한 식사를 제공받고 계신다.식사 후에는 어르신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노래교실, 웃음치료, 국선도, 전신안마, 소품 만들기 등)들이 월~금요일 동안 진행되는데, 여가활동으로 하루가 어찌 가는지 모른다 하시며 행복하다 하셨다. 또한, 경로당의 새로운 변신의 일환으로 독서의 생활화를 위해 간이도서관을 만들어 다양한 도서(장서 150권 보유)를 비치함으로써 편안하고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했다. 더불어, 경로당에서는 보기 드문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무상으로 영어를교육 중이며 입주민의 자녀들에게 반응이 좋아 많은 참여로 활기에 차 있다. 그리고 남성회원 중 서예전문가 4명, 바둑과 장기 고수 5명이 재능 기부함으로써 어르신 사랑방이 쉼터를 넘어 정보와 지혜의샘터로 전환하는 계기를 맞아 종전의 경로당이 이젠 ‘주민 공동체’로 진화 발전하는데의미가 깊다. ‘우리는 가족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이웃과함께 외롭지 않은 노년을 보내고 계신 어르신들이 행복해 하시는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분위기 좋은 이곳에서 더 많은 어르신들이 함께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명예기자 차온순 60세 이상 어르신 취업 희망자 모집이용대상- 구직자 : 취업을 희망하는 만 60세 이상의 건강한 남녀 어르신- 구인처 : 60세 이상 어르신 채용을 희망하는기업체, 공공기관, 개인알선직종 : 경비, 청소, 주차관리, 지하철택배, 기공소 배달원, 요양보호사, 간병인, 주방 보조, 농촌(농장) 인력 지원, 노인일자리사업 등상담시간 : 월~금(09:00~17:00) ※ 상담료 무료구비서류 : 이력서 1부, 사진 1매, 주민등록증접수방법 : 방문접수 또는 전화상담위치 : 성북구 안암동5가 104-37호 2층(6호선 안암역 3번 출구 안암동로터리방향으로 도보 10분 거리)문의 : (사)대한노인회 성북구지회 취업지원센터☎ 02-921-3665(대표번호 : 1577-6065)]]> Wed, 25 May 2016 10:38:09 +0000 6 <![CDATA[2016년 가족태교콘서트 위대한 탄생의 꿈 개최 ]]> input image일시 : 2016. 6. 9.(목) 14:00~17:00장소 : 현대백화점 미아점 10층 사파이어홀대상 : 성북구에 거주하는 임산부 및 동반가족(성인)내용- 1부 : 태교강연 송금례 교수의 <태아 커뮤니케이션 & 순산비결법>- 2부 : 비커밍 맘 갈라콘서트(뮤지컬)주최 : 성북구보건소공연기획 : 세일링드림(주)신청접수 : 전화 또는 온라인 접수 ※ 사전예약 필수(선착순 마감)※ 온라인 신청방법 : 성북구청 홈페이지 → e편리한 민원 →온라인예약신청 → 온라인 접수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07 생애주기별 영양프로그램 운영운영기간 : 2016. 6. 1.~6. 3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신청기간 : 2016. 5. 25.~6. 30.신청방법 : 선착순 전화접수(☎ 02-2241-5950~1)input image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4 상설걷기운동교실 참여자 모집기간 : 2016년 5월~10월(원하는 시간에 맞춰 나오면 당일 참여 가능)강사 : 걷기지도자 1~2명내용 : 전신 스트레칭, 바른 걷기자세 지도, 함께 걷기대상 : 성북구민이라면 누구나input image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33~4 6월 주민주도 성북구민 걷기행사우리 함께 손잡고 나아가자!개운산 둘레길 걷기input image일시 : 2016. 6. 18.(토) 09:00~11:00장소 : 미아리고개 소공원 09:00 출발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신청없이 무료참여)코스 : 미아리고개 소공원~개운산 둘레길(2.5km, 약 1시간 소요)미아리고개 소공원(출발) → 개운산 둘레길 → 개운산 마로니에 마당(도착)주최·주관 : 성북구 걷지우연합회·성북구 재향군인회행사내용 : 건강체조, 걷기운동, 경품행사, 건강부스 등서울국유림관리소 찾아오시는 길(주차장 이용불가)- 지하철 :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7번 출구) 미아리고개 방향 도보 10분- 버스 : 100, 102, 103, 104, 106, 107, 108, 109, 140, 143, 150, 151, 152,160, 171, 172, 710, 2115※ 행사당일 오전 9시까지 오셔야 걷기행사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33 2015년 아리수품질보고서성북구 수돗물(아리수) 수질검사 결과, 먹는 물 수질기준 59개 항목 중 19항목이 수질기준 이내, 40항목이 불검출되어 모든 항목이 먹는 물로 적합하였습니다.아리수품질보고서는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http://arisu.seoul.go.kr)에서 보실 수 있으며, 한강 원수에서 서울시 수돗물 아리수까지의 수질정보, 아리수음용 및 절약방법 등 실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input image잔류염소 : 소독력이 있는 형태로 물 속에 존재하는 염소량 판단탁도(Turbidity) : 물의 맑기가 0.5NTU 이하이면 음용에 적합한 깨끗한 물임수소이온 농도 : 물의 액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pH 5.8~8.5이면 안전한 물문의 :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과 ☎ 02-3146-1322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주제 : 간질환 건강강좌강사 : 안상봉 교수(을지병원 소화기내과)일시 : 2016. 6. 1.(수)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신청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 Wed, 25 May 2016 10:41:29 +0000 6 <![CDATA[성북문화원 2016년 여름학기 수강생 모집 外 ]]> ※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주세요.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http://www.isbcc.or.kr 환경아카데미 - 그린리더 양성 과정 안내모집기간 : 2016. 5. 30.(월)~6. 7.(화)모집인원 : 성북구민 30명(선착순 모집)교육기간 : 2016. 6. 14.(화)~6. 28.(화) 매주(화) 10:00~12:00장소 : 성북생태체험관(성북구 솔샘로 25길 121-50 / 정릉4동 231번지)참가비 : 무료신청방법 :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접수(dalki97@sb.go.kr) ※ 신청서 양식은 성북구 홈페이지 모집강좌 게재세부 프로그램 일정input image※ 2016년 「환경아카데미-그린리더 양성 과정」 1기 참가자는 신청 불가 문의 : 환경과 ☎ 2241-3005 성북마을 사진작가 양성교육 수강생을 모집합니다참여대상 : 성북구에 살고 있는 우리구 주민 중1) 사진 촬영에 대한 제반 지식을 갖추신 분이나 2) 사진작가 양성교육 고급반을 수료하신 분교육장소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아리랑로 82 아리랑시네센터 4층)모집기간 : 2016. 6. 13.(월) 09:00부터~마감 시까지신청방법 : 온라인(성북구청 홈페이지 ▶ 성북구소개 ▶ 구정소식 ▶ 모집강좌), 전화, 이메일(therethere@sb.go.kr) 접수수강료 : 10만원(수강인원 확정 후 문자로 입금계좌 안내)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구민정보화교육 6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5. 26.(목) 09:00~27.(금)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5. 30.(월)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청소년 또래 노동인권지킴이 교육과정 4기 참가자 모집대상 :  청소년(15세 이상 20세 미만) 누구나교육기간 :  2016. 6. 2.(목)~6. 30.(목), 매주 화·목(17:00~19:00, 총 9회) 교육내용 : 노동법 및 노동침해사례연구, 인권법, 상담기술, 모의교섭 등교육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 소강의실모집정원 : 25명(선착순)수강료 : 무료(수료증 발급)접수기간 : 2016. 5. 23.(월)부터 마감시접수 및 문의 : 구청 인권센터 ☎ 02-2241-2192, humanrights@sb.go.kr 초등학교 학부모 특강 ‘수학 공부의 해답을 찾다’관내 사회적기업 놀이나무에서 운영하는 초등학교 학부모 특강을 통해 공신 1,000명의 학습비결을 체험하고 우리 아이 수학공부를 제대로 도와주세요.교육대상 : 초등학교 1~4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교육일시 : 2016. 6. 16.(목) 10:00~12:00교육장소 : 성북구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교육내용 : 자녀의 수학진단 결과와 해결사례, 수학공부법 등강사 : 이원영(사고력수학연구소 소장, ‘수학아 놀자’, ‘어린 수학자’ 저자)신청방법 : 홈페이지(참가비 무료, 예약 필수)문의 : 놀이나무 ☎ 070-7791-4193, www.norinamoo.com 원어민선생님과 함께 공부하는 석관초 영어체험센터관내 사회적기업 놀이나무에서 운영하는 초등학교 학부모 특강을 통해 공신 1,000명의 학습비결을 체험하고 우리 아이 수학공부를 제대로 도와주세요.모집기간 : 수시 교육기간 : 2016. 6. 1.~8. 31.(3개월)내용 input image※ 프로그램 상세내용은 아래 문의처로 연락 바랍니다.  문의 : 석관초 영어체험센터 ☎ 02-959-1301]]> Wed, 25 May 2016 10:44:41 +0000 6 <![CDATA[버려진 철길의 화려한 변신 경의선숲길 전구간 조성 완료! ]]> 총길이 6.3㎞ … 102,008㎡ 면적의 대규모 녹지한 때는 의주와 서울을 잇는 선로의 일부였으나, 지하 선로 운행으로 더 이상 쓸모없어진 용산~가좌 구간의 폐철로가 새로운 녹지공원 경의선숲길로 화려하게 탈바꿈 했다. 서울시는 경의선 폐철로 부지를 경의선 숲길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2011년 시작하여 지난 5월 21일 완료, 시민에게 개방했다. 이번 경의선숲길 조성 사업은 총 길이 6.3km, 면적 102,008㎡의 대규모 녹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지상 부지를 무상 제공하고, 서울시에서 2011년부터 총 457억 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경의선 지상 구간을 공원화 한 것이다. 경의선숲길에는 길마다 크고 작은 잔디마당이 광장과 연결되어 있다. 이 공간들은 주민들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면서 필요한 시설을 넣어 지역의 화합과 소통의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완성해 나가게 된다. 이번에 완공된 경의선숲길의 매력과 조성 포인트를 알아보자.역사성, 시민소통의 장 등 독특한 매력 갖춰 조성① 연남동(1,268m)구간은 요새 가장 뜨는 동네인 연남동을 가로지르고 있어 경의선숲길에서 가장 활력 넘치는 길이다. 지하철 홍대입구역 3번 출구로 나오면 큰 소나무가 경의선숲길 연남동 구간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② 와우교(366m)구간은 땡땡거리라고 불리는 옛 창전 동 철길 교차로가 있던 자리에 조성됐다. 홍대 인디음악의 발원지인 땡땡거리의 장소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문화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크고 작은 열린공간을 공원 곳곳에 도입하였다. ③ 신수동(390m)구간은 서강대학교 전면부를 따라 위치하며, 향후 지역주민과 학생들이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청춘의 마당’을 주제로 기획되었다. 특히 공원을 따라 흐르는 작은 물길을 조성하여 도심 속 휴식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④ 대흥동(760m)구간은 경의선숲길 구간중에서 가장 먼저 개장하였으며, 봄이면 수백그루의 벚나무가 화려 하게 꽃을 피운다. 공원에 조성된 산책로와 자전거길을 따라 많은 시민들이 여유롭게 여가를 즐길수 있다. ⑤ 염리동(150m)구간은 공덕역과 연결되며, 메타세콰이어길과 느티나무 터널이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하다. 과거 철길을 재현한 공간, 작은 연못, 탁 트인 잔디밭, 곳곳에 심은 나무들이 어우러져 알찬 느낌을 준다. ⑥ 새창고개(630m)구간은 현재 용산의 유래가 되는 곳으로 경의선으로 단절되었던 구간을 이어 역사성을 재 해석했다. 마포구 도화동 현대아파트 부근의 지하철 공덕역 10번 출구와 바로 연결된다. ⑦ 원효로(330m)구간은 경의선숲길의 시점부로, 옛 철길의 기억을 회상하고 추억할 수 있는 상징적인 공간 으로 조성되었다. 공원 내에는 철길 플랫폼을 연상시키는 쉼터와 함께 화물열차 1량을 설치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토록했다.시민과 함께 완성해가는 공원 시는 이처럼 각각의 매력을 지닌 경의선숲길의 올바른 운영과 시민이 주도하는 공원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의선숲길 지역 협의체를 21일 개원과 함께 발족했다. 시민, 전문가, 문화·예술가, 지역 상인으로 구성된 ‘경의선숲길지역협의체’는 경의선숲길을 서울시 최초 로 시민 주도로 운영하는 공원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경의선 100년의 역사 위에 만들어지는 경의선숲길은 시민과 함께 완성해 가는 공원으로, 지역의 문화와 예술, 과거와 현재를 한 길에서 만나는 시민공간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문의 ☎공원조성과 2133-2065 2016 서울시 농부의 시장 놀러 오세요전국 82개 시군이 추천한 130여 농수특산물을 시중가보다 10~3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농부의 시장이 4월부터 11월 까지 열리고 있다. 기간 : 2016년 4월 27일 ~ 11월 6일, 10:00~18:00 장소 능동어린이대공원, 보라매공원(매주 수·목)                  서울혁신파크, 덕수궁돌담길(2, 4주 토·일) 내용 : 농산물 직거래판매, 문화행사문의 ☎ 도시농업과 2133-5396 서울시 신속행정서비스 이용 하세요서울시가 건축허가 신속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건축 허가가 오랫동안 지연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건축 절차는 어디부터 시작 해야 할지, 이해가 안 되는 법령이나 규정은 어디에 물어봐야하는지 등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서울 시 건축허가 신속행정서비스를 이용하자. 건축허가 관련 문제점, 궁금증을 시민 입장에서 속 시원하게 도와주고 있다. 내용 :  행정절차 컨설팅, 신속한 행정처리를 위한 부서 간 쟁점 조정, 건축법령, 규정 상담 이용방법 :  방문(서소문청사 2동), 유선(신속행정 프로젝트 매니저 ☎2133-4248~9), e-mail( fasttrack@seoul.go.kr)문의 ☎ 신속행정추진단 2133-4248~9 서울시 봉사상 후보 추천 하세요 서울시가 2016년 서울특별시 봉사상 후보자를 추천 받는다 기간 : 2016.5.19(목)~ 7.18(월) 대상- 기부선행, 시민화합, 지역사회발전 등에 헌신 봉사한 모범시민 및 단체 - 자신의 재능을 이웃과 함께 나누는 재능봉사를 실천 한 모범시민 및 단체 - 문화,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를 실천한 모범 시민 및 단체 - 가족단위의 봉사를 실천한 모범가족 추천권자 - 행정기관, 행정기관에 등록되어 있는 단체 - 개인 추천시 10인 이상 서울시민 연서 접수 : 방문, 우편, e-mail(kim0761@seoul.go.kr) ※ 추천서식은 시 홈페이지 내 서울소개/시민상·시민표창/ 시민상 후보자 추천안내 다운로드 문의 ☎ 시 자치행정과 (2133-5829) 및 자치구 시민 표창 부서 ]]> Wed, 25 May 2016 10:47:13 +0000 6 <![CDATA[성북동 갤러리,주민들 작품으로 문을 열다 ]]> 성북동에서는 지난 5월 18일 ‘성북동 작은 갤러리’를 개관했다. 지난 연말 성북구와 ㈜중앙운송서비스가 5년간 무상임대계약을 맺은 공간(혜화로 88, 1층)에 조성된 ‘성북동 작은 갤러리’는 ‘성북동’의 지역특색을 살려 주민을 위한 갤러리로, 지역주민들의 작품을 무료로 전시함으로써 아마추어 작가(주민)들에게도 전시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관심 있는 주민들에게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성북동 작은 갤러리’의 개관식 후 처음 전시된 작품은 각 동 주민들이 주민자치센터에서 갈고 닦은 실력을 보여 줄 수 있는 ‘자치회관 프로그램 수강생 작품’이다.성북구와 협약을 통해 ‘성북동 작은 갤러리’ 의 운영을 맡은 성북동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김육영)는 “이번 전시에 이어 앞으로 각 동 자치회관, 성북문화재단, 성북문화원, 관내 학교 등 성북구에 있는 미술관련 단체의 협조를 얻어 전시 공간 확보가 쉽지 않은 소질 있는 평범한 이웃들이 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하는 공간으로 만들어 그들의 작품을 ‘공유’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한, “‘성북동 작은 갤러리’가 주민들이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꿈을 공유하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주민들과 함께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여 주민들이 전시공간을 적극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으며, ‘성북동 작은 갤러리’ 위치가 성북동 초입인 점을 활용, 성북동 역사·문화를 알리는 공간으로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전시내용 성북구 자치회관 작품전시회(2016. 5. 6.~5. 18.),생각가게(주관 성북예술창작터, 2016. 5. 19.~6. 6.)운영시간 : 10:00~19:00(※ 휴관일 : 월요일, 공휴일)개관일 : 2016. 5. 6.부터 운영(정식 개관일 2016. 5. 18. 14:30)전시 및 관람료 : 무료 위치 : 성북구 혜화로 88, 1층문의 : 작은 갤러리 ☎ 02-742-1024, 성북동주민센터 ☎ 02-2241-5004, 성북구청 마을민주주의과 ☎ 02-2241-4357 초등학생 대상, 성북구(동)청사 현장체험학습 실시성북구에서는 어린이의 안전과 친구(親區)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북구청과 동주민센터에서 하는 일, 아동친화적 시설, 주민자치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등 아동의 눈높이에 맞춘 현장체험학습이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input image현장체험 장소  - 성북구청 : 민원실, 장난감도서관, 북카페, 천문대, 관제센터 등 - 동주민센터 : 민원실, 자치프로그램 강의실, 옥상 텃밭 등 신청 및 문의 : 기획예산과 ☎ 02-2241-3832   주민참여예산사업 제안 신청하세요!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업은 무엇이 있을까요? 여러분이 직접 제안을 하면 마을에 필요한 사업이 예산으로 반영되어 실제로 시행 됩니다. 우리 마을 살림살이 결정, 주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어떻게 제안하나요? 신청기간 :  6월 30일까지 제안내용 :  2017년도 우리 동네에 시행되었으면 하는 일  제안방법 :  인터넷, 우편, 방문 제출- 인터넷 :  성북구청 홈페이지(www.sb.go.kr) → 화면 오른쪽 주민 참여예산go → 주민참여마당 → 제안사업 신청 - 우편 :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마을민주주의과 주민참여팀 (02848)- 방문 : 거주지 동마을복지센터, 구청 마을민주주의과 주민제안사업신청서 다운로드  - 성북구청 홈페이지 → 주민참여예산go → 알림마당 → 자료실 ※ 제안시 주민제안사업신청서 서식 이용어떻게 진행되나요?input image문의 : 마을민주주의과 ☎ 02-2241-2232   만해 한용운 선사 72주기 추모다례재 input image일시 :  2016. 6. 29.(수) 11:00 (예정, ※ 추후 홈페이지 공지) 위치 :  만해 한용운 심우장 (성북구 성북로 29길 24) 내용 :  추모다례재, 심우장 관리동  준공기념식, 뮤지컬 ‘심우’ 공연, 밴드 ‘빈티지프랭키’ 공연, 시 낭송 등  주최/주관 :  재단법인 선학원, 정법사, 성북문화원 후원 :  성북구청, 국가보훈처 뮤지컬 ‘심우’ 공연 일정 일시 :  2016. 6. 11.(토) / 6. 18.(토) / 6. 25.(토) 11:00 ※ 무료 위치 :  만해 한용운 심우장(성북구 성북로 29길 24) 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성북구청 문화체육과 ☎ 02-2241-2608 2016 성북구 경제총조사 실시 성북구 관내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에 대한 구조와 분포 및 산업활동 실태를 파악하여 각종 경제정책 수립 및 산업 연구 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조사기간 :  2016. 6. 1.(수)~7. 22.(금) 대상 :  2015. 12. 31. 현재 성북구에서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 방법 : 조사원 방문 면접조사(인터넷, 이메일, 팩스 등 조사 병행실시)항목 : 총 41개(공통항목 16개, 특성항목 25개)문의 : 기획예산과 ☎02-2241-3833 아나바다+프리마켓 <동선나누장> 안내대상 : 주민 누구나(초·중·고 학생 및 가족, 단체 등)내용 : 중고 생활용품 및 프리마켓, 다양한 공연 및 체험행사일시 : 2016. 6. 25.(토) 12:00~16:00장소 : 동선동주민센터 골목 일대신청방법  전화 및 문자메시지 010-4436-4085(반짝단 담당자)이메일 nanakim3@gmail.com(선착순 접수)주관 : 동선동 마을활력소 마을활력단(동동마당 반짝단)문의 : 동선동 마을복지센터 ☎ 02-2241-5099 2016 생명사랑 홍보 캠페인에 동참해요6월 25일 월곡1동 차 없는 거리 나눔행사에서 자살에 대한 편견을 깨고 모든 사람들이 생명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돕는 생명사랑 홍보 캠페인이 진행됩니다.일시 및 장소 : 2016. 6. 25.(토) 10:00~17:00, 월곡1동 나눔의 거리(오패산로 21)참여대상 : 지역주민 누구나행사내용 : 희망메시지·노란리본 만들기, 자살예방 ○/× 퀴즈, 청소년 애플리케이션 홍보, 패널전시(기관소개) 등문의 : 성북구자살예방센터 ☎ 02-916-9118 난방개선을 위한 집수리비용 융자지원 안내융자규모 : 150억원(서울시 기후변화기금)융자기간 : 2016. 12. 9.까지(단, 융자기금 소진 시 조기 종료)지원항목 : 단열창호, 단열재, 고효율보일러·고효율LED조명 교체 등취급은행 : 우리은행(보증보험은 서울보증보험 가입)융자절차 : 융자신청 → 융자심의 → 대출심사 → 사업시행 → 사업결과보고 → 대출실행 문의 : 환경과 ☎ 02-2241-3022 여권/국제운전면허증 원스톱 서비스 시행2016년 5월 2일부터 여권 발급시 한 번의 방문으로 여권과 국제운전면허증을 동시에 발급합니다 .기존 서비스- 여권발급(지자체)- 국제운전면허증 발급(경찰청 및 운전면허시험장)※ 2개 기관 방문원스톱 서비스- 여권발급 신청 시 국제운전면허증 발급 신청 접수(지자체→운전면허시험장 이송)→운전면허시험장 발급→ 지자체 교부 ※ 1개 기관만 방문 문의 : 민원여권과 ☎ 02-2241-4502 6월은 자동차세 납부의 달입니다납세의무자 : 2016. 6. 1. 현재 자동차 소유자납부 기간 : 2016. 6. 16.~6. 30.고지서 분실 및 훼손시 서울시소재 구청 세무부서 및동주민센터에서 재발급 가능납부 방법:전국시중은행(농협, 수협 포함), 우체국 방문 납부인터넷납부(http://etax.seoul.go.kr) 및 전용계좌 납부편의점, 은행현금지급기(CD/ATM) 납부ARS자동납부서비스(☎ 1599-3900) 납부문의 : 세무2과 ☎ 02-2241-4144, 4142, 4145 담장을 허물어 무료로 주차장을 만들어 드립니다지원대상 : 담장 또는 대문을 허물어 주차장 조성이 가능한 주택※ 단, 가까운 장래 신축이 확정된 주택은 제외(뉴타운 지정지역, 재개발사업지역, 재건축 허가주택)지원방법 : 주차장 조성은 구청과 계약된 전문건설업체가 공사대행(현금지원불가)지켜야 할 사항 : 임의로 담장을 다시 쌓거나 펜스, 자바라 등 설치 시 공사비 환수주 , 차장 조성 후 최소 5년간 기능 유지진행과정 : 건물주 신청(전화, 서면 등) ▶ 현장방문 타당성 조사 ▶ 지원여부 결정 ▶ 설계협의(건물주, 구청, 시공사) 및 확정 ▶ 공사시행 ▶ 준공 문의 : 교통행정과 ☎ 02-2241-3415 제4회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 정기연주회일시 : 2016. 6. 29.(수) 19:00~20:30장소 : 성북구민회관 대강당(성북구 성북로4길 177)주최/주관 :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성북구, 성북문화재단입장료 : 무료(선착순 입장)문의 : 성북문화재단 ☎ 070-8644-8297, 070-8644-8067 <문화와 이웃하는 청년> 공연 안내지역공동체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문화와 이웃하는 청년」 의 청년예술가들이 지역고유의 문화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고 나누는 공연을 마련하였으니 많이들 오셔서 관람해주세요 !일시 : 2016. 6. 25.(토) 17:00장소 : 성북아트홀(성북구청 4층)대상 : 지역주민 누구나(※ 전석 무료 초대)내용 : 국악과 클래식의 멜로디를 재해석한 뉴에이지 음악 공연구성 : 성악, 피아노, 드럼, 해금, 가야금, 무대영상 등 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92 청록집 발간 70주년 기념행사 「청노루 맑은 눈에」일시 : 2016. 6. 3.(금) 16:30~18:30 장소 : 성북구청 4층 아트홀내용 input image주최/주관 : 성북구청/성북문화원 후원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 Wed, 25 May 2016 10:50:41 +0000 6 <![CDATA[언론을 통해 본 성북의 변화 ]]>    언론을 통해 본 성북의 변화구민의 가슴 뛰는 내일을 위해 숨 가쁘게 달려왔습니다. 언론을 통해 민선6기 2주년 성북의 발자취를 돌아봅니다. 20166월성북구, 청소년 노동인권 보호 본격화  -문화일보(2016. 6. 2.)예술인에 정릉동 공공주택 2개동 19가구 공급 -한국일보(2016. 6. 10.)5월마음이 모여 마을이 되는 마을민주주의 -내일신문(2016. 5. 11.)아이 하나를 키우려고 마을 전체가 뭉친다 -서울신문(2016. 5. 13.)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돕는 성북 -서울신문(2016. 5. 19.) 4월아동안전부터 창업메카까지 청년이 꿈꾸는 성북 만듭니다 -서울신문(2016. 4. 7.)성북구, 서울 자치구 첫 ‘청년지원 기본조례’ -한겨레(2016. 4. 7.)김영배 성북구청장 ‘걸어서 성북 한바퀴’ 현장행정 -전국매일신문(2016. 4. 22.)성북구 아동영향평가제도 정부도 도입 -동아일보(2016. 4. 27.)아동친화도시 성북구 전용 보건소 세운다 -아시아경제(2016. 4. 28.)3월성북구, 주민 맞춤형 조직개편 단행 -우리일보(2016. 3. 2.) 2월성북동 곳곳을 역사 박물관으로 -아시아경제(2016. 2. 2.)아이키우기 좋은 도시 만든다 -내일신문(2016. 2. 4.)지자체 저임 노동자들 ‘생활임금’ 꽃피다 -한겨레(2016. 2. 15.)1월서울 성북구, 낡은 시장 건물서 시무식 연 까닭은 -경향신문(2016. 1. 5.)청년창업 작정하고 밀어주겠다는 성북 -서울신문(2016. 1. 20.)청렴도시 구현, 새내기가 앞장섭니다 -내일신문(2016. 1. 22.)동행실천… 자발적 주민 참여 덕분 -이데일리TV(2016. 1. 25.) input image201512월성북구, 반부패·청렴활동 최우수구 -헤럴드경제(2015. 12. 15.)11월‘갑, 을’ 대신 행복한 ‘동행’ -경향신문(2015. 11. 6.)응답하라! 청소년 노동인권 -서울신문(2015. 11. 20.)서울 성북구-SH공사, 공공원룸주택 도전숙!청년창업 꿈 펼칠 요람 첫선 -경향신문(2015. 11. 24.) 10월정책결정 이보다 더 공정할 순 없다 성북구 타운홀 미팅 -서울신문(2015. 10. 15.)9월아이들 의견 듣고 정책마련, 친화도시 따내 -아시아경제(2015. 9. 1.) 8월성북구 ‘주민과 함께하는 행정’ 눈길 -문화일보(2015. 8. 12.)김영배 성북구청장 “아동, 청소년 권리 신장견인차 역할 할 것” -아시아경제(2015. 8. 31.)7월생활임금제로 바뀌자 청소노동자 이직 사라져 -경향신문(2015. 7. 14.)구청이 시설 갖춰주니…마을뉴스 방송 만든 성북구민 -중앙일보(2015. 7. 23.)2월“경로당 하면 화투라고? 우린 일하느라 바빠” -한겨레(2015. 2. 4.) ]]> Sat, 25 Jun 2016 01:13:23 +0000 7 <![CDATA[성북구의회 제242회 제1차 정례회 개회 ]]> 성북구의회(의장 임태근)는 6월 7일부터 30일까지 24일간의 일정으로 제242회 제1차 정례회를 진행 중이다.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2015 회계연도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승인안’을 비롯한 15건의 안건 심사를 마쳤으며, 20일부터 각 상임위원회별로 구청 소관부서와 주민센터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앞으로, 28일까지 행정사무감사를 마무리하고, 29일 구정질문과 30일 제3차 본회의에서 최종 안건 처리 후 폐회할 예정이다.주요 상정 안건▲ 2015 회계연도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승인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한부모가족 지원에 관한 조례안 ▲ 2016년도 서울특별시 성북구 노인복지기금 운용 변경 계획안 ▲ 서울특별시 저소득층 아동 의료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미아중심재정비촉진지구 존치관리구역내 재정비촉진계획(미아 지구단위계획)변경결정 구의회 의견청취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교육경비 보조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청사 부설주차장 관리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서울특별시 성북구민의날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제242회 제1차 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 이은영 의원- 부위원장 : 조민국 의원- 위원 : 김률희, 김원중, 박학동, 윤만환,이광남, 이인순, 정형진 의원(의원 가나다순)input image이은영 위원장input image조민국 부위원장 보건복지위원회, 우리옛돌박물관·한국가구박물관 방문… 전통문화 세계화 방안 모색input image성북구의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진선아)는 5월 19일 오후 성북동에 위치한 우리옛돌박물관과 한국가구박물관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성북을 대표하는 역사문화 시설을 방문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소양을 배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훌륭한 전통문화를 외부에 널리 알릴 수 있는 문화정책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우리옛돌박물관은 국내외로 흩어졌던 2천여 점의 한국 석조유물을 40여 년에 걸쳐 한자리에 모아 2015년 11월 개관한 국내 최초 석조유물 전문 박물관이자 수복강녕과 길상을 기원하는 박물관이다.한국가구박물관은 목가구를 중심으로 2천500여 점의 우리나라 전통 살림살이와 한옥10여 채를 전시하고 있는 특수박물관으로 G20 정상회의 때 영부인들이 한국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찾은 곳으로 유명하다. 구청 관련부서 직원들과 함께 현장을 둘러본 의원들은 박물관 큐레이터로부터 해설을 들으며 전시품과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으며,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문화를 세계인이 공감하는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 성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 연구활동input image성북구의회 ‘성북구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점검 및 대안 모색 의원연구단체’ 소속 의원들이 5월 12일, 31일 두 차례에 걸쳐 모임을 가졌다. 어르신 여가복지시설의 현재를 점검하고, 보다 의미있는 기능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자는 연구 주제를 가지고 시작한 이 연구단체는 목소영 의원을 대표로 간사에 안향자 의원, 회원으로는 권영애·김춘례·이미영 의원이 포함되어 있다.첫 모임에서 의원들은 성북구의 다양한 어르신 여가복지시설 중 ‘경로당’을 중심으로연구활동을 하기로 뜻을 모았고, 두 번째 모임에서 구청 관계부서 직원들로부터 성북구의 경로당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 현황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노인일자리 문제, 경로당 공간 활용 문제 등의 연구분야와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연구단체는 앞으로 경로당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실시, 경로당 현장 방문,노인지회 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경로당 이용자들의 목소리를 수렴하여, 경로당이 보다 의미있는 여가복지시설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Sat, 25 Jun 2016 01:17:30 +0000 7 <![CDATA[북한산에 비 내린다, 자반 고등어 ]]> 제9회 공무원 문예대전 시 부문 동상 수상작자반 고등어박정훈(성북구청 마을민주주의과)갈길 잃은 흩어짐으로 아직 남은 늦더위가오후 두시 골목시장 좌판을 훑고 간다비린내 가득한 좌판 위로 자반고등어가지친 늑골의 육신을 내려놓고 외마디 외침으로공양의 길을 가고 있다검은 빛 감도는 허파 사이로오대양 삼해 온갖 세월을 유영하던 움직임들이이젠 숨죽여 발가벗은 몸으로미소같은그윽한 편안함이 묻어 있다소금에 염장되어자신의 마지막 한 점 살점까지도몸 보시 하는 인자한 황금빛 웃음에는한여름 그 길고 험한 물길질 대신이젠 모든 생리작용을 마치고세월의 빗장을 열어둔 채죽음의 정원을 짓는늙은 누에의 거룩한 영혼의 입놀림같이자식들의 굶은 배를 위해물배 채우시는 늙은 어매의 얼굴이 있다input image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Sat, 25 Jun 2016 01:23:29 +0000 7 <![CDATA[성북구, 다산 정약용 목민관 정신의 표본이 되다 ]]>    성북구, 다산 정약용목민관 정신의 표본이 되다  성북구가 율기(律己)·봉공(奉公)·애민(愛民)의 목민관 정신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제8회 다산목민대상 본상(행정자치부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동행프로젝트, 아동친화도시, 마을민주주의, 생활임금제 등 주민과 함께 한 혁신적인 도전과 노력으로 일구어 낸 쾌거이며, 이러한 혁신은 성북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국 자치구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은 성북구의 각 분야별 성과를 살펴봅니다. input imageinput image다산목민대상이란?input image- 각 분야에서 주민을 위한 창의적인 시책을 추진하여 다산 정약용의율기·봉공·애민정신을 지방행정에 구현하는 모범행정 기초자치단체에 주는 상- 지난 2009년부터 시상해오고 있으며, 올해는 전북 완주군과 서울 성북구, 경기 광명시가 선정 자신을 다스리는 율기(律己) 청렴한 마음 위에 주민과의 약속을 이행하고 칸막이 없는 협업체계구축으로 신뢰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청렴 성북을 지향합니다. 청렴리마인드 프로그램으로 ‘청렴1번지’가 되다input imageinput image- 2015년 서울시 반부패 청렴도 최우수구 선정 - 2010·2011년 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평가 외부청렴도 전국 자치구 1위 주민에게 묻다, 「클린 콜(Clean Call)」 운영구 방문민원인을 대상으로 불편사항과 직원 청렴도를 직접 모니터링하여 해당 부서에 피드백함으로써 주민 불만족사항 완화 및 청렴도 향상input image 주민과의 약속을 소중하게!- 2015년 전국 매니페스토 공약평가 최우수상 수상- 2015년 민선6기 전국 기초단체장 공약실천계획 평가 최우수등급(SA)획득 전국 최초 칸막이 없는 협업체계! 수요자와 과제 중심의 업무체계 구축- 전국 최초 수요자와 과제 중심의 7대 전략과제 및 특별정책과제로 업무체계를 구축하여 부서간 칸막이 없는 협업행정을 추진- 빅데이터와 GIS기법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정책 수립 및 집행input image 공을 받드는봉공(奉公) 더불어 살아가는 동행, 상생공동체 활성화로 참여를 넘어 자치하는 주민이 되어 주민 스스로 마을의 변화를 이끕니다. [2015년 행자부 제도개선 우수사례]  함께 행복한 상생 공동체 ‘동행(同幸)’프로젝트input imageinput image 깨어있는 시민 양성! 아카데미 천국 성북일상의 문제를 마을을 중심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민선5·6기 동안 14개 분야, 총 145회의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주민 역량 강화input image 주민의 힘으로 지역의 변화를! 마을민주주의 실현input image- 길음1동, 월곡2동에 이어 동선동,종암동에서 마을계획단을 만들어 마을의 미래를 주민의 손으로 계획- 다양한 계층이 마을의 일에 참여할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제, 정책제안제, 열린토론회 추진- 타운홀미팅형 주민총회 개최(2015. 10. 14.) 구민을 사랑하는애민(愛民)아동부터 청년, 어르신까지 모든 세대가 더불어 행복하게, 소외된 주민에게는 따뜻하게 다가가겠습니다. 대한민국 최초 어린이가 행복한 ‘유니세프 인증 아동친화도시’ 성북input imageinput image- 아동의 4대 권리(생존·보호·발달·참여권) 보장에 기반한 아동친화적 정책을 인정받아 유니세프로부터 대한민국 최초 아동친화도시로 선정- 전국 최초로 아동청소년 복지플래너를 전 동에 배치하고 마을중심의 통합적 아동돌봄시스템 구축- 신뢰받는 창의적인 공교육 혁신을 위해 2016년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선정되어 학교와 마을이 함께하는 혁신교육프로젝트 추진 도전하는 청년이여 성북으로 오라! 청년과 함께 창조경제 구현input image- 일자리와 주거공간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도록 전국 최초 1인 창조기업인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도전숙(宿)’을 공급- 체계적인 청년정책 추진을 위해 2015년 전국최초로 청년지원팀을 신설- 2016년 3월, 서울시 자치구 최초 ‘청년지원조례’를 제정- 정릉 핫 플레이스! 주민참여형 마을장터 ‘개울장’ 활성화 세계 최초 인권영향평가 도입으로 인권도시 성북 구축전국 최초 인권영향평가제 도입 의무화, 서울시 최초 인권조례 제정, 성북주민인권선언문 제정, 전국 최초 안암동 인권청사 건립 등 인권도시 구축 최저임금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생활임금제’ 시행input image- 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해 근로 약자를 위한 생활임금제를 전국 최초로 실시- 공공부문을 넘어 민간부문으로까지 생활임금확산 노력]]> Sat, 25 Jun 2016 01:11:00 +0000 7 <![CDATA[정릉3동_뜨끈한 삼계탕 한 그릇으로 사랑을 나누다 外 ]]> 5월 24일 정릉3동주민센터 2층에서 독거어르신 및 저소득층 110여 분을 모시고 정릉3동 주민자치위원 및마을안전협의회 회원 분들이 흥겨운 삼계탕 파티를 펼쳤다. 뽀얀 삼계탕 국물 속에는 우리 마을 안전을 담당하는 많은 분들의 사랑과 정성이 듬뿍 담겨 있어서 어르신들의 마음은 그 어느 때보다 넉넉함과 따뜻함으로 가득했다. 대성사에서 기증한 라면들은 집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을 더욱 기분좋게 해 드렸고, 더불어 우리 마을의 정도 담아가게 되었다. 각박한 세상, 묻지마 범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정릉3동은 날씨만큼이나 뜨거운 사랑으로 충만해 있다. “어르신들, 삼계탕 맛있게 드시고 기운 팔팔하게, 힘차게 지내세요.”명예기자 김수희 종암동  종암동주민센터 ☎ 02-2241-58405월 12일 종암동주민센터에서는 흥겨운 음악소리가흘렀다. 새마을부녀회 회원들이 삼계탕, 도토리묵 등 맛있는 음식으로 어르신들의 건강을 챙기고 허전한 마음도 챙겨갈 수 있도록 여흥의 시간도 마련한 것이다. 식사는 동주민센터 3층과 2층 그리고 지하까지 독거어르신과 경로당에서 추천된 어르신 200여 분이 기다리지 않고 바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정갈한 상차림으로 준비되었다. 이것도 맛있고 저것도 맛있어서 ‘배가 남산만 하다고’ 서로 자랑을 하시는 모습을 보면서 흐뭇해 하는 새마을부녀회 회원들. 자체 회비와 매해 삼계탕의 재료가되는 닭을 공급해주시는 한영닭집과 같은 종암동 지역주민들의 도움이 매년 식사대접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한다. 따끈한 삼계탕 그릇의 원기처럼 나눔과 배려가 넘쳤던 즐거운 시간, 더 많은 이웃 어르신들과 더 자주 만날 준비를 하겠노라는 새마을부녀회 회원들의 약속이 정겹기만 하다.명예기자 정우연 장위3동  장위3동주민센터 ☎ 02-2241-5740적십자 성북지구협의회 장위3동 봉사회(단장이혜경)에서는 지난 5월 12일 어르신 16명을 모시고 사랑의 삼계탕 나눔 행사를 진행하였다. 이는 무더운 여름철 건강하게 잘 나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관내 적십자 희망풍차 대상자 및 밑반찬 제공을 받는 독거어르신들을 모시고 삼계탕을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어르신들은 정성스럽게 준비한 삼계탕과 다과를 드시며 선물로 준비한 양말을 받으시고 “식사만으로도 고마운데 선물까지 준비했냐”며 연신 고마워하셨다. 이행사에는 장위3동주민센터 최규설 동장님을 비롯하여서미경 동대문 성북봉사센터장, 양효선 성북지구회장님이 참석하여 가족의 정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을 보냈다. 한편, 장위3동 봉사회는 매월 희망풍차(부식세트및 물품지원)와 일반 구호활동(쌀 지원) 등 이웃사랑을실천하는 적십자 봉사단체다. 특히, 올해 새롭게 구성된 봉사단원들은 앞으로 더 많은 분들에게 따뜻한 손길을 내밀겠다는 다짐을 하여 그들의 행보가 기대된다.명예기자 조경순 보문동 보문동주민센터 ☎ 02-2241-5260보문동 마을계획단, 첫 발걸음을 내딛다input image5월 30일, 보문동 마을계획단 설립식이 보문동주민센터 에서 열렸다. 올 1월, 보문동은 마을계획 3단계 나눔동으 로 선정되어 4월 초부터 마을계획단원을 모집하여 30여 명의 주민들로 마을계획단이 구성되었다. 이들은 약 한 달 간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설립식에서 위촉되었고 동 네 제안서를 토대로 마을의제를 설정하고, 이후 총회를 거쳐 실행까지 하게 된다. 이날 설립식에서 단연 돋보였던 것은 ‘마을계획단 마을탐 방’이었다. 성북천, 보문시장, 보문사 등 보문동 곳곳을 거 닐었던 이 탐방은 동네의 여러 주민들과 대화하는 시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팻말을 든 쌍둥이 학생을 선두로, 손녀와 손을 꼭 부여잡고 걷던 할머니, 유모차를 밀고 가는 다문화 가족의 젊은 주부도 행렬에 함께했다. 뿐만 아니라 협동조합인 ‘향기마을’, 사회적기업인 ‘바하 밥집’ 등 지역 내에서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는 주체들도 동참하며 소통의 열기를 더했다. 마을민주주의의 적극적 실현 방법인 마을계획단. 성북구의 큰 자랑인 이 사업이 보문동에서도 큰 성과를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명예기자 이숙임 정릉2동  정릉2동주민센터 ☎ 02-2241-5340돌봄으로 소통하는 정릉2동input image5월 28일, 가정의 달 행사의 일환으로 정릉2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관내 저소득 어린이를 대상으로 문화·역사체험에 나섰다. 아이들은 점심으로 맛있는 피자를 먹고, 대학로 학전소극장에서 ‘무적의 삼총사’ 공연을 관람하였다. 공연이 끝나고 안내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창덕궁을 구경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아이들은 지역사회협의체 위원들이 준비한 사랑 가득한 선물까지 받았다. 이외에도 정릉2동에서는 아이들과 어르신들을 위한 돌봄의 행사들이 이어졌다. 6월 8일 관내 신토불이(대표 이화승)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정릉 2·3·4동 저소득어르신 100분을 초청하여 보양식 오리 요리를 대접하고, 6월 10일 정릉2동 새마을부녀회에서도 어르신 100분을 초대하여 점심을 함께하였으며, 6월 11일 관내 꽃중년푸줏간(대표 김헌택)에서는 저소득 아이들을 위해 삼겹살을 후원해주셨다. 지역 주민들이 앞장서서 돌봄과 사랑을 실천하는 정릉2동, 앞으로도 어린이와 어르신들을 위한 소통과 보살핌은 계속될 것이다.명예기자 한정혜 길음1동 길음1동주민센터 ☎ 02-2241-5460제5회 길음뉴타운 아동·청소년 축제 열려5월 11일 길음뉴타운에서 아동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축제가 열렸다. 올해로 다섯번째 이어지는 이 행사는 해가 갈수록 더욱 다채로워 주민들의 호응이 좋다. 특히, 올해는 이전 개교한 계성고등학교가 동참하여 교정에 전통놀이, 리본공예,액자꾸미기 등 풍성한 체험부스를 마련하였다. 또한 무대에서는 축하공연을 비롯해 합창, 댄스, 연주, 태권도 시범등 남녀노소 모두가 재능을 발휘하여 즐거움을 더했다. 새마을부녀회, 통장협의회, 아파트 부녀회 등 직능단체들은 음식을 만들어 판매하고 수익금은 전액 무료 복지사업기금으로 사용되어 훈훈함을 더했다.명예기자 석경희 월곡2동 월곡2동주민센터 ☎ 02-2241-5604월곡2동 새마을문고, 진로체험 고고!!지난 4월 30일 월곡2동 새마을문고(회장 권미숙)는 관내학생과 학부모 등 40여 명과 함께 성북다문화도서관에서 진로체험 행사를 실시했다. 학생과 학부모들은 다문화어린이열람실, 다문화특화열람실을 둘러보며 국가별 도서분류법, 도서 찾는 법, 바코드 입력 방법을 배우고 세계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시간을 가지는 기회가 되었다. 앞으로도 월곡2동 새마을문고는 독서를 통한 문화 공유및 소통의 기회를 넓히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명예기자 이희자]]> Sat, 25 Jun 2016 01:32:53 +0000 7 <![CDATA[우리마을 공동주차장 사업에 참여하세요 ]]> 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33~4 재능나눔 봉사자 모집성북구자원봉사센터는 자신의 지식.노하우.경험을 지역사회와 나누며, 더불어 함께하는 행복한 성북공동체를 만들어 가실 재능나눔 봉사자를 모집합니다. 이웃과 더불어 나눔을 실천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input image모집기간 : 연중모집대상 : 성북구에서 자원봉사를 희망하는 해당분야 경력자 및 전문가신청방법 : 신청서 작성 후(www.sbvc.or.kr 성북구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이메일(jawon@eseongbuk.kr), 팩스(02-2241-6526), 방문 신청(성북구청 7층 복지정책과)제출서류 : 신청서, 경력증명서, 자격증 사본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66 한국문화대학 제5기 수강생 모집성북구 한국문화대학은 지역주민들이 노후대비 제2의 인생을 준비하도록 돕는 기관입니다.강의내용 : 태극기공 건강수련법, 신비로운 마술강좌, 컨디션 조절운동, 행복한 웃음운동, 즐거운 노래교실, 댄스스포츠 강사 자격증반, 전통국악교실, 36시간 수강으로 한문교사 자격증 취득,역사탐방 문화강좌, 경매실전·상속세법·임대차세법모집기간 : 2016. 7. 18.~8. 31.교육장소 : 삼선동주민센터 2층 강의실교육기간 : 2016. 9. 1.~2017. 2월(1학기 6개월)등록금 : 9만원(수강료 무료)접수처 : 성북구청 12층 북카페접수 및 문의 : 한국문화대학 ☎ 02-922-3233, 02-927-3233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하고 특별한 이벤트에 참여하세요!타 시.도에서 전입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에코마일리지 신규회원 가입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으니 주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input image이벤트명 : ‘서울시에 이사오면 에코마일리지 가입부터’참여대상 : 2016년 중 타 시·도에서 서울시로 전입신고한 시민행사기간 : 2016. 5. 2.~12. 31.행사내용 : 가족 모두가 에코마일리지 개인회원으로 가입한 후, 다음달 1개월 에너지 사용량을 3% 이상 절감하였을 경우 거주여부 확인을 거쳐 소정의 보상품 증정※가족은 주민등록상 등재된 모든 세대원을 말하며, 미취학 아동은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됨신청방법 :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http://ecomileage.seoul.go.kr)에서 이벤트 배너 클릭 후 이벤트 참여하기 버튼 클릭보상품 : 텀블러 2개(단, 단독세대 등 1인 회원가입 시에는 텀블러 1개만 증정)문의 : 환경과 ☎ 02-2241-3014 성북 공구도서관 운영 안내공유경제 활성화와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해 성북정보도서관, 아리랑정보도서관에서 생활 공구를 빌려드립니다.- 운영장소 : 성북정보도서관, 아리랑정보도서관- 시행일 : 6 .20.(월)부터~- 운영시간 : 월 ~일요일 09:00~18:00(도서관 휴관일 제외)- 이용대상 : 성북구 주민 및 성북구 소재 사업장 운영자 중 만 19세 이상 성인- 대여물품 : 전동드릴, 망치, 공구세트 등 생활공구류- 대여기간 및 수량 : 3일, 1인당 2점- 이용료input image※ 보증금은 현금만 가능, 대여료는 현금 및 카드결제 가능- 구비서류 : 신분증 및 성북구 소재 증빙 서류 등문의 : 성북정보도서관(성북구 화랑로 18자길 13) ☎ 02-962-1081아리랑정보도서관(성북구 아리랑로 82) ☎ 02-3291-4990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7월에는 주택은 토지를 포함한 1년 세액의 1/2과 주택 외 건축물(토지 제외) 재산세가 과세됩니다.납세의무자 : 2016. 6. 1. 현재 주택, 건축물 소유자납부기간 : 2016. 7. 16.~7. 31.납부방법- 전국 은행, 농협, 우체국 등 방문 납부하거나- 인터넷(http://etax.seoul.go.kr) 및 전용계좌로 납부가능하며- ARS(☎ 1599-3900)나 스마트폰으로 납부하실 수 있고- 국내 모든 신용카드로 납부가능합니다(할부이자 본인부담).※ 서울시 각 구청 세무과 및 주민자치센터에서 고지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문의 : 세무1과 ☎ 02-2241-4063~8, 02-2241-4072~4080 성북구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소개합니다문화로 교류하고 지역을 연계하는 ‘(사)캔파운데이션’input image사단법인 캔파운데이션은 작가 발굴 및 지원, 해외교류 전시 및 해외네트워크 구축을 지향하며 문화교류, 문화확산 공공프로젝트, 지역연계 프로젝트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시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해 작가를 발굴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소외 지역의 어린이 및 노약자에게 예술창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요 사업- 소외계층 어린이 예술창작교육 프로그램 <아트버스 캔버스> 운영- 기업 대상의 아트 컨설팅, 아트 교육 프로그램 시행문의 : (사)캔파운데이션 ☎ 02-766-7660홈페이지 : www.can-foundation.org 방과 후 혼자 있는 아이들을 편안한 집처럼 돌보고, 가르치겠습니다input image성북어린이돌봄협동조합 ‘키다리교실’은 2012년 선정된 서울시 마을기업으로, 놀이공간이 없어 배회하는 아이들을 따뜻하게 돌봐주는 곳입니다. 종암동에서 오래 부녀회장으로 활동하신 선생님, 실력 있는 대학생 선생님들과 수학과 교수님이 맞춤형 학습과 체험학습으로 아이들이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방과후 교실 안내- 소외계층 어린이 예술창작교육 프로그램 <아트버스 캔버스> 운영- 기업 대상의 아트 컨설팅, 아트 교육 프로그램 시행input image문의 : 성북어린이돌봄협동조합 ☎ 02-923-7555 (성북구 종암로 18-11, 종암동주민센터 뒤편) 불법 사금융·전화금융 사기 특별단속 실시2016. 6. 1.부터 7. 31.까지 불법 대부업, 불법 채권추심, 유사수신 ,대출사기 등에 대하여 특별단속을 실시합니다. 112 또는 성북경찰서 지능범죄수사팀(☎ 02-920-1461)으로 구민여러분의 제보 및 신고 부탁드립니다. 국민권익위원회 [이동신문고] 운영 안내일시 : 2016. 7. 21.(목) 10:00~17:00장소 : 강동구청(대강당 또는 대회의실)대상 : 행정처분으로 고충이나 불편을 겪고 있거나 기타 법률상담이 필요한 분※ ‘이동신문고’는 위원회의 각 분야별로 구성된 전문 조사관들이 해당지역을 방문하여 고충민원을 직접 상담 및 접수하고 가급적 현장에서 당사자의 중재를 통해 합의해결을 유도하는 현장 민원상담 제도문의 : 감사담당관 ☎ 02-2241-2163 Bye 인감, Hi 서명!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한 본인서명사실확인서를 발급 받으세요.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본인이 직접 서명하고 기재한 내용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하며, 전국 시·군·구청 민원실 및 읍·면·동 어디서나 발급 가능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전기안전점검 일정 안내점검기간 : 2016. 7. 4.~7. 31.점검지역 및 호수 : 종암동(7,311호)점검소요시간 : 각 호당 10분 이내점검인원 : 각 세대별 1명 방문(당사 지정복 착용)점검내용 : 옥내의 절연저항(누전여부판단)측정, 누전차단기동작상태 이상유무 여부, 개폐기·차단기의 열화/파손여부, 옥내배선의 적정용량 사용 여부, 전기기계 기구의접지상태, 전기안전사용 및 절전요령 안내문의 : 한국전기안전공사 서울북부지사(국번없이 ☎ 1588-7500 / 점검부 ☎ 02-3499-5931~56) 주차장 수급실태 조사 안내성북구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주차난 해소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주차장 수급실태를 조사하오니, 조사원이 귀 가정과 사업장을 방문시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조사기간 : 2016. 5. 27.~9. 30.조사내용 : 주차시설 현황조사, 주차이용 실태조사 등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482 난방개선을 위한 집수리비용 융자지원 안내융자규모 : 150억원(서울시 기후변화기금)융자기간 : 2016. 12. 9.까지(단, 융자기금 소진 시 조기 종료)지원항목 : 단열창호, 단열재, 고효율보일러·고효율LED조명 교체 등취급은행 : 우리은행(보증보험은 서울보증보험 가입)융자절차 : 융자신청 → 융자심의 → 대출심사 → 사업시행 → 사업결과보고 → 대출실행문의 : 환경과 ☎ 02-2241-3022 2016 성북구 경제총조사 실시성북구 관내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에 대한 구조와 분포 및 산업활동 실태 를파악하여 각종 경제정책 수립 및 산업 연구 분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조사기간 : 2016. 6. 1.(수)~7. 22.(금)대상 : 2015. 12. 31. 현재 성북구에서 산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방법 : 조사원 방문 면접조사(인터넷, 이메일, 팩스 등 조사 병행실시)항목 : 총 41개(공통항목 16개, 특성항목 25개) 문의 : 기획예산과 ☎ 02-2241-3833]]> Sat, 25 Jun 2016 01:26:48 +0000 7 <![CDATA[2016 성북천 깃발전 먹내음 가득한 성북천 ]]>   2016 성북천 깃발전 - 먹내음 가득한 성북천올해 7회째를 맞는 ‘먹내음 가득한 성북천’은 성북구 대표 문화예술인 한용운시인의 ‘님의 침묵’ 발간 90주년을 기념하고 성북천 일대 가로등에 깃발 형식으로 전시하여 성북천 일대를 성북구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거리로 만드는 행사입니다. 제출된 작품 중 90점은 성북천 일대에 깃발로 전시되며, 온라인 전시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input image일시 : 2016. 6. 27.(월)~7. 27.(수)장소 : 성북천 분수광장(한성대입구역 2번 출구~성북3교)내용 : 한용운 시인 작품 한글서예 및 캘리그라피 90점 전시주최/주관 : 성북문화원후원 : 성북구청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2016 청소년 인권캠프 참가자 모집일시 : 2016. 7. 22.(금)~23.(토), 1박2일(출발 : 09:30, 학교공문 발송 가능)장소 : 성요한 피정의 집(춘천시 강촌 소재)대상 및 인원 : 청소년 40명(14세 이상 20세 미만) ※ 선착순 모집참가비 : 무료(수료증 발급)캠프 프로그램 input image일시 : 2016. 6. 27.(월)~7. 27.(수)장소 : 성북천 분수광장(한성대입구역 2번 출구~성북3교)내용 : 한용운 시인 작품 한글서예 및 캘리그라피 90점 전시주최/주관 : 성북문화원후원 : 성북구청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다문화가족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 안내‘어깨동무’ 함께 놀며 배우기(나눔의 집 꿈틀도서관) input image문의 및 신청 : 전화접수 ☎ 02-941-5639 다문화 그림자극 창작동아리(무지개콩) input image문의 및 신청 : 전화접수(앞단계 참여자 우선접수) ☎ 070-8644-8047 성북구립미술관 NeoForum2016 「Oneness」 展 개최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현대미술 작가 2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음악가 1인, 영상감독 1인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의 미적 공감과 소통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NeoForum2016 전을 기획하였습니다. 여러 차례 대화와 만남을 지속하며 예술가 4인이 창조해낸 회화, 조각, 설치, 음악, 영상 작품 등은 하나의 공유된 세계(Oneness)안에서 어우러지며 관람객들에게 현대미술의 새로운 풍경을 제시합니다. input image전시기간 : 2016. 6. 17.(금)~7. 31.(일) ※매주 월요일 휴관참여작가 : 신건우(시각예술가), 유나얼(시각예술가),몽라(피아니스트), 송원영(미디어 디렉터)주최·주관 : 성북구립미술관, 성북문화재단관람료 : 무료위치 및 장소 : 성북구립미술관 제1, 2전시실(성북구 성북로 134)문의 : 성북구립미술관 ☎ 02-6925-5011 7월 역사문화 탐방(독립운동 체험 코스)성북구의 역사와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성북구의 다양한 문화유산을 해설하고 안내하는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오니 남녀노소 관심 있는 개인 및 단체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일시 : 2016. 7. 16.(토), 7. 23.(토) 각 10:00 출발코스 : 성북동주민센터 맞은편 버스탑승 ▶ 서대문형무소 견학▶ 심우장에서 만해정신 익히기 및 3D퍼즐 맞추기▶ 성북동주민센터 앞 하차 및 귀가내용 : 일제강점기 독립을 위해 끝까지 지조를 지킨 독립운동가의 일생을 조명하고, 형무소 건축모형 퍼즐을 맞추며 나라와 순국선인들의 고마움을 익히는 기회접수신청 : 2016. 6. 28.부터모집인원 : 보호자 1명 포함 총 20명주최 : 성북구청주관 : 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마을기업)접수 및 문의 : 성북동아름다운사람들 ☎ 010-5301-3637 제4회 꿈의 오케스트라 성북 정기연주회성북주민과 함께하는 <나눔풍성 콘서트>input image일시 : 2016. 6. 29.(수) 19:00~20:30장소 : 성북구민회관 대강당(성북구 성북로4길 177)입장료 : 무료(선착순 입장)문의 : 성북문화재단 ☎ 070-8644-8297, 070-8644-8067]]> Sat, 25 Jun 2016 01:38:18 +0000 7 <![CDATA[2016 여름방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外 ]]> 문의 : 교육아동청소년담당관 ☎ 02-2241-2405 성북구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기간 : 2016. 7. 1.~9. 3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신청기간 : 2016. 6. 25.~7. 30.신청방법 : 선착순 전화접수(☎ 02-2241-5950~1)교육일정input image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4 비만GX/직장인 운동프로그램모집기간 : 2016. 7. 6.~7. 15.(18:00 까지)운동장소 : 성북구보건소(월곡본소) 9층 sb문화홀비만 운동프로그램참여기간 : 2016. 7월~9월, 매주 화·목 16:00~17:00 /10주(총 20회)대상 : 20세(1997년생) 이상~64세(1953년생) 이하성북구민 중 1년 안에 체력측정실에서 체력검사를받은 자, 선착순 45명접수방법 : 전화접수(방문접수 불가)직장인 운동프로그램참여기간 : 2016. 7월~9월, 매주 화·목 19:00 /10주(총 20회)대상 : 성북구에 거주하는 직장인 혹은 성북구 소재 직장인만 가능, 선착순 45명접수방법 : 전화 접수 후 재직증명서 또는 사원증 등 직장근무 확인이 가능한 서류 Fax 제출 혹은 직접 제출(필수)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6, 5948,5960~1(Fax : 02- 2241-6606) 구민정보화교육 7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6. 27.(월) 09:00~28.(화)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6. 29.(수)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20대 건강이 돌아온다!! 어르신 건강 부메랑 운동교실모집기간 : 2016. 7. 4.~7. 6.(18:00까지)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필수조건) 선착순 45명참여기간 : 7~9월, 매주 월·수 16:00~17:00 / 10주(총 20회)운동장소 : 보건소(월곡본소) 9층 sb문화홀접수방법 : 전화접수(방문접수 불가)프로그램 내용 : 요가 및 말초운동 동작, 근력 운동프로그램, 낙상예방을 위한 관절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6, 5948, 5960~1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부모지원센터‘ 키즈요가’ 신규 회원 모집교육대상 : 6~7세 20명(선착순 접수)접수기간 : 마감 시까지 수시접수교육시간 : 월, 수(16:30~17:20)수강료 : 20,000원(1개월)접수방법 : 방문 접수(회원가입을 위한 3개월 이내 주민등록등본 지참)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부모지원센터 1층 부모자람터교육내용 : 몸의 균형과 유연성을 높이고 체형을 교정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부모지원센터 ☎ 02-6959-8256~7, 서울시 성북구 지봉로 24길 26(보문동5가 35번지)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부모지원센터 ‘요가 & 필라테스’ 신규 회원 모집교육대상 : 부모 15명(선착순 접수)접수기간 : 마감 시까지 수시접수교육시간 : 월, 수(09:30~10:20)수강료 : 20,000원(1개월)접수방법 : 방문 접수(회원가입을 위한 3개월 이내 주민등록등본 지참)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부모지원센터 1층 부모자람터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보문)·부모지원센터 ☎ 02-6959-8256~7,서울시 성북구 지봉로 24길 26(보문동5가 35번지)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주제 : 요실금의 이해와 관리강사 : 조희주 교수(을지병원 비뇨기과)일시 : 2016. 7. 11.(월)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신청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Sat, 25 Jun 2016 01:41:49 +0000 7 <![CDATA[버려진 철길의 화려한 변신 경의선숲길 전구간 조성 완료! ]]> 총길이 6.3㎞ … 102,008㎡ 면적의 대규모 녹지한 때는 의주와 서울을 잇는 선로의 일부였으나, 지하 선로 운행으로 더 이상 쓸모없어진 용산~가좌 구간의 폐철로가 새로운 녹지공원 경의선숲길로 화려하게 탈바꿈 했다. 서울시는 경의선 폐철로 부지를 경의선 숲길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2011년 시작하여 지난 5월 21일 완료, 시민에게 개방했다. 이번 경의선숲길 조성 사업은 총 길이 6.3km, 면적 102,008㎡의 대규모 녹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지상 부지를 무상 제공하고, 서울시에서 2011년부터 총 457억 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경의선 지상 구간을 공원화 한 것이다. 경의선숲길에는 길마다 크고 작은 잔디마당이 광장과 연결되어 있다. 이 공간들은 주민들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면서 필요한 시설을 넣어 지역의 화합과 소통의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완성해 나가게 된다. 이번에 완공된 경의선숲길의 매력과 조성 포인트를 알아보자.역사성, 시민소통의 장 등 독특한 매력 갖춰 조성① 연남동(1,268m)구간은 요새 가장 뜨는 동네인 연남동을 가로지르고 있어 경의선숲길에서 가장 활력 넘치는 길이다. 지하철 홍대입구역 3번 출구로 나오면 큰 소나무가 경의선숲길 연남동 구간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② 와우교(366m)구간은 땡땡거리라고 불리는 옛 창전 동 철길 교차로가 있던 자리에 조성됐다. 홍대 인디음악의 발원지인 땡땡거리의 장소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문화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크고 작은 열린공간을 공원 곳곳에 도입하였다. ③ 신수동(390m)구간은 서강대학교 전면부를 따라 위치하며, 향후 지역주민과 학생들이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청춘의 마당’을 주제로 기획되었다. 특히 공원을 따라 흐르는 작은 물길을 조성하여 도심 속 휴식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④ 대흥동(760m)구간은 경의선숲길 구간중에서 가장 먼저 개장하였으며, 봄이면 수백그루의 벚나무가 화려 하게 꽃을 피운다. 공원에 조성된 산책로와 자전거길을 따라 많은 시민들이 여유롭게 여가를 즐길수 있다. ⑤ 염리동(150m)구간은 공덕역과 연결되며, 메타세콰이어길과 느티나무 터널이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하다. 과거 철길을 재현한 공간, 작은 연못, 탁 트인 잔디밭, 곳곳에 심은 나무들이 어우러져 알찬 느낌을 준다. ⑥ 새창고개(630m)구간은 현재 용산의 유래가 되는 곳으로 경의선으로 단절되었던 구간을 이어 역사성을 재 해석했다. 마포구 도화동 현대아파트 부근의 지하철 공덕역 10번 출구와 바로 연결된다. ⑦ 원효로(330m)구간은 경의선숲길의 시점부로, 옛 철길의 기억을 회상하고 추억할 수 있는 상징적인 공간 으로 조성되었다. 공원 내에는 철길 플랫폼을 연상시키는 쉼터와 함께 화물열차 1량을 설치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토록했다.시민과 함께 완성해가는 공원 시는 이처럼 각각의 매력을 지닌 경의선숲길의 올바른 운영과 시민이 주도하는 공원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의선숲길 지역 협의체를 21일 개원과 함께 발족했다. 시민, 전문가, 문화·예술가, 지역 상인으로 구성된 ‘경의선숲길지역협의체’는 경의선숲길을 서울시 최초 로 시민 주도로 운영하는 공원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경의선 100년의 역사 위에 만들어지는 경의선숲길은 시민과 함께 완성해 가는 공원으로, 지역의 문화와 예술, 과거와 현재를 한 길에서 만나는 시민공간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문의 ☎공원조성과 2133-2065 2016 서울시 농부의 시장 놀러 오세요전국 82개 시군이 추천한 130여 농수특산물을 시중가보다 10~3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농부의 시장이 4월부터 11월 까지 열리고 있다. 기간 : 2016년 4월 27일 ~ 11월 6일, 10:00~18:00 장소 능동어린이대공원, 보라매공원(매주 수·목)                  서울혁신파크, 덕수궁돌담길(2, 4주 토·일) 내용 : 농산물 직거래판매, 문화행사문의 ☎ 도시농업과 2133-5396 서울시 신속행정서비스 이용 하세요서울시가 건축허가 신속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건축 허가가 오랫동안 지연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건축 절차는 어디부터 시작 해야 할지, 이해가 안 되는 법령이나 규정은 어디에 물어봐야하는지 등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서울시 건축허가 신속행정서비스를 이용하자. 건축허가 관련 문제점, 궁금증을 시민 입장에서 속 시원하게 도와주고 있다. 내용 : 행정절차 컨설팅, 신속한 행정처리를 위한 부서 간 쟁점 조정, 건축법령, 규정 상담이용방법 : 방문(서소문청사 2동), 유선(신속행정 프로젝트 매니저 ☎2133-4248~9), e-mail( fasttrack@seoul.go.kr)문의 ☎ 신속행정추진단 2133-4248~92016 서울시 봉사상 후보 추천 하세요 서울시가 2016년 서울특별시 봉사상 후보자를 추천 받는다기간 : 2016.5.19(목)~ 7.18(월)대상 - 기부선행, 시민화합, 지역사회발전 등에 헌신 봉사한 모범시민 및 단체- 자신의 재능을 이웃과 함께 나누는 재능봉사를 실천한 모범시민 및 단체- 문화,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를 실천한 모범시민 및 단체- 가족단위의 봉사를 실천한 모범가족추천권자 - 행정기관, 행정기관에 등록되어 있는 단체- 개인 추천시 10인 이상 서울시민 연서접수 : 방문, 우편, e-mail(kim0761@seoul.go.kr)※ 추천서식은 시 홈페이지 내 서울소개/시민상·시민표창/시민상 후보자 추천안내 다운로드 문의 ☎ 시 자치행정과 (2133-5829) 및 자치구 시민 표창 부서 ]]> Sat, 25 Jun 2016 01:47:42 +0000 7 <![CDATA[주민이 만드는 방송, 성북마을TV를 개국합니다 ]]> 깨끗한 거리 조성을 위하여 지켜야 할 사항- 불법부착 광고물(벽보/포스터 등)을 부착하지 않는다.- 불법유동 광고물인 에어라이트를 설치하지 않는다.- 불법유동 광고물인 입간판(배너 간판)을 내놓지 않는다.- 주민들의 보행에 불편을 주는 행위(상품적치 등)를 하지 않는다.문의 : 건설관리과 ☎ 02-2241-2967 주민이 만드는 방송, 성북마을TV를 개국합니다7월 4일, 성북마을TV를 정식 개국합니다.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하시면, 언제 어디서든 주민들이 직접 제작한 다양한 마을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PC 및 모바일 주소 : http://sbtv.kr방송시간- 정규방송 : 평일 11:0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2:00~24:00편성표 ( ※토, 일 12:0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무더위쉼터에서 더위를 피하세요운영시기 : 2016. 5. 30.(월)~9. 30.(금)(약 4개월 간)운영시간 : 09:00~18:00(※ 개소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이용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무더위쉼터 지정현황수용인원 : 6,127명지정개소(140개소) : 어르신사랑방(경로당) 116개소,주민센터 20개소, 복지시설(실버센터) 4개소※ 무더위쉼터 지정장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문의처로 연락 바라며, 무더위쉼터에는 표시판이 부착되어있으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input image무더위쉼터 표지판문의 : 어르신복지과 ☎ 02-2241-2526,동주민센터 및 4개 복지시설 제12회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녹색장터로 오세요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녹색장터는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 또는 교환하여 자원을 순환시키는 아.나.바.다 성격의 나눔장터입니다.장터 구매자 이용방법일시 : 2016년 7월 8일(금) 11~13시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3층 아리알찬홀대상 : 이용을 원하는 누구나재활용 장난감 판매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사용했던 장난감을 판매합니다.일시 : 2016년 7월 8일(금) 13시 ~14시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3층 아리알찬홀대상 : 이용을 원하는 누구나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 02-918-8080성북구 오패산로 10길 19(하월곡동 222-6) 밤길 귀가 무서우세요? 여성 안심귀가 스카우트 이용하세요!운영기간 : 2016. 12. 31.까지(※ 주말, 공휴일 제외)운영시간 : 월 22:00~24:00, 화~금 22:00~다음날 새벽 01:00성북구청 안심귀가 스카우트 상황실(☎ 02-2241-1900)이나 다산콜센터(☎ 120)를 통해 지하철역이나버스정류장에 도착하기 30분 전에 미리 전화로 신청하여 안심스카우트와 만나는 장소·시간 약속약속한 시간·장소에서 스카우트 유니폼(노란 조끼, 모자)을 입은 안심귀가 스카우트를 만나 2~3인으로 구성된 안심귀가 스카우트와 함께 안전하게 집에 도착문의 : 여성가족과 ☎ 02-2241-2575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으로 건강한 여름나기일상생활-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과 접촉하지 않는다.어패류 관리 및 조리- 어패류는 -5℃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어패류는 60도 이상 가열 처리한다.※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 동안 더 끓이고,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 이상 더 요리해야 함- 날생선 및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어패류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22 ]]> Sat, 25 Jun 2016 01:50:18 +0000 7 <![CDATA[여름, 그리움 하나 ]]> 그리움 하나전연복(돈암2동)아침에 일어나 버릇처럼 베란다로 갔다봉우리 부풀리던 나리가 예쁘게 꽃을 피웠다노란 꽃으로잠시, 꽃잎에 머문생각하나 기대고 눈을 감아본다잡힐 듯 가까이에 있는 너눈이 예뻤던 그 소녀미소 따라 나도 웃어본다검정 고무신에 까까머리 소년이황톳길 신작로를 지나 학교 가던 길노란 유채꽃이 보고 싶다그때처럼......input image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Fri, 22 Jul 2016 11:41:38 +0000 8 <![CDATA[성북형 복지체계, 세계에 알리다! ]]>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시대찾아가는 복지, 따뜻한 이야기를 품다성북형 복지체계, 세계에 알리다!input image2016 세계사회복지대회서울 성북구가 6월 27일부터 나흘간 이어진 전 세계 사회복지인의 대축제 ‘2016 세계사회복지대회’에서 서울시 대표로 나섰다. 성북구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의시범 구로서 마을민주주의와 복지전달체계를 결합한 독특한 시스템으로 사각지대를 줄이고 전달체계를 효율적으로 개편하는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특히, 주민 스스로 마을과 이웃의 문제를 고민하고 지역자원을 활용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주의에서 벗어나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고 관계망을 회복한 주민중심의 동네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이를 위해 민원행정 중심에서 주민 중심으로 행정체계를 개선하는 혁신의 필요성을 밝히기도 했다.심포지엄에 참석한 세계 복지 관계자들도 자살, 저출산, 고령화, 양극화 등 사회문제는 공공기관의 힘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이룰 수 없으며 지역 주민과 기관, 공공기관이 협치를 이루어 나가야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올 수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민간 분야에서는 이태수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가 복지전달체계 개편의 필요와 의의에 대해, 민관 거버 넌스 분야에서는 최성숙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장이 사회복지관 중심의 민관 거버넌스 지향점에 대해 발표를 했다.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06  온 마을이 품는 아이이미현 주무관(정릉2동) 동민(가명)이는 지금까지 ‘엄마’를 불러본 적도, 엄마를 본 적도 없습니다. 동민이의 엄마는 할머니입니다. 지적장애 할머니 손에 지금까지 길러진 동민이는 언제나 겨울아이였습니다. 우리가 동민이를 만난 것 역시 한겨울이었습니다. 동민이는 무표정으로 한 곳만 응시하고 작은 목소리로 미동도 없이 대답할 뿐이었습니다. 방 한편에는 늦은 아침식사의 흔적들로 김치와 김만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할머니는 당뇨에 정신과 약도 복용하고 있어 하루 종일 잠을 자는 날도 있습니다. 반찬을 하기 어려워 사다 먹지만 비싸서 김치와 김으로 지내는 날이 많다고 합니다.초등학교 4학년이 되었어도 자기 방은 물론 공부할 책상 하나 없는 동민이를 위해 온 마을이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지적장애 할머니와 동민이가 건강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종교단체에서 후원하는 밑반찬을 매주 지원하였습니다. 공부할 환경을 만들기 위해 큰아빠와 오랜 시간 상담과 설득을 통해 텔레비전이 놓여 있던 자리를 책상 자리로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MBC ‘무한도전’ 장학금에 동민이의 사연을 보내 컴퓨터를 지원받기도 했습니다. 동민이가 우리에게 마음을 연 것은 이때부터입니다. 그리고 이제 시작되었습니다. 동민이의 심적 안정을 위해 동반 자원봉사자와 함께 상담을 진행하였고, 멘토링과 학습지 수업을 통해 타인과의 교류 및 학습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몸과 마음이 아픈 할머니의 건강을 위해 방문간호 서비스를 강화하고 마음돌보미 파견을 진행 중입니다. 주민들의 마음을 모아 마련한 책상과 의자를 선물 받은 동민이는 이제 우리가 방문하면 아직은 수줍지만 우다다다 뛰어와 먼저 인사를 건넵니다. 이제 우리의 계절은 겨울을 지나 여름입니다. 우리가 동민이의마음을 모두 채워줄 순 없지만 동민이의 마음이 따뜻해질 수 있도록 손잡아 줄 수 있습니다. 온 동네가 나서면 할 수 있습니다. 성북구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소개합니다문화예술 콘텐츠 창작소 ‘(주)아츠컴퍼니 뜨락’input image㈜아츠컴퍼니 뜨락은 문화예술 체험활동을 통해 왕따, 폭력,자살 같은 청소년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예비 사회적기업입니다. 기업의 사회공헌 사업과 연계한 B2B 문화예술시장을 개척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기업교육으로 행복한 기업문화 조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교육 활동을 위해 저소득예술가를 우선적으로 채용하며 이들에게 일자리 제공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주요 사업- 아동, 청소년, 일반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기업, 기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연극 서비스문의 : 아츠컴퍼니 뜨락 ☎ 02-923-7792홈페이지 : www.artcom.kr   창단 30주년을 맞은 ‘(주)극단 아리랑’input image극단 아리랑은 전통연희의 현대적 재창조를 가치로 건강하고 개성 있는 작품들을 공연하는 단체입니다. 항상 젊은 사고로우리 식의 연극을 만들겠다는 각오 아래 창단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창작극을 제작 및 공연하고 있습니다.주요작품- 명랑시골로맨스 동백꽃(원작 김유정, 각색/연출 김동순)- 마당악극 신 홍도야 우지마라(원작 임선규, 연출 김명자)‘연극과 공동체’ 교육연구소 운영- 지역사회에 특화된 연극 강의 제공문의 : 극단아리랑 ☎ 02-741-5332홈페이지 : www.arirangv.co.kr]]> Fri, 22 Jul 2016 11:44:45 +0000 8 <![CDATA[성북동주민센터 1층, 주민쉼터로 새단장 外 ]]> 지난 5월 말 성북동주민센터 1층 출입구가 주민쉼터 공간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이는 2016년 주민참여예산 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동안 이곳은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을 연결하는 통로로 유휴공간이었으나 성북동의 지역특성을 살려 성곽모양의 서가와 홍보게시판, 원형의자가 놓이고 계단 주변은 밝은 조명과 사진전으로 꾸며져 있다. 1층 출입구는 정류장이 바로 앞에 위치해 있어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잠시 쉬어 가기도 하고, 3층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와 아이들은 서가의 책을 보며 휴식을 갖는 모습이 자주 눈에 띄어 주민쉼터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명예기자 고영자 돈암1동 돈암1동주민센터 ☎ 02-2241-5143홀몸어르신 초청해 경로잔치 열어input image돈암1동 새마을지도자협의회 회장 송대호, 돈암1동 3통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박은경씨 부부는 지난 5월 6일 자신이 운영하는 ‘하림 멕시칸 치킨’에서 관내 홀몸어르신 200여 분을 초청하여 점심식사 대접과 선물증정을 하였다. 송대호, 박은경씨 부부는 11년째 매년 경로잔치를 하고 있으며, 이번 행사는 ㈜하림, 세일학원, 농협 길음점 송성근·신명희·안철준·최진옥님에게 후원을 받아 어르신들에게 따뜻한 이웃의 정을 느끼게 하였다. 돈암2동 돈암2동주민센터 ☎ 02-2241-5164사랑의 보청기 기증식input image지난 6월 20일 돈암2동에서 성북 라이온스클럽 후원으로 「사랑의 보청기 기증식」이 열렸다. 이번 기증식에서 성북라이온스클럽은 300만원 상당의 보청기 32개를 돈암2동,성북동 및 월곡1동주민센터에 각각 10여 개씩 무상으로 기증하였다. 유재상 성북 라이온스클럽 회장은 “저소득 청각장애우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꼭 필요한 보청기를 무상으로 기증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기증식의 취지 및 소감을 밝혔다.성북 라이온스클럽에서는 보청기 이외에도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무료 연극 티켓도 함께 기증하여 훈훈함을 더했으며,이번 사랑의 보청기 기증식은 돈암2동 주민자치위원회 총무이자 성북 라이온스클럽 회원인 김선형 위원의 도움이 컸다. 정릉1동 정릉1동주민센터 ☎ 02-2241-5282이음마을 정(情) 나눔장터 성황리에 열리다지난 6월 18일 정릉1동에 아주 특별한 장터가 열렸다.2016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사업 중 ‘만남들로 엮어 가는 이음마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정릉1동 로터리에서 ‘이음마을 정 나눔장터’가 개최되었던 것이다. 장터는 어르신 건강부스, 환경자전거 체험, 풍선아트,목공예 체험부스, ‘다사랑’ 공연 등 여러 볼거리로 가득했고 ‘아나바다’의 의미에 걸맞게 중고 생활용품을 판매하였으며, 물품 판매 수익금의 일부는 자율 기부하여 훈훈한 감동을 선사하기도 했다. 이번 행사를 추진하는데 주축이 된 정릉1동 이음마을추진위원회는 앞으로도 이웃 간의 정을 나누는 마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명예기자 우은주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80몸과 마음이 가뿐하게 되는 정리 달인과 함께지난 6월 22일, 수납장 및 냉장고 정리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정리의 달인과 함께 정릉복지관 에너지 사랑방에 모였다. 요즘 같은 물건 홍수 시대에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정리가 필요하고, 그중 가장 먼저 해야 할 부분이 처분이라고 말했다. 버리자니 아깝고 두고 있어도 쓰지 않을 물건들은 과감하게 다른 사람들에게 양보하거나 처분을 하고, 그 후 정리의 순서로 나아가야 한다. 먼저, 옷을 거는 법과 접는 법,재활용 소품을 만드는 방법을 컨설턴트에게 배웠다. 바지를 정리할 때는 주머니가 보이도록 해야 하며, 티셔츠는 앞면의 무늬가 나오도록 해야 한다. 즉, 다음에 편리하게 찾을 수 있게 정리하는 방법도 중요하다 하겠다.그 밖에 스타킹 정리방법, 천연세제 만드는 방법, 투명용기를 이용한 냉장고 정리 비법도 알려주었다. 밖에는 장맛비가 국지적으로 내리고 있었지만 우리 정릉주부들의 학습 열기로 인해 복지관의 에너지 사랑방이 후끈 달아올랐다.명예기자 김수희 길음1동 길음1동주민센터 ☎ 02-2241-5460길음시장이 새롭게 변하고 있어요6월 23일 골목형시장(길음시장) 육성사업 개장식 행사가 열렸다. 이 사업은 빈 점포를 활용하여 청년창업을 지원하고 길음시장이 국내 대표 전통시장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그 결과 시장 입구 순댓국 맛집 주변은 한옥 분위기의 인테리어로 장식하였고 중앙 골목은 길거리 뷔페로 조성하였다. 상인회 사무실도 1층에 새로이 열어 상인들의 친목과 교육뿐 아니라 주민들의 건강, 취미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한다.시대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으면서 나날이 발전해 가는 길음시장! 우리 동네의 자랑이다.명예기자 석경희 월곡1동 월곡1동주민센터 ☎ 02-2241-5580성북지킴이, 저소득 청소녀에게 생리대 지원성북구 주민들로 구성된 자원봉사모임 성북지킴이 회원30명이 지난달부터 동네 청소녀 3명에게 6개월치 생리대를 지원하고 있어 화제다. 평소 회비와 함께 유산균 효모균 등 유용한 미생물로 발효액이나 빨랫비누를 만들어 판매한 수익금 일부를 생리대 구입에 사용하기로 뜻을 모은 것이다. 대상자는 회원들이 활동하는 기관 가운데 한 곳인 생명의전화복지관에서 형편이 어려운 청소녀를 추천해줬다.성북지킴이 임귀임 대표는 “조금밖에 도와주지 못하는데 반응이 너무 좋아 더 해보면 어떨까 싶다”고 전했다. 종암동 종암동주민센터 ☎ 02-2241-5848고사리 손으로 모았어요!저소득가구가 구입권을 통해 반찬과 과일을 직접 구매하여 먹거리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종암동 반찬하나 과일하나 지원사업’에 귀한 후원의 손길이 더해졌다.아랑어린이집(원장 강수연)이 원생들의 경제관념을 기르기 위해 물건과 현금을 교환하는 아랑알뜰시장에서 생긴수익금을 전달(180,000원)한 것이다. 한 원아는 사고 싶었던 장난감을 사지 않고 주는 것이라며 본인이 누군가를 도왔다는 것에 자랑스러워했다. 이 행사를 주최한 어린이집 관계자는 공동체를 생각하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며, 나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종암동주민센터는 앞으로도 관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학교 등을 대상으로 동마을복지사업 홍보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교육기관도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나눔 활동에 참여, 생활화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석관동 석관동주민센터 ☎ 02-2241-5760석관동 두산아파트 녹색장터 현장 속으로input image석관동 두산아파트공동활성화 단체인 ‘한울타리회’에서 지난 6월 11일, 녹색장터와 석관동 텃밭 번개장터를 열었다.사전에 신청한 주민들이 현재 쓰지 않는 물건들을 직접 판매하는 녹색장터는 주민들의 호응이 매우 좋았다. 특히, 어린이들이 자신이 쓰던 물건들을 가지고 나와서 직접 판매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울타리회에서는 친환경 탈취제와 떡볶이, 빈대떡 등의 먹거리를 준비하였는데 그 수익금의 일부는 불우이웃을 돕고, 일부는 동짓날팥죽 행사 등 주민을 위해 쓰인다고 한다.또한, 이날 석관동 텃밭에서 수확한 농작물을 판매하는 번개장터도 같이 열렸다. 공개추첨을 통해 선정된 성북구 주민들이 텃밭을 가꾸고 있는데 농약을 치지 않은 유기농 채소라는 점에서 인기가 많았다. 판매한 수익금은 연말에 불우이웃을 돕는다고 한다.명예기자 김소영]]> Fri, 22 Jul 2016 11:48:25 +0000 8 <![CDATA[성북구의회 제7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 성북구의회는 7월 11일부터 15일까지 제243회 임시회를 열고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를 이끌어갈 의장단과 상임위원장을 선출하고 상임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했다. 11일 22명 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의장 선거에서는 정형진 의원(4선, 더불어민주당)이 의장으로 당선되었으며, 부의장은 김태수 의원(3선, 새누리당)이 당선되었다. 정형진 의장은 당선 직후 동료 의원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신뢰와 의리, 인권과 화합을 바탕으로 22명 전 의원들과 책임있는 의회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태수 부의장은 “의장, 상임위원장과 호흡을 맞춰 상생·화합하는 의회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한편, 13일 열린 상임위원장 선거에서는 보건복지위원장에 목소영 의원, 도시건설위원장에 송영옥 의원, 행정기획위원장에 송대식 의원이 당선되었으며, 15일 진행된 운영장위원장 선거에선 조민국 의원이 당선됐다. 성북구의회는 이로써 7대 후반기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구성을 마무리했다. 성북구의회 제242회 제1차 정례회 폐회기간 : 2016. 6. 7.~6. 30.[24일간]내용 : 2015 회계연도 결산 및 행정사무감사 등 주요 안건 심사 결과원안가결▲ 2015 회계연도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승인안▲ 서울특별시 성북구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저소득층 아동 의료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2016년도 서울특별시 성북구 노인복지기금 운용 변경 계획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민의 날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 2016년도 성북구의회 행정사무감사 결과보고서 채택의 건수정가결▲ 서울특별시 성북구 지역보건법 위반 과태료 부과·징수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청소년 노동 인권 증진 조례안 ▲ 서울특별시 성북구 한부모가족 지원에 관한 조례안의견채택▲ 서울특별시 성북구 미아중심재정비촉진지구 존치관리구역내 재정비촉진계획(미아지구단위계획) 변경결정 구의회 의견청취안 구정질문김일영 의원, ‘뉴타운해제지역 신축 빌라’와‘공단 시설의 적자 경영’ 질의input image김일영 의원김일영 의원은 뉴타운해제지역인 장위13구역의 동시다발적인 빌라 신축 허가와 건축공사로 인해 각종 소음 발생, 통행 불편, 도로 파손 등 주민들이 겪고 있는 불편사항과 갈수록 심각해지는 주차문제에 대하여 질문했다. 또한, 성북구 도시관리공단에서 운영하는 시설이 계속되는 적자로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진다면 구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직시하고 경영 활성화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김영배 구청장은 장위13구역을 비롯한 재정비촉진지구에 대하여 재정비용역을 통해 계획적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며, 공단에서 운영하는 시설은 수익성보다는 공공성 측면에서 운영할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며 공단의 경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다시 한번 점검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5분 자유발언안향자 의원, 안암동 작은도서관 설립 및 공영주차장 건립 촉구input image안향자 의원“안암동은 성북구 관내 20개동 중 유일하게 문화시설이 전무한 지역으로 안암동, 보문동 지역주민들은 엄청난 소외감을 느끼고 있으며, 안암초등학교와 용문고 학생 중심으로 작은도서관 설립을 희망하는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안암동 주민들의 지역사회 소통공간과 문화공간 확보 및 자기능력 개발과 더불어 함께하는 올바른 공동체 활동을 위해 안암동에 작은도서관 설립을 강력히 촉구한다. 또한, 주택가가 많은 보문동과 안암동에 공영주차장이 유일하게 없다. 보문동은 제조업 봉제공장이 많아 퀵서비스 등 24시간 영업을 하는 영세업자들과 주변상가 상인들 사이에 주차문제로 잦은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안전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므로 보문동 지역에 공영주차장 건립을 촉구한다.” 진선아 의원, 상생하는 구정질문이될 수 있도록 협조 당부input image진선아 의원“의회의 꽃이라 하는 구정질문은 성북구를 위한 바람직한 정책을 제안하기도 하고 행정에 있어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는 자리다.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면 미비하거나 수정이 필요한 사항은 같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잘되게 해야 하는 것이 맞을 것이며, 민원으로 하게 된다면 어떻게 더 잘 해결될 것인지 서로 논의하고 구정질문으로 해결해야 될 것이다. 의회와 집행부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구정질문이 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리며, 6개월간의 준비 끝에 구정질문을 하는 의원들과 함께 논의하고 시정하며, 같이 고민할 수 있는, 성북구를 대표하고 대변할 수 있는 구청과 구의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의원 발의 조례 제개정 현황성북구 청사 부설 주차장 관리 조례 일부개정, 박학동 의원 대표 발의input image박학동 의원(권영애·김률희·김일영·김춘례·김태수·송영옥·오중균·이미영·이은영·이인순·정형진·조민국·진선아·박학동 의원 발의)제안이유성북구 청사 부설 주차장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일부 개정하여 주민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자 함주요내용- 1시간 무료, 1일 10,000원 등 요금 규정 추가-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대물 등의 사고나 차량 도난 등에 대한 손해배상 조항 신설 성북구민의 날 조례 일부개정, 박학동 의원 대표 발의(권영애·김률희·김일영·김춘례·김태수·송영옥·오중균·이미영·이은영·이인순·정형진·조민국·진선아·박학동 의원 발의)제안이유구민의 지역공동체 의식과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성북구민의 날’ 기념식과 문화 행사를 탄력적이고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주요내용- 매년 5월 7일만 개최하던 기념식과 문화행사를 변경·조정할 수 있는 근거 마련- 구민체육대회 항목 추가 등 행사 및 세부운영 내용을 현실 여건에 맞게 일부 수정 성북구 한부모가족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이인순 의원 대표 발의input image이인순 의원(김원중·김일영·김춘례·안향자·오중균·유경상·임태근·정형진·조민국·이인순의원 발의)제안이유한부모 가족이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한부모 가족의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함주요내용- 조례 제정의 목적과 용어 정의- 구청장의 책무 규정- 지원대상, 지원사업, 지원 중지 및 환수조치에 관한 사항 규정]]> Fri, 22 Jul 2016 12:57:38 +0000 8 <![CDATA[직장인을 위한 야간 금연클리닉 서비스 운영 外 ]]> https://bogunso.seongbuk.go.kr/)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2 2016년도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 신청 안내지원 대상 : 성북구에 사업장을 두고 사업자등록을 하고 3개월 이상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중소기업 또는 소상공인신청 기간 : 2016. 7. 1.~11. 30.대출 한도- 담보제공시 업체당 2억원 이내- 신용보증재단 보증시 업체당 5천만원 이내지원 조건 : 연 2%(1년거치, 3년 균등분할 상환)신청 서류 :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추천 신청서, 사업계획서,사업자등록증 사본, 지방세완납증명서 각 1부융자 상담 및 접수 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62담보제공시는 우리은행 성북구청지점(중소기업담당 ☎ 02-924-4161, 내선번호 220) 안전한 마을품 틈새돌봄 아동 모집성북구에서는 틈새돌봄 기관 3개소가 2016년 7월 새롭게 문을 열게 되어 아동이 생활하는 근거리 작은도서관, 새마을문고 등 총 14개 틈새돌봄 기관에서 아이들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운영 시간 : 13:00~17:00(반일형 기준 ※기관별 운영시간이 다소 다를 수 있음)대상 아동 : 방과후 돌봄이 필요하나 아동의 특성, 비용, 거리 등의 이유로 다른 돌봄 기관 이용이 어렵거나 일시적 돌봄이 필요한 아동제공서비스 : 방과 후 안전한 보호, 생활 및 숙제지도, 책 읽어주기, 책 놀이 활동 등의 다양한 교육, 문화서비스를 통한 틈새돌봄 제공위치 및 장소 : 2016. 7월 신규 틈새돌봄 기관 3개소input image※ 위 신규 3개소 외 틈새기관 이용은 성북아동청소년센터로 문의(길음1동 소리마을 작은도서관, 길음2동 새마을문고,보문동 새마을문고, 정릉1동 뒤죽박죽도서관, 꿈터 작은도서관, 삼선동 글빛누리 작은도서관, 석관동 책놀이터 작은도서관, 돌리네책빵 작은도서관, 종암동 기쁨이자라는 작은도서관, 쉴만한물가 작은도서관, 월곡1동 꿈틀작은도서관)문의 : 개별 틈새돌봄 기관 및 성북아동청소년센터 ☎ 02-2241-2455 2016년 하절기 복지사각지대 위기가정 집중 발굴집중 발굴 기간 : 2016. 7. 1.~8. 31.(2개월)input imageinput image어떤 사람을 찾아야 하나요?경제적·신체적으로 어렵거나 위기상황으로 정부나 민간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 또는 가구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긴급복지, 기초생활보장제도 등 정부지원(소득·재산 기준 등 충족시)- 소득기준에는 미달하지만 돌봄 등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가구 등의 경우 통합사례관리 대상자로 선정하여 지속 관리- 민간서비스 연계 대상자로 우선 선정, 방문 상담·후원물품 등 지원어디로 알려야 하나요?-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 보건복지콜센터 129(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129)- 복지로(www.bokjiro.go.kr)복지사각지대 발견 신고의무자 안내- 사회복지시설의 장·종사자, 장애인활동기관의 장·종사자, 의료인, 의료기관의 장·종사자, 보육시설의 장·종사자, 초중등 교직원, 여성보호시설의 장·종사자,통장 등의 경우 사회보장급여법에 따라 ‘신고의무자로 규정’, 지원이 필요한 사람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지체없이 신고하여야 합니다. 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69  거주자 주차공간, 함께 공유해요주차공유 사업이란 한정된 주차공간을 여러 사람이 함께 쓸 수 있게 해 지역 내 주차공간 부족문제를 해결하고 주차공간 제공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경제적 이득을 돌려주는 사업입니다.어떻게 참여하나요?- Google play와 App store에서 ‘모두의 주차장’ 앱을 다운받으신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주차공유 앱 사용방법- 주차공간 제공자(거주자우선주차장 배정받은 자)input image※ 이용요금 : 기본 30분 600원, 초과 10분당 200원※ 원하는 요일, 시간대에 자유롭게 공유가 가능합니다. 또한, 한번 공유 설정해 놓은 시간대는 수시로 변경 가능합니다.수익금 배분(공간 제공자 : 50%, 공단 및 앱 업체 : 50%)- 주차공간 제공자에게 직접적인 현금 입금 방식이 아닌 어플 내 포인트로 지급하여 포인트로 다른 주차장 이용 또는 1,000원 단위로 문화상품권 발급모두의 주차장과 함께하는 자치구성북구, 송파구, 금천구, 서대문구, 강동구, 동대문구, 광진구, 영등포구, 동작구, 용산구- 모두의 주차장은 주차 공유사업과 함께 전국 주요도시의 주차장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관기관들은 협력하여 ‘합리적인 주차문화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문의 : 교통지도과 ☎ 02-2241-3482, 성북구 도시관리공단 ☎ 02-914-2008모두의 주차장 ☎ 02-1899-8242, contact@moduparking.com, www.moduparking.com 공동주택 단지 내 민간어린이집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 안내지원기준리모델링 및 기자재비 : 최대 150백만원공동이용시설 개선비 : 최대 70백만원(10년 이상 무상임대 시)- 입주자대표회의, 기존 운영자, 자치구 간 합의하여 위탁체 선정(운영권 보장 : 5년)지원조건- 5년 무상임대 계약 종료 후 연장 계약 시에는 운영권 공개경쟁- 계약사항 위반 시 리모델링 및 기자재비 환수(매년 균등액 감가상각 적용)- 국공립어린이집 전환 시 단지 내 거주자의 영유아 우선 입소(50% 이내)전환절차- 참여신청(입주자대표회의 ▶ 성북구) ▶ 예산지원신청(성북구 ▶ 서울시) ▶ 예산지원결정(서울시국공립확충심의위원회)  ▶ 무상임대 협약체결(성북구 ▶ 입주자대표회의) ▶ 리모델링 후 국공립전환(성북구)- 전환신청 : 2016년 연중 가능문의 : 여성가족과 ☎ 02-2241-2556 담장을 허물어 무료로 주차장을 만들어 드립니다담장 허물어 주차장 만들기(Green Parking)사업이란?주택의 담장을 허물어 주차공간을 확보하여 주택가 주차난 해소 및살기 좋은 마을환경으로 개선하는 사업지원대상 : 담장 또는 대문을 허물어 주차장 조성이 가능한 주택※ 단, 가까운 장래 신축이 확정된 주택은 제외(뉴타운 지정지역,재개발사업 지역, 재건축 허가주택)지원내역- 담장 또는 대문을 허물어 주차장 조성- 담장을 대신할 방범창 또는 무인감시카메라(주택내부) 설치 등지원방법 : 주차장 조성은 구청과 계약된 전문건설업체가 공사대행(현금지원 불가)지켜야 할 사항- 임의로 담장을 다시 쌓거나 펜스, 자바라 등 설치 시 공사비 환수- 주차장 조성 후 최소 5년간 기능 유지사업절차건물주 신청(전화, 서면 등) → 현장방문 타당성 조사 → 지원여부 결정 → 설계협의(건물주, 구청, 시공사) 및 확정 → 공사시행 → 준공주차장 조성 사례(事例)input image문의 : 교통행정과 ☎ 02-2241-3415 자동차 공회전 집중단속 실시집중단속 및 홍보기간 :2016. 7월~9월(하절기)대상차량 : 모든 차량(이륜, 긴급, 냉동·냉장차량 제외)제한장소 : 서울시 전지역제한시간 : 휘발유, 가스, 경유 사용차량 2분 허용※ 대기온도가 25℃ 이상이거나 5℃ 미만일 때 5분 허용, 냉난방을필요로 하는 0℃ 이하이거나 영상 30℃ 이상일 때는 제한 없음제한방법 : 단속공무원이 공회전 차량 발견 시 공회전을 중지토록 경고하고, 시간을 계측하여 제한시간 위반 시 과태료 5만원 부과≪ 자동차 중점 공회전 제한 장소(학교주변, 차고지 등)에서는 사전경고 없이 즉시 단속 ≫문의 : 환경과 ☎ 02-2241-3032 2016년도 예비창업자 소자본 창업강좌 안내교육 대상 : 예비창업자 및 기존 창업 중인자수강 기간 : 2016. 9. 1.(목)~9. 2.(금) 2일간 운영접수 기간 : 2016. 8. 1.(월)~8. 30.(화)수강 인원 : 80여 명(※ 수강료 무료)주요 강좌내용 : 창업에 필요한 창업 절차 및 소상공인 지원정책, 사업계획서 작성 및 타당성 분석 ,세무 및 기업회계, 상권분석 및 입지선정, 창업 트렌드와 아이템 선정, 세무 및 기업회계 등접수 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62, 성북구 상공회 ☎ 02-909-8195 난방개선을 위한 집수리비용 융자지원 안내융자규모 : 150억원(서울시 기후변화기금)융자기간 : 2016. 12. 9.까지(단, 융자기금 소진 시 조기 종료)지원항목 : 단열창호, 단열재, 고효율보일러·고효율LED조명 교체 등취급은행 : 우리은행(보증보험은 서울보증보험 가입)융자절차 : 융자신청 → 융자심의 → 대출심사 → 사업시행 → 사업결과보고 → 대출실행문의 : 환경과 ☎ 02-2241-3022 우울·자살 고위험 독거어르신의 새로운 가족, 마음가족을 모집합니다성북구자살예방센터는 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의 지원을 받아 돌봄 사각지대에 있는 어르신을 위한 마음돌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울·자살 고위험 독거어르신에게 가족이 되어주고 희망을 전달해주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합니다.모집 동 : 장위1동, 장위2동, 월곡2동, 석관동내용 : 주 1회 정기적 안부전화 및 월 1회 가정방문 상담, 우울·자살 위험에 처한 어르신 발견시 전문기관으로 연계,어르신과 함께하는 정서지지 프로그램 참석 등문의 : 성북구자살예방센터 ☎ 02-916-9118(성북구 오패산로 21, 3층) 자동차 배출가스 무료점검의 날 안내자동차 배출가스 무료점검은 운행시 배출되는 배출가스가 「대기환경보전법」 제57조에 따른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지를 무상으로 점검하여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자진 정비토록 하는 제도입니다.점검일시 : 매월 첫째주 화요일 14:00~16:00(※ 공휴일일 경우 그 다음주 화요일)점검장소 : 북악터널 앞 국민대학교 정문 건너편점검내용 - 휘발유·가스차량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공기과잉률, 질소산화물- 경유차량 ⇒ 매연문의 : 환경과 ☎ 02-2241-3032 여권·국제운전면허증 원스톱 서비스 시행2016년 5월 2일부터 여권 발급시 한 번의 방문으로 여권과 국제운전면허증을 동시에 발급합니다 .기존 서비스- 여권발급(지자체)- 국제운전면허증 발급(경찰청 및 운전면허시험장)※ 2개 기관 방문원스톱 서비스- 여권발급 신청시 국제운전면허증 발급 신청 접수(지자체→운전면허시험장 이송)→운전면허시험장 발급→ 지자체 교부 ※ 1개 기관만 방문문의 : 민원여권과 ☎ 02-2241-4502 Bye 인감, Hi 서명!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한 본인서명사실확인서를 발급 받으세요.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본인이 직접 서명하고 기재한 내용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하며, 전국 시·군·구청 민원실 및 읍·면·동 어디서나 발급 가능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100세 시대 매달 생활비를 드리는 ‘주택연금’가입대상 : 부부 중 1인 만 60세 이상이면 가입 가능(공사법 개정으로 주택소유자 기준 만 60세 이상에서 부부 중 1인이 60세 이상이면 가능)주택대상 : 아파트, 연립, 다세대, 단독(보유주택 합산 가격이 9억 이하인 다주택자 가입가능)연금지급액 : 연령과 주택가격에 따라 결정(집 값 하락과 무관)주요 특징 : 연금 수령액이 주택가격 초과시 초과금액은 정부가 부담, 연금 인출한도 50% 내에서 수시로 의료비 등 용도로 목돈 인출 가능, 이사, 재개발·재건축되어도 주택연금 계속 이용 가능문의 : 한국주택금융공사 서울북부지사 ☎ 02-3499-3341, 3342, 3343]]> Fri, 22 Jul 2016 13:53:07 +0000 8 <![CDATA[당신이 바라는 마을은 어떤 모습인가요? ]]>   나와 내 이웃의 손으로 마을을 계획합니다동선동과 종암동 마을총회 개최 현장 속으로올 초 동선동과 종암동 주민들이 마을계획단으로 모여 마을의 미래를 상상해 봤습니다. 머리를 맞대고 마을 구석구석을 발로 뛰며 일상의 문제를 찾고 함께 고민해왔습니다. 그 고민의 결과를 공유하고 결정했던 지난 6월 동선동, 종암동 마을총회의 그 뜨거운 현장 모습과 최종 결정된 마을계획 안건을 소개합니다. 마을계획이란?마을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찾아보고 해결 가능성을 파악하여 우리 마을을 어떤 마을로, 어떻게 만들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과정입니다. 마을계획단은마을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며 우리 마을의 변화를 이끌어 나가는 주민모임입니다. 마을계획 수립과정input image 마을총회, 타운홀미팅으로 공론의 장을 열다input image마을총회는 마을계획단이 발굴·논의·선정한 사업을 숙의하는 공론의 장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제안자가 주민에게 직접 사업에 대해 설명한 후 질의응답을 통해 사업을 평가받는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마을총회에 참석하지 못한 주민을 위해 성북마을TV로 생중계하여 양방향 소통 채널을 마련하기도 하였습니다. 사업 우선순위는 총회 전·후 일주일 간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전자투표와 당일 현장투표를 합산하여 선정했습니다. 마을총회 결과input imageinput image2016년 하반기에는 성북동, 삼선동, 보문동, 정릉2동에서도 마을계획을 수립합니다. 나와 내 이웃이 사는 우리 마을이 더 즐겁고, 더 안전하고, 더 건강해지도록 많은 참여 바랍니다. 주민이 마을의 꽃입니다. ]]> Fri, 22 Jul 2016 11:34:38 +0000 8 <![CDATA[성북구 최초의 학교 무산아동을 위한 삼산학교 ]]>   현재 성북구에는 6개의 종합대학교와 14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이는 사대문과 가깝다는 지리적 요건때문일 터이지만 한편으로는 성북구 지역의 높은 교육열의 반영일 것이다. 그리고 이런 높은 교육열의 단초는 성북리(당시 주소)에 세워진 삼산학교(三山學校)에서 찾을 수 있다.19세기 말 개항으로 시작된 근대화라는 거대한 파도는 대한제국을 덮쳤고, 교육도 그 거대한 변화에 적응해야 했다. 1895년 소학교령, 1899년에는 중학교관제가 대한제국 정부에 의해 제정되었다. 민간에 의한 사립학교 설립도 가속화되었는데, 황현이 지은 「매천야록」에 의하면 1910년 국권을 상실할 때까지 전국에 3,000여개의 학교가 설립되었다고 한다. 성북동 삼산학교의 설립은 이런 사회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다.1908년, 삼산학교가 처음 세워졌을 때의 이름은 삼산의숙(三山義塾)이었다. 성북동은 물론 성북구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의 설립이었다. 당시 성북동에 거주하던 김수영(金洙榮)은 성북동에 제대로 된 근대식 교육기관이 없음을 아쉬워했고, 지역유력자들에게 근대식 학교의 설립을 제안했다. 봉시(奉侍)황수연(黃壽延)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는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학교를 세우는 자금을 제공했음은 물론 자비를 들여 소풍비용을 대고, 공책과 연필 등의 학용품도 제공했다.일본에게 국권을 빼앗긴 이후에도 삼산의숙은 계속유지되었다. 황수연의 적극적인 노력 때문이었다.그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 없을 때에도 홀로 학교를 운영하였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비를 받지 않고 무상교육을 실시했다. 1912년에는 드디어 첫 졸업생도 배출했다.1916년 사실상 홀로 삼산의숙을 운영하던 황수연이 별세했다. 삼산의숙은 자금난에 부딪치게 된다.지역 주민들이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 돈을 걷어 운영 경비를 대기도 하였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다. 지역유지, 면장 등이 적극적으로 학교를 지키려 노력하여 간신히 유지될 뿐이었다. 무엇보다 성북동 부호들이 삼산의숙 운영에 관심이 없었다.1930년부터 삼산의숙은 삼산학교로 불리기 시작한다. 당시 삼산학교는 4년제 사립학교로 정규학교가 아니었다. 1930년 일본 와세다대학을 졸업하고 보성고등보통학교 선생으로 재직하던 하윤실이 교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삼산학교를 6년제 보통학교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이때 당시 그의 부인이었던 김일엽(金一葉, 1896~1971)도 잠시 이 학교의 교편을 잡았다. 하지만 보통학교로 승격되기 위해선 자금력이 필요했고, 결국 승격이 무산되고 말았다. 하지만 공립학교 승격 노력은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결국 1943년 3월 3일 공립국민학교로 바뀌게 된다. 운영의 어려움을 성북동 주민의 끈질긴 노력과 단합으로 이겨낸 결과였다. 무상교육도 계속해서 실시했던 것으로 보인다. 단, 토지 소유가 개인에서 경성부로 바뀐 것을 보면 아마도 국가에 기부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것 같다.해방 이후인 1946년 2월, 삼산학교는 다시 공립학교로 승격되고, 9월 경성성북공립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바로 우리가 아는 지금의 서울성북초등학교이다. 1908년에 설립되어 이미 100년을 훌쩍 넘긴 이 학교의 역사에는 지역 아동들의 교육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의 치열한 노력이 담겨 있다.(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input image『대경성부대관(大京城府大觀)』 (조선신문사, 1936) 중 성북정(城北町, 일제강점기 성북동의 이름) 부분. 지도 오른쪽 하단에 ‘삼산소학교(三山小學校)’라는 표기가 보인다. 당시에는 지금의 성북초등학교 자리가 아닌 그보다 더 깊숙히 들어가야 하는 이강공저(李堈公邸, 현 성락원) 초입에 학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input image서울성북초등학교. 1942년 공립삼산국민학교로 인가되어 제1대 하윤실 교장이 취임하였고 1946년 서울성북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마을 안에서 물놀이! <제2회 성북문화바캉스>input image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도심 속 문화바캉스, 학교에서 펼쳐지는 여름 물놀이 ‘제2회 성북문화바캉스’가 개최됩니다.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주민들에게 집 근처에서 편하게 즐기는 물놀이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성북문화바캉스’는학교 안에 물놀이장을 만들어 휴가를 떠나지 못하는 주민들이나 아이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바캉스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input image입장료 : 무료(수영모 또는 모자를 반드시 착용해야 풀장 입장이 가능합니다.)※ 주차가 불가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문의 : 성북문화재단 ☎ 070-8644-8322 미디어로 만드는 마을, 성북마을TV 8월 주간편성표마을이 만드는 방송, 성북마을TV!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하시면, 언제 어디서든 주민들이 직접 제작한 다양한 마을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방송시간- 정규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편성표 (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성북구자원봉사센터 여름방학(8월) 청소년 봉사활동 안내input image※ 봉사활동 신청은 1365 자원봉사포털(www.1365.go.kr)에서만 가능합니다.문의 : 성북구자원봉사센터 ☎ 02-2241-2366 한국문화대학 제5기 수강생 모집성북구 한국문화대학은 지역주민들의 노후대비 제2의 인생을 준비하도록 돕는 기관입니다.100세 시대, 삶의 시간이 길어진 만큼 ‘얼마나 건강하고 알차게 살아갈 것인가’는 우리 모두의 바람이자 과제가 되었습니다. 성북구 한국문화대학은 이러한 염원을 담아 인생 후반기 삶이 더욱 풍요롭도록 다음과 같이 강의를 실시하고자 합니다.모집기간 : 2016. 7. 18.~8. 31.교육장소 : 삼선동주민센터 2층 강의실교육기간 : 2016. 9. 1.~2017. 2월(1학기 6개월)등록금 : 9만원(수강료 무료)접수처 : 성북구청 12층 북카페강의내용 : 태극기공 건강수련법, 신비로운 마술강좌, 컨디션조절운동, 행복한웃음운동, 즐거운 노래교실, 댄스스포츠 강사자격증반, 전통국악교실, 36시간 수강으로 한문교사자격증 취득, 역사탐방 문화강좌, 경매실전·상속세법·임대차세법접수 및 문의 : 한국문화대학 ☎ 02-922-3233, 02-927-3233 통쾌한 수다, 유쾌한 마을을 만나다<마을 in 수다>input image성북구립도서관에서 열리는 일상에서 부딪히는 질문에 대해 이웃과 함께 편안하게 공론하고 이해하는 자리인 ‘마을 in수다’가 지난 6월 28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각 주제에 맞는 자문위원과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도서관에 질문을 던지며 고민을 함께 이야기합니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내 안의 물음표, 지나치지 말고 유쾌한 사람들과 통쾌한 수다를 시작해 보세요. ‘마을 in 수다’는 11월까지 구립 도서관, 사립 작은도서관에서 진행됩니다.8월 마을 in 수다input image접수 및 문의 : 도서관기획팀 ☎ 070-8644-8326홈페이지 : www.sblib.seoul.kr 블로그 : sblib.tistory.com 성북문화원 2016년 가을학기수강생 모집(9~11월, 12주 과정)강좌기간 : 2016. 9. 1.(목)~11. 23.(수), 총 12주접수기간 : 2016. 8. 1.(월)~8. 31.(수),접수방법 : 인터넷 및 방문접수(성북문화원 2층 사무국)무료참관기간 : 2 016. 7. 25.(월)~7. 29.(금)(사전접수 필수)강좌내용- 성인 강좌 : 경기민요, 선소리산타령, 대금·단소, 장구, 규방공예, 스포츠댄스, 한국무용(초·중급, 심화), NEW생활요가, 사군자, 수묵산수화(A·B), 한글서예, 한문서예(A·B), 동화구연가/시낭송가 양성과정, 문예창작실기, 기초소묘에서 유화까지, 유화로 그리는 인물화, NEW수채화,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 원어민영어회화(NEW기초) 초급, 중급, 고급- 어린이 강좌 : 어린이 역사교실(초4~초6), 어린이 한자교실(초1~초4), 원어민 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유아발레(Level 1, Level 2), 어린이 미술체험(A·B)-  NEW야간강좌 : NEW원어민 중국어회화(초급), NEW한국사능력검정시험, NEW생활요가※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주세요.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홈페이지: http://www.isbcc.or.kr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클래식 프로그램 <수박Su-Vac프로젝트>input image문의 : 꿈의숲아트센터 ☎ 02-2289-5411]]> Fri, 22 Jul 2016 13:07:41 +0000 8 <![CDATA[어르신 행복도시 성북의 맞춤형 건강교육 ]]> 성북구가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건강교육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안암동 방문간호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5월부터 65세 이상 허약 어르신을 대상으로 ‘어르신 건강디딤돌 교실’을 실시한 것이다.오는 10월까지 총 2기, 각 8회차로 진행되고 매주 수요일 방문간호사의 지도로 운영되는 ‘어르신 건강디딤돌 교실’은 매주 혈압, 혈당측정부터 스트레칭, 근력운동, 낙상예방을 위한 중심운동까지 실생활에 꼭 필요한 검진과 신체활동이 병행되며 매 주차별 올바른 생활습관 실천지 과제활동을 통해 자가건강관리실천을 독려한다. 특히 관절염과 만성질환으로 허약해진 어르신을 중심으로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신체적 질병과 노년기 우울증 등의 정서적인 문제까지 아우르는 교육으로 어르신들의 행복한 노후생활을 돕고 있다.매회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한 어르신은 “팔과 다리에 힘이 생기고 걸을 때 통증도 덜하다. 나처럼 집에만 있는 노인네들이 운동교실에 참여하면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렇게 건강교육을 해줘서 사는 것이 정말 행복하다”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한편, 안암동에서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사업으로 맞춤형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건의 날을 운영하고 있으며 ‘건강통마음통’ 상담실에 방문하면 언제라도 혈압과 혈당측정, 건강상담도 받을 수 있다.문의 : 안암동주민센터 ☎ 02-2241-5222 마을의 건강을 지킨다!input image지난 6월 23일, 30일 구립 길음2동 경로당과 동부센트레빌 아파트 경로당에서는 ‘찾아가는 우리동네 척추·관절체조 교실’을 진행하였다. 이번 교실은 길음2동과 서울척병원이 체결한 ‘구슬땀 프로젝트’ 사업협약에 따라 지역 어르신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개최하였다. 이상묵 선생님(서울척병원 운동처방사)의 지도하에 척추·관절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체조를 하였고 그 후에는 평소 본인들의 질병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동마을간호사가 어르신들의 혈압과 혈당측정을 통해 만성질환 관리상담을 진행하였다.이번 구립 길음2동 경로당을 시작으로12월 22일까지 지역 내 경로당 4곳(길음2동구립, 동부센트레빌, 송산, 송석원)을 순회하며 매주 체조교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지난 6월 24일 길음2동주민센터 강당에서는 통·반장과 직원들이 함께 응급처치 교육을 받아 주민의 귀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응급상황 대처능력을 향상시키는 귀중한 시간을 가졌다.문의 : 길음2동주민센터 ☎ 02-2241-5833 제2의 인생input imageinput image오늘은 제2의 열정과 사랑을 쏟고 있는장위2동 청춘교실을 찾아갔다. 연일 이어지는 뜨거운 불볕 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70세 이상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열중하고 계시는 김혜자 강사님(72세)을 소개하고자 한다. 강사님은 “아휴, 말없이 봉사하시는 분들이 더 많은데 내가 뭘” 하고 다소곳이 소녀같은 미소를 보이신다. 분위기가 너무 좋아서 “저도 회원으로 들어와도 되나요?” 하고 여쭸더니, “안돼. 아직 청춘교실 오기는 젊어. 다음에 오도록해”라고 웃으며 수업하시는 모습이 어찌그리 아름다우신지.“우리 강사님은 너무 훌륭하시지”라고 어르신들 모두 칭찬을 하시며, 요즘 강사님 덕분에 황혼이 찬란히 빛난다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셨다. 어르신들과 같이 웃고 남보다 봉사를 앞장서서 하시는 강사님! 그 모습이 참으로 따뜻하기에 「열정 인생 이모작」에 글을 올린다. 장위2동 사랑하는 김혜자 강사님, 건강하세요. 파이팅!명예기자 강희자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 주제 : 마음의 감기, 우울증 다스리기강사 : 김의중 교수(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일시 : 2016. 8. 1.(월)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신청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Fri, 22 Jul 2016 13:13:26 +0000 8 <![CDATA[우울증 및 스트레스 발생이 높은 50대를 위한 정신건강 검진·상담 지원사업 ]]> 문의 : 보건소 의약과 ☎ 02-2241-6135, 6136 2016년 하반기 건강튼튼 운동교실교육기간 : 2016년 8~12월대상 : 만20세~만 64세 대사증후군 검진 대상자장소 : 동선보건지소 4층 강당(성북구 아리랑로3길 8)모집기간 : 2016. 8. 1.(월)~2.(화)모집인원 : 각운동교육별 선착순 25명/대기자 10명접수방법 : 대사증후군관리센터 전화접수(09:00~17:00) ☎ 02-2241-6221, 6226※ 운동교실은 3가지 중 1가지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교실 신청 후 4회 이상 결석 시 자동탈퇴 됩니다.1. 전신 순환운동시간 : 매주 월·목요일, 13:30~14:30(2016. 8. 18.~12. 22.)내용 : 매트 위에서 전신을 이용한 근력체조 및 스트레칭 운동input image2. 코어바디 근력운동시간 : 매주 화·목요일, 17:00~18:00(2016. 8. 16.~12. 22.)내용 : 짐스틱 및 케틀벨 등 소도구와 자신의 몸을 이용하여 전신의 근력과 밸런스를 강화하며 몸의 중심부인 척추와 골반을 강화시키는 운동input image3. 바디라인 댄스시간 : 매주 화·목요일, 18:30~19:30(2016. 8. 16.~12. 22.)내용 : 즐거운 음악에 줄을 맞추어 추는 춤으로서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있는 동작으로 구성된 유산소 운동input image접수 및 문의 : 대사증후군관리센터 ☎ 02-2241-6221, 6226 8월 주민주도 성북구민 걷기행사세계문화유산이 살아 숨쉬는정릉 산책로 걷기input image일시 : 2016. 8. 27.(토) 09:00~11:00장소 : 정릉문화재 내 매표소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신청없이 무료참여)코스 : 정릉 산책로(2.1km, 약 1시간 소요)정릉문화재 내 매표소(출발) → 정릉 산책로 → 아리랑 전통시장(도착)주최·주관 : 성북구 걷지우연합회·성북구 전통시장 상인연합회행사내용 : 건강체조, 걷기운동, 건강한마당 운영, 경품행사 등찾아오시는 길(주차장 이용불가)- 버스 162, 1014, 2115 : 정릉입구(구 아리랑시장) 하차 → 도보 10분- 버스 153, 171, 1114, 1213, 7211 : 정릉2동주민센터 하차 → 도보 10분- 버스 1162 : 산장빌라 하차 → 도보 5분※ 행사당일 오전 9시까지 오셔야 무료입장 및 걷기대회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 : 보건소 의약과 ☎ 02-2241-6135, 6136 하반기 척척박사 예비맘 교실일시 : 2016. 9. 23.~10. 21.(매주 금요일) 14:00~16:00장소 : 보건소 9층 sb문화홀대상 : 임산부 및 가족강사 : 출산준비교실 및 모유수유 전문가참여방법 : 전화예약필수 예약 및 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07성북구보건소 모유수유 프로그램예비엄마·아빠를 위한 토요 모유수유 교실대상 : 임산부 및 가족일시 : 매월 둘째주 토요일 10:00~12:00장소 : 보건소 4층 보건교육실강사 : 국제모유수유전문가 문의 : (사전예약필수)건강관리과 ☎ 02-2241-6003, 6007모유수유 클리닉모유수유로 내 아이의 건강을 지켜요!대상 : 모유수유에 관심있는 엄마와 아기강사 : 국제모유수유전문가일시 및 장소input image※ 강의순서는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Fri, 22 Jul 2016 13:17:04 +0000 8 <![CDATA[제22회 동덕여대와 함께하는 성북어린이 환경학교 ]]> dalki97@sb.go.kr)※ 신청서 양식은 성북구 홈페이지 모집강좌 게재세부 프로그램 일정(※ 참가비 무료)input image※ 교육일정과 시간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문의 : 환경과 ☎ 02-2241-3005 다문화가족 사회통합 프로그램 참여 안내행복한 엄마, 신나는 아이일자 : 7 ~9월 매주 토요일 10:30~12:30프로그램 내용 및 모집인원- 부모의 자아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 다문화가족 부모 10명- 자녀교육 역량강화 프로그램 : 다문화가족 부모 10명- 한국어 및 상호문화이해 프로그램 : 다문화가족 부모·자녀 10가정-  즐거운 체험학습(한글박물관, 잡월드) : 다문화가족 부모·자녀 10가정장소 : 한성대학교 언어교육원(종로구 창경궁로 254 한성대학교 에듀센터 805호)신청방법 : 전화접수(☎ 02-760-4374, 4406), 이메일(klp4374@naver.com)곰세마리 어린이도서관과 [우리함께]프로그램 내용 및 일정- 책과함께 : 1:1 멘토링 수업 7~10월 주 1회(50분)/10회 수업(※ 멘티상황에 따라 시간, 요일 조정 가능)- 성북사랑 : 성북구 내 유적과 문화재 체험 7~10월 매주 토요일 10:00~12:00, 주 1회(2시간) / 4회 수업모집인원 : 초등학생 10명(다문화아동)장소 : 곰세마리 어린이도서관(성북구 삼선교로 54)신청방법 : 전화접수(☎ 02-742-3385) 2016년 핫핫핫 ! 뜨거운 여름, 즐겁게 일하자!봉제업 종사자를 위한 건강교실일시 : 2016. 8. 9.(화)~9. 1.(목) 19:00~21:00(매주 화·목 총 8회)장소 : 상월곡 실버복지센터(월곡2동주민센터 옆)대상 : 성북구 봉제업 종사자(30명으로 제한)강의내용 : 통증과 자기관리, 디스크 예방, 마음건강, 호흡기건강, 스트레칭 운동, 가족건강(고혈압, 당뇨, 관절염),100세 인생 등접수기간 : 2016. 7. 25.(월)~8. 5.(금)문의 및 접수 : 일자리경제과 02-2241-4727 구민정보화교육 8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7. 27.(수) 09:00~28.(목)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7. 29.(금)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input image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청연(蒼然) 한리우(韓利愚) 선생이 들려주는 ‘논어 인문학 강좌’ 수강생 모집시간 : 매주 토요일 오전 10:00~12:00강좌내용 : ① 논어를 통해 본 자연과 인간의 조화② 실용적인 건강관리의 요령장소 : 석관동주민센터 3층 강의실(성북구 화랑로 296)대상 : 인문학에 뜻을 두고 기회를 찾던 분들수강료 : 월 10,000원접수시작 : 2016. 7. 25.부터(선착순 25명)개강일 : 8월 초(예정)문의 : 석관동 ☎ 02-2241-5764]]> Fri, 22 Jul 2016 13:20:20 +0000 8 <![CDATA[우리는 올해도 한강으로 피서 간다! ]]> 물놀이, 공연, 휴식 …다채로운 한강 몽땅 여름축제풍성한 프로그램으로 꽉 채운 2016 한강 몽땅 여름축제가 오는 8월 21일까지 11개 한강공원에서 일제히 열린다. 우선 뚝섬·잠원·여의도한강공원에 캠프 총 430개 동이 운영된다. 이용 요금은 텐트 1개동에 주말(금,토,일), 공휴일은 25,000원, 평일은 15,000원이다. 한강 여름캠핑장 홈피(hancamp.co.kr)에서 선착순 접수 받는다. 예약 및 취소문의 ☎1544-1555여름 무더위를 식히는 시원한 물놀이도 펼쳐진다. 종이골판지를 이용해 배를 직접 제작하고 그 배로 한강에서 레이스를 펼치는 한강종이배 경주대회, 높이 10m, 길이 150m의 초대형 워터 슬라이드 더 시티도 기대를 모은다. 종이배경주대회 참가비는 팀당(4인) 6만원이다. 뚝섬 한강공원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더 시티는 오전 2만원, 오후 2만5천원, 종일권 3만원이다. 신청은 슬라이드더시티 홈페이지(slidethecity.co.kr)에서 하면 된다. 문의 ☎ 2202-1733 여의도한강공원에서 출발하여 밤새 한강 야경을 만끽하며 일주하는 한강나이트워크도 눈여겨볼 프로그램이다. 42km, 25km 코스로 구성되며, 42km 코스의 경우 한강대교에서 광진교까지 11개 다리를 경유한다. 한강나이트워크 홈페이지(nightwalk42k.c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문의 ☎ 070-4705-3571 영화, 재즈, 서커스…골라보는 재미가 있다!한강 몽땅 여름축제에서는 한강 다리 밑도 특별한 문화공간이 된다. 7월 16일(토)부터 8월 20일(토) 매주 토요일 저녁 8시 ▲광나루 천호대교, ▲뚝섬 청담대교, ▲여의도 원효대교, ▲망원 성산대교 아래에서 매주 독특한 주제의 영화가 상영된다. 거리 예술가들의 수준 높은 공연도 흥겨움을 더한다. 어쿠스틱공연, 형광퍼포먼스, 마술쇼 등 다채로운 공연이 매일 펼쳐진다. 특히 반포 한강공원 세빛섬 일대에서는 온가족을 위한 재즈 공연이 펼쳐지고, 어린이를 위한 재즈 모험단 재키즈 공연도 열린다. 또, 반포한강공원 세빛섬에서는 한강달빛서커스가 펼쳐진다. 다양한 수상레포츠, 가족 친화 프로그램 ‘풍성’한강 몽땅 여름축제에서는 한강 다리 밑도 특별한 문화공간이 된다. 7월 16일(토)부터 8월 20일(토) 매주 토요일 저녁 8시 ▲광나루 천호대교, ▲뚝섬 청담대교, ▲여의도 원효대교, ▲망원 성산대교 아래에서 매주 독특한 주제의 영화가 상영된다. 거리 예술가들의 수준 높은 공연도 흥겨움을 더한다. 어쿠스틱공연, 형광퍼포먼스, 마술쇼 등 다채로운 공연이 매일 펼쳐진다. 특히 반포 한강공원 세빛섬 일대에서는 온가족을 위한 재즈 공연이 펼쳐지고, 어린이를 위한 재즈 모험단 재키즈 공연도 열린다. 또, 반포한강공원 세빛섬에서는 한강달빛서커스가 펼쳐진다.문의 한강사업본부 ☎ 3780-0597input image 서울 이웃 분쟁조정센터 이용하세요이웃과 갈등이 발생한 경우, 이제 당사자 간 직접 해결하려 하지 말고 서울이웃분쟁조정센터의 도움을 받아보자. 서울이웃분쟁조정센터 조정위원은 변호사, 변리사, 법무사, 전문 조정인, 소통 전문가, 법원화해권고위원, 마을공동체 위원, 서울시 갈등관리심의위원 등 25명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이웃간 분쟁 해결을 돕고 있다. 조정 대상 : 층간소음, 건축 소음·분진, 쓰레기 투기, 주차, 명예훼손, 애완동물, 소액분쟁, 가벼운 폭행 등 이웃 사이의 생활 분쟁조정 절차 : 신청→사전 상담(상담원)→조정(조정위원) 접수 및 상담 시간 : 10:00~17:00(월~금, 휴일 제외)위치 : 서울시 서소문청사 1동 1층(시청역 ①, ⑫ 출구)문의: 서울 이웃 분쟁조정센터 ☎ 2133-1380 희망 두배 청년 통장 가입하세요서울시는 저소득층의 자산형성을 통한 자립지원 사업인 청년의 꿈을 응원하는 희망두배 청년통장 하반기 신규참가자 500명을 모집합니다.모집인원 : 500명신청기간 : 2016년 8월 8일(월) ~ 8월 31(수)신청자격 : 소득 월 200만원 이하(세전), 부양의무자 소득 인정액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공고일 기준 만18세∼34세 이하, 연6개월 이상 근로한 자 또는 근로중인 자저축목적 : 주거, 결혼, 교육, 창업 등기간 및 금액 : 2, 3년 중 선택/ 5, 10, 15만원 중 택1신청장소 : 거주지 동주민센터 방문접수제출서류 : 시홈페이지(www.seoul.go.kr) 또는 자치구 홈페이지 내려받기문의: 희망복지지원과 ☎ 2133-7380 서울시 홍보대사와 함께하는 토요일은 청이 좋아!이광기 특강 : 7.30(토) 14:00 박수홍 특강 : 7.31 (일) 14:00장소: 시청 활짝 라운지(무료)문의: 시민청 ☎ 739-5818]]> Fri, 22 Jul 2016 14:00:43 +0000 8 <![CDATA[지역주택조합 꼼꼼하게 따져보세요 ]]> - 조합원모집 과정에서 세대수, 층수 등 확정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95% 이상의 토지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지확보 가능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지역주택조합 설립 신청요건을 따져보세요!- 조합원 자격을 가진 자가 주택건설 예정세대수의 1/2 이상(최소 20명 이상)이, 해당 주택건설 대지의 80% 이상 토지사용승낙서를 징구하여 조합설립을 위한 창립총회 개최 후 제반서류와 함께 조합설립 인가 신청을 해야 합니다.※ 더 많은 지역주택조합 관련 자료를 보고 싶은 경우에는 성북구청 홈페이지 우측 상단의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를 선택하여 게시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지역주택조합 꼼꼼하게 따져보세요!’ 홍보물은 구청과 각 동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문의 : 주거정비과 ☎ 02-2241-2913, 2915 ‘우리동네 절전왕’에 도전하세요!평소 전기를 아껴 쓰는 가정을 대상으로 ‘우리 동네 절전왕’을 선발/시상하여 우수사례를 널리 알리고, 구민의 자발적 에너지 절약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는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신청자격 : 성북구 거주 세대(아래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현재 성북구 거주 세대)신청기간 : 2016. 7. 18.(월)~8. 12.(금)대상기간 : 2015. 10월~2016. 3월(6개월)신청방법 : 참가신청서 제출※ 성북구청 홈페이지 ‘성북구소개-구정소식-모집강좌’ 2174번 게시물 참조제출방법 : 이메일, 우편, 방문 제출- 우편, 방문 : (02848)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환경과(11층) ‘우리동네 절전왕’ 담당자 앞(☞ 8월 12일 소인 유효)- 이메일 : jlh4592@sb.go.kr선발기준 : 1인~5인 가족수 그룹별로 전기사용량을 가족수로 나눠 사용량이 가장 적은 각 4세대(각 그룹별),총 20세대 선발·시상 ※ 그룹별 참여 가구수 및 전기사용량 평가결과에 따라 탄력 조정 가능선발규모 : 총 20세대에 인센티브 지급(5만원 상당)※ 수상자 외 모든 참가자에게는 에너지 절약용품(4구 멀티탭) 1개 지급결과발표 : 2016. 9. 19.(월) 이후 성북구청 홈페이지 공지 및 개별 통보문의 : 환경과 ☎ 02-2241-3012 8월은 정기분 주민세 납부의 달입니다납세의무자 : 2016. 8. 1. 현재 성북구 주민, 개인사업자 및 법인납부 기간 : 2016. 8. 16.~8. 31.납부 방법 : 전국시중은행(농협, 수협 포함), 우체국 방문납부인터넷납부(http://etax.seoul.go.kr) 및 전용계좌납부편의점, 은행현금지급기(CD/ATM) 납부ARS자동납부서비스(☎ 1599-3900) 납부고지서 분실 및 훼손 시 서울시소재 구청 세무부서 및 동주민센터에서 재발급 가능문의 : 세무2과 ☎ 02-2241-4192~6, 4152~5, 4158 강우 시 하천 내 둔치 이용을 자제해주세요최근 국지성 돌발강우로 인해 하천둔치를 이용하는 시민이 고립되는 사고(2016. 6. 22. 노원구 당현천)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강우 시에는 하천둔치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바 주민들께서는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강우 시에는 하천 내 둔치(산책로, 자전거도로) 이용을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미 이용 중인 시민들이라도 하천 내 설치된 음성경보방송이나 문자전광판의 대피명령을 인지하였다면 즉각적으로 하천 밖으로 대피할 것을 당부 드립니다.문의 : 치수과 ☎ 02-2241-3645 동네 사장님들! 어려운 이웃에게 디딤돌이 되어 주세요~성북구에서는 지역의 상점.업체가 자율적으로 기부(물품, 서비스)에 참여하여 지역 내 저소득주민에게 필요한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돕는 ‘우리동네 나눔가게’사업을 실시합니다. 지역의 소외되고 도움이 필요한 이웃을 위한 나눔에 적극 참여해주세요.모집기간 : 2016. 7. 1.~연중참여하고 싶어요(모집분야)- 보건 의료 : 병의원의 무료진료, 약국의 약품지원,이·미용실, 목욕탕 무료이용- 교육 : 학원, 개인교습소 무료수강- 문화·예술 : 공연장, 극장의 무료공연 관람- 외식·생활용품 : 슈퍼마켓, 음식점, 각종 상점- 교통·이동지원 : 운수회사의 이동 지원, 이사지원- 법률·기타 : 무료법률 상담, 각종 서비스 및 물품지원어떻게 참여하나요?(참여방법)- 참여 신청서 및 협약서 작성(거주지 및 사업자 동주민센터)누구에게 전달되나요?(지원대상)- 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독거노인, 장애인, 사각지대 주민 등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13, 각 동주민센터 2016년도 을지연습 실시- 2016 을지연습이 8월 22일부터 25일까지 전국 시·군·구 이상 행정기관과 주요 민간업체 등 4,000여 기관, 40여만 명이 참가하여 실시합니다.- 우리 구는 8개 기관, 1,544명이 참가하여 비상시 주민생활안정, 행정기능유지 및 군 작전의 지원 등에 중점을 두고 실시합니다.- 주민 여러분께서는 우리 구 모바일웹을 통하여 을지연습 주요 행사일정 등을 보실 수 있으며, 건의사항, 궁금증 등 을지연습과 관련한 주민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주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지역사회 안전의 밑거름이 됩니다.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4383 2016년「 어린이 안전체험관」 운영운영기간 : 2016년 2학기 개학시점부터 연중 계속체험내용- U-성북 도시통합관제센터에서 무엇을 하는가- 방범용 CCTV의 비상벨 체험 및 이용방법 교육- 시청각 자료를 통한 응급상황 대처요령 교육 등참가대상 : 관내 어린이집 및 유치원, 초등학교 저학년※ 36개월 이상 어린이만 가능합니다장소 : U-성북 도시통합관제센터(성북구청 4층)신청기간 : 2016. 7. 15.~8. 15.신청방법- 인터넷 접수 : 성북구청 홈페이지(www.seongbuk.go.kr)- 팩스(☎ 02-2241-6554), 이메일s(ldong21@sb.go.kr)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4563 폭염 대비 무더위쉼터 운영운영시기 : 2016. 5. 30~9. 30.(약 4개월간)운영시간 : 09:00~18:00(※ 개소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이용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 무더위쉼터 지정장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문의처로 연락 바라며 ,무더위쉼터에는 표시판이 부착되어 있으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문의 : 어르신복지과 ☎ 02-2241-2526, 동주민센터 및 4개 복지시설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실시조사기간 : 2016. 8. 16.(화)∼10. 31.(월)조사단위 : 가구, 개인조사대상 : 만 19세 이상 성인조사인원 : 915명 표본조사조사내용 : 건강행태, 의료이용 등 총 18개 영역조사방법 : 조사원이 표본가구 직접 방문하여1:1 면접조사, 전자조사표(CAPI)를이용한 노트북으로 진행문의 : 보건소 의약과 ☎ 02-2241-6100]]> Fri, 22 Jul 2016 14:04:12 +0000 8 <![CDATA[행복 가꾸기, 우수(雨愁) ]]> 우수(雨愁)류시호(길음2동)곱게 익어가는복숭아 마냥투명한 얼굴에코스모스를 닮은청순하였던 그 소녀백열등이 졸고 있는산 모롱이 따라길게 늘어뜨린 머리흐르는 빗물에 버려두고첫 마음을 앗아 갔다여울져 가는 빗소리에잃어버린 미소 찾으려고비오는 밤전설이 쌓인 창가에 서서세월이 남긴 기억을 찾는다레인 코트 걸친 소녀는지금쯤 어디를 걷고 있을까?input image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주제 제한없음분량 A4 1장 내외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이메일 kim1202@sb.go.kr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 ]]> Wed, 24 Aug 2016 14:11:07 +0000 9 <![CDATA[‘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1주년 기념식’ 개최 ]]>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1주년 기념식’ 개최input image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1주년 기념식성북구는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이하 찾동) 1주년을 맞이하여 ‘마을에서 함께 사는 삶의 가치를 찾다! 찾아가는 마을복지 현장 속으로’라는 주제 아래 지난 7월 8일 오후 2시부터 구청 내 성북아트홀에서 마을계획단, 복지기관,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1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먼저 마을복지건강공동체 구현에 공헌한 구민과 복지관 주민들을 대상으로 유공자 표창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추진한 찾아가는 동마을복지센터 사업 활동 영상 감상 및 찾동 우수 추진사례 발표에 이어 찾동 1주년 기념을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실시, 마음이 모여 마을이 되는 성북의 도약 계기가 되기를 소망하였다. 기념식 이후에는 구 간부, 주민, 복지플래너 등이 한 조를 이루어 생활이 어려운 가정을 방문하여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체감하고 주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등 ‘찾아가는 마을복지 현장 속으로’의 체험시간을 가졌다. 이와 함께 부대행사로 구청사 입구 및 2층 갤러리에서는 동마을복지 추진사업 전시회 및 마을사진전이 열려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의 변화 모습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지난 1년간 성북구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20개 동마을 복지센터에 사회복지 공무원, 마을코디, 방문간호사를 추가로 배치하여 직원이 직접 주민을 방문하고, 동 공간재배치를 통해 주민 공유공간을 늘렸으며, 주민 스스로 마을의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마을계획단 활동을 지원하는 등 마을민주주의와 복지전달체계를 결합하여 복지사각지대를 줄이고 전달체계를 효율적으로 개편하였다. 앞으로도 구는 동주민센터 및 복지관, 그리고 지역사회가 함께 마을공동체를 만들어 복지사각지대가 없는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이루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문의 : 복지정책과 ☎ 02-2241-2304 매년 9월 10일은 세계 자살예방의 날입니다매년 9월 10일은 「세계 자살예방의 날」로써, 전 세계에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국가적ㆍ사회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자살문제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자 제정한  날입니다.  성북구자살예방센터도 더 많은 구민과 생명사랑 실천을 함께하고자 생명사랑 홍보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바쁜 출근시간이지만 자살예방 및 생명사랑 실천을 위한 성북 구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일시 :  2016. 9. 9.(금) 08:00~10:00  장소 :  길음역 2번 출구, 성신여대역 1번 출구, 월곡역 2번 출구,  종암경찰서 버스정류장, 성북구청 앞   행사내용 :  생명사랑 캠페인, 생명사랑 선물증정, 생명나무 지문 찍기, 생명사랑 서약문의 : 성북구자살예방센터 ☎ 02-916-9118(성북구 오패산로21, 3층) 성북구, 공정무역 실천구 구현에 앞장서input image성북구는 자치구 최초로 공정무역 활동의 구심점이 될 지역사회 네트워크형 성북구 공정무역센터를 설립하고, 8월 19일 금요일 개관식을 개최했다. 성북구 공정무역센터는 동소문로22길 33-8(동선동1가)에 위치하며, 지상 2층, 67.37㎡ 규모로서 공정무역 교육장, 사무실, 공정무역 제품 판매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1층 오픈 스튜디오에서는 공정무역 제품을 이용하는 공정무역 강좌가 상시 운영되고, 2층 공정무역 라이프스타일숍에서는 공정무역 관련 식품, 수공예 생활용품, 의류 등을 전시 및 판매한다. 이는 구민들에게 공정무역 제품 구매문화 및 윤리적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성북구의 대표 지역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문의 : 성북구 공정무역센터 ☎ 02-929-7944 동선동 마을활력소 <동동마당 통!통! 프로그램>동선동 마을활력소 마을활력단이 준비한 <동동마당 통!통! 프로그램>은 주민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전문강사를 초빙한 주민주도의 교육 프로그램입니다.신청기간 : 2016. 8. 25.(목)~마감시까지신청방법 : 전화접수 및 동선동주민센터 현장접수주관 : 동선동 마을활력소 마을활력단 융합건축교실 뚝딱뚝딱 마을만들기일시 : 월요일 16:30~18:00대상 : 초등학생(15명)수강료 : 교재비 포함 15,000원(재료비 별도)문의 : ☎ 010-2201-9642 input imageinput image융합건축교실주민연극교실일시 : 목요일 10:00~13:00대상 : 주민 누구나(15명)수강료 : 무료문의 : ☎ 010-2484-0555어린이 벨리댄스일시 : 화 ·목요일 16:00~17:00대상 : 초등학생(15명)수강료 : 15,000원문의 : ☎ 010-5395-7024우리동네 어린이예체능일시 : 목요일 17:00~18:00대상 : 초등학생(3~6학년 15명)수강료 : 무료문의 : ☎ 02-2241-5099input image우리동네 어린이예체능※ 수강료 및 세부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문의 : 동선동마을복지센터 ☎ 02-2241-5098 / 5099]]> Wed, 24 Aug 2016 14:23:40 +0000 9 <![CDATA[소통하며 나누는 기쁨 나눔이웃 ‘소나기’ 外 ]]> 지난 5월 16일 ‘사람들의 마음과 발길이 이어지는 행복마을 정릉1동’이라는 SNS(밴드)가 개설되어 50여명의 주민들이 소통하고 있다. 이곳에는 유익한 시사 상식, 이웃의 격려와 축하의 글,예쁜 사진, 동영상, 마을 건의사항, 칭찬릴레이 등 주민들의 참여로 소식들이 가득하다. 며칠 전에는 공용면적인 로터리 화단에 잡초가 무성하다는 사진이 게시되었다. 소식을 접한 주민들은 다음날 찜통더위에도 불구하고 너나 할 것 없이 잡초를 제거하기 시작했다. 한 움큼 뽑혀진 잡초더미 만큼이나 마을을 사랑하는 마음은 더욱 커보였다. 주민들 스스로 문제점을 제기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행동으로 옮기는 등 정릉1동SNS 소통방은 무더운 여름이 가고 가을이 지나 한파가 와도 온기 가득한 동네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명예기자 우은주 [정릉3동] 정릉3동주민센터 ☎ 02-2241-5380‘어쩌다 가게’ 현장 탐방기지난 7월 20일 정릉3동 삼덕마을 주민 10여 명이 복지관 직원의 인솔 하에, 마포구 망원동에 위치한 ‘어쩌다 가게’를 견학했다. 이는 삼덕마을 회관 리모델링 작업 후 시작할 마을 사업을 벤치마킹하기 위해서이다. 연남동 1호점을 시작으로 ‘어쩌다 집’·’어쩌다 오피스’ 등 사업 범위를 넓히고 있는 ‘어쩌다 가게’는 권리금 없이 5년간 임대료를 동결하고 입주민들끼리 공간과 재능을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연대와 공유정신은 필연적인 우리 미래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하며, 우리 삼덕마을 사업의 연착륙을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명예기자 김수희 [월곡1동] 월곡1동주민센터 ☎ 02-2241-5280신바람 경로잔치 열렸네input image지난 7월 5일(화) 월곡1동 영광교회에서는 인근 지역 어르신들을 모시고 경로잔치를 열었다. 해마다 열리는 경로잔치는 벌써 13회를 맞이하였으며, 비가 억수로 쏟아지는 와중에도 800여 명의 어르신들이 4·5층 강당을 가득 메웠다. 어르신들은 김성제 담임 목사 주재로 개회식 감사예배 기도를 드린 후, 영광교회 어린이집·월곡 구립 어린이집 원생들의 재롱잔치와 색소폰 연주에 연신 웃음꽃을 피우며 즐거워하셨다. 또한, 경품에 당첨됐을 때는 “여기 있어요”라고 외치며 주위 어르신들의 부러움 속에 동심으로 돌아간 듯 기뻐하셨다. 이처럼 어르신들이 행복한 모습을 보면서 어르신을 공경하는 마음이 널리 전해지기를 희망해 본다.명예기자 차온순 [월곡2동] 월곡2동주민센터 ☎ 02-2241-5633월곡2동 복지협의체, 100가정 삼계탕 나눔행사 실시input image월곡2동 복지협의체(위원장 윤재성)는 지난 7월14일 거동이 불편한 관내 저소득 독거어르신, 중증장애인 100가정에 삼계탕을 나누는 행사를 가졌다. 새벽 6시부터 새마을부녀회(회장 오복연)에서 정성들여 끓인 삼계탕을 포장하여 복지협의체 위원, 복지 통장 등이 손수 들고 가정을 찾아가 전달하였다. 총 100가구에 삼계탕을 전달하며 폭염 대비 안부 확인과 말벗봉사 등 무더위에 지친 취약계층을 위로하는 시간을 가졌다. 윤재성 위원장은 “무더운 날씨 속에 어르신들이 건강한 여름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매년 복지협의체에서 진행하고 있다. 삼계탕 한 그릇을 받아들고 기뻐하시는 모습에 매우 보람을 느끼며 앞으로도 우리 주변의 소외된 이웃을 위한 지역복지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월곡2동 복지협의체는 이번 삼계탕 행사뿐만 아니라 독거어르신 나들이, 소형가전지원사업, 어르신 식사대접 등 연중 월곡2동 어르신들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장위1동] 장위1동주민센터 ☎ 02-2241-5320따뜻한 나눔, 홀몸 어르신께 점심 식사 대접지난 7월 26일 발효명가 기와집 갈비탕에서 장위1동 복지협의체 주관으로 홀몸 어르신 20명에게 정성과 마음을 가득 담은 점심 식사를 대접했다. 따뜻한 점심 식사를 드시며 환하게 웃으시는 모습이 우리 아버님, 어머님의 모습과도 같았다. 어르신들~ 늘 건강하시고, 늘 행복한 웃음 끊임없이 이어가시길 기원 드리며,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장위1동 복지협의체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명예기자 문영임 [장위2동] 장위2동주민센터 ☎ 02-2241-5684청소년들의 깨끗한 동네 만들기!8월 3일, 장위2동주민센터에서는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청소년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이날 봉사활동에는 학생 145명이 참여하여 관내 쓰레기 수거 및 벽보 제거활동을 실시하였고, 장위2동 청소년지도협의회(회장 문만식) 회원 10명, 장위아띠봉사단(단장 최은백) 단원 4명이 인솔자로 참여하여 학생들의 봉사활동 중 안전 관련 사항을 점검하였다. 봉사활동 종료 후 장위초등학교 강당에서 장위2동 새마을금고 안걸용 이사장을 강사로 「근면, 성실, 저축」에 대한 특강을 실시하고, 보건소 교육 강사를 초빙하여 청소년 대상 금연교육도 실시하였다. 장위2동은 노후한 주택들이 밀집하여 무단투기가 심각하고, 고질적인 청소 민원이 많은 곳이다. 이번 행사를 통해 청소년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애향심 고취와 지역에 대한 책임감 및 주인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d, 24 Aug 2016 14:32:56 +0000 9 <![CDATA[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 개원 ]]> 구민에게 희망과 믿음을 주는 의회!현장에서 길을 찾는 성북구의회!성북구의회(의장 정형진)는 7월 20일 오전 10시 구의회 1층 로비에서 전· 현직 구의원을 비롯해 김영배 성북구청장 및 구청 간부, 국회의원, 시의원, 관내기관장 등 주요인사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 개원식을 개최했다. 조민국 운영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개원식은 임태근 전 의장과 김원중 전 부의장을 비롯해 전반기 상임위원장에게 2년간 원활하게 의회를 이끌어온 노고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어, 신임 의장인 정형진 의장의 개원사, 김영배 성북구청장의 축사, 김태수 부의장의 건배제의로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의 힘찬 출발을 알렸다. 성북구의회 의장 인사input image정형진 의장존경하는 50만 성북구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 의장 정형진입니다. 우리 성북구의회를 사랑과 애정으로 지켜봐 주시고 힘과 용기를 북돋아 격려해 주시는 구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말씀 올립니다. 올해는 우리나라 지방자치가 출범한지 25년이 되는 해로, 그동안 우리 성북구의회 의원 모두는 숭고한 사명감을 바탕으로, 구민 여러분의 높은 관심과 참여 속에 구민의 복리증진과 지역발전을 목표로 역할과 책임을 성실하게 수행해 왔습니다. 그 결과, 시대의 흐름에 따르면서도 우리 성북구만의 특색에 맞는 자치 정신과 이념을 정립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존경하는 구민 여러분! 우리의 지방자치는 이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에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쾌적하고 살기 좋은 성북을 만들고 구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나아가 행복한 미래가 보장되는, 구민 모두가 만족하는 성북구가 될 수 있도록 성북구의 희망찬 미래를 위해 지혜를 모아 주시기 바랍니다.제7대 성북구의회의 후반기 2년을 시작하였습니다. 지나온 전반기 2년은 자치 의정의 기반을 다지는 시간이었다면, 앞으로의 2년은 이를 실천하고 추진하는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는 주민복리증진을 위해 집행부와 협력하며 올바른 성북의 발전을 위해 견제와 감시도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며, 구민의 꿈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소금과 설탕의 역할을 충실히 하겠습니다. 성북구의회 의원 모두는 구민 여러분을 위해 의회가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지켜봐 주시고 잘 이끌어 주시고, 조언과 질책을 아끼지 말아 주시기를 바라며, 구민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운이 함께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성북구의회 부의장 인사input image김태수 부의장사랑하는 50만 성북구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 부의장 김태수입니다. 먼저 성북구의회 부의장이란 막중한 직책을 맡겨주신 선배·동료 의원님들과 그동안 믿고 지지해주신 성북구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구민 한 분 한 분 모두는 성북구를 이끌어나가는 주인공입니다. 구민의 눈으로 보면 또 다른 세상이 보입니다. 앞으로 성북구의회는 더 낮은 자세로 구민 여러분의 생생한 목소리를 귀담아 들으며 구민의 입장에 서서 구민 복리증진과 성북지역 발전이라는 목적을 위해 집행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생산적인 의정활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또한, 그동안의 의정활동을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와 구민 모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의정활동에 전념하겠습니다. 구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구민의 주거가 안정되고, 골목 상권이 활성화되어 지역경제가 살아나 ‘이사오는 구! 이사오고 싶은 구!’로 성북구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메리트를 발굴하는데 전념하겠습니다.성북구민 여러분, 7대 후반기 의회가 구민에게 신뢰받는 의회, 구민과 소통하는 의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성북구 발전을 위한 사안과 민원해결을 위해 22명의 의원이 한마음 되어 의정활동에 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저는 부의장으로서 의원 상호간의 가교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항상 구민의 뜻을 받들고 성북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구민 여러분의 가정에 건강과 행운이 함께하시기를 기원 드립니다.감사합니다. 제7대 후반기 성북구의회의원 현황input imageinput image]]> Wed, 24 Aug 2016 16:02:06 +0000 9 <![CDATA[어르신과 대학생이 함께 사는 한지붕 세대공감 신청 안내 外 ]]> http://etax.seoul.go.kr),ARS(1599-3900), 현금인출기, 편의점 납부※ 환경개선부담금은 6개월 사용분을 3개월 뒤에 부과하는 후납제 성격으로 차량말소 및 소유권 이전 이후에도 사용일을 계산하여 1~2회 더 부과될 수 있습니다.문의 : 환경과 ☎ 02-2241-3004, 3006 도시재생 지역주민 역량강화를 위한 협동조합 교실일시 : 2016. 9. 6.(화)~9. 9.(금) 14:00~16:00대상 : 도시재생 및 협동조합에 관심 있는 누구나접수 : 2016. 8. 22.(월)~9. 2.(금), 전화접수교육내용 : 협동조합의 이해 및 사례, 도시재생지역에서 협동조합 필요성교육일정 및 장소input image문의 : 마을사회적경제과 ☎ 02-2241-3922, 3924 계량기(저울) 정기검사를 실시합니다검사기간 : 2016. 9. 21.~10. 25.(토·일요일 및 공휴일 제외)※ 미검사에 대한 추가검사 : 2016. 10. 19.~10. 25.(기간 중 1일)검사대상 : 상거래에 사용하는 10t 미만의 저울(판수동 저울, 접시지시 및 판지시 저울, 전기식지시 저울)※ 해당업소 예 : 귀금속판매점, 정육점, 건어물점, 쌀집, 청과상 등검사장소 : 계량기를 사용하고 있는 영업장 소재지의 관할 동주민센터 및 별관검사일정input image※ 거래 또는 증명용으로 사용하는 계량기 소유자가 정기검사를 받지 아니하면 계량에 관한 법률에 의거고발 또는 과태료 처분됨.문의 : 일자리경제과 ☎ 02-2241-3964 8~9월 성북구 민방위교육 일정교육대상 : 상반기 기본교육 불참자, 1회 4시간※ 일요·야간 교육 : 지역·직장 민방위대원(1~4년차) 교육희망자교육장소 : 서울시 민방위교육장(성북구 석관동, 석계역 4번 출구에서 월릉교 방향으로 300m)교육방법 및 내용 : 집합교육(기본소양 1시간, 실전훈련 3시간)교육일정- 시간대 : 오전(09:00~13:00), 오후(14:00~18:00), 일요(09:00~13:00), 야간(18:00~22:00)- 교육일정 : 국가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 접속 ▶ 민방위안내→교육·훈련→교육일정에서 확인 가능※ 현지교육안내 : 교육훈련통지서상의 교육일정에 참석이 원칙, 현지교육 규정에 따른 부득이한 경우(장기출장 등)에 한해 타 지역 교육에 참석 가능문의 : 도시안전과 ☎ 02-2241-4385 에코마일리지에 가입하여 온실가스를 절감하고 인센티브도 받으세요참여대상개인회원 : 단독·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 등에 거주하는 구민단체회원 : 상업 및 공공기관, 학교, 복지시설 등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는 단체에코마일리지 가입방법- 인터넷 홈페이지(http://ecomileage.seoul.go.kr)에서 직접 회원가입- 인터넷 사용이 어려울 경우 주소지 동주민센터 또는 성북구청 환경과에 방문하여 가입신청서 작성 제출※ 회원가입 시 전기(필수), 수도, 도시가스 중 2개 이상의 개별 고객번호가 있어야 인센티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인센티브 지급- 가입 후 6개월 평균 에너지 사용량을 최근 2년간(동기간) 평균 사용량보다 5% 이상 절감하였을 경우 절감률에 따라 1만~5만 마일리지 지급(단체회원은 별도 평가)※ 마일리지는 연 2회 평가를 거쳐 지급되며 친환경제품,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교통카드 충전권 등으로 교환하실 수 있습니다.문의 : 환경과 ☎ 02-2241-3014 생활체육교실과 함께 건강해지세요접수기간 : 2016. 9. 1.~9. 10.(근무시간 내)접수방법 : 문화체육과 유선 접수 및 현장방문 접수input image장소사용료 본인 부담, 장소사정에 따라 운영시간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접수 및 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24 『환경아카데미 - 그린리더 양성 과정』 안내모집기간 : 2016. 8. 30.(화)~모집 마감시까지모집인원 : 성북구민 30명(선착순 모집)교육기간 : 2016. 9. 20.(화)~10. 4.(화) 매주(화) 10:00~12:00장소 : 성북생태체험관(성북구 솔샘로 25길 121-50 / 정릉4동 231번지)교육내용 : 기후변화의 원인과 올바른 이해, 수질·대기오염의 원인과 대응법, 친환경체험참가비 : 무료신청방법 : 신청서 작성 후 이메일 접수(dalki97@sb.go.kr)※ 신청서 양식은 성북구 홈페이지 모집강좌 게재※ 「환경아카데미-그린리더 양성 과정」 2015년 및 2016년 1기, 2기 참가자는 신청 불가문의 : 환경과 ☎ 02-2241-3005 청소년 또래 노동인권지킴이 교육과정 5기 참가자 모집또래 노동인권지킴이 교육과정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노동관계법 및 인권법, 상담 기술, 사례연구 등에 대해 훈련 내용을 이수하고, 수료 이후 학교.대안학교.청소년 관련 기관이나 단체와 연계하여 학교 안팎에서 아르바이트하는 또래 청소년들의 상담 및 피해구제 활동을 지원해 줌으로써 또래 친구를 적절하게 돕고, 지지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과정입니다.대상 : 청소년(14세 이상 20세 미만) 누구나접수기간 : 2016. 8. 29.(월)부터 마감시까지모집정원 : 25명(선착순)교육기간 : 2016. 9. 22.~10. 25.(매주 화·목, 17:00~19:00) 총8차시교육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 중강의실, 성북구청 배움터, 기관탐방수강료 : 무료(수료증 발급)접수 및 문의 : 인권센터 ☎ 02-2241-2192, humanrights@sb.go.kr 하계 주택용 전기요금 할인 안내적용대상 : 주택용 전기요금을 적용받는 순수 주거용 가구할인대상 : 2016년 7~9월- 검침일이 1일~12일 고객 : 8~10월분- 검침일이 15일~말일 고객 : 7~9월분※ 현재 주택용에 설치된 계기는 대부분 일별 전력사용량 계량이 불가하므로 고객의 검침일을 기준으로 요금월분을 구분하여 할인요금적용 : 각 사용전력량 단계별로 추가 50㎾h씩 현행 단가보다한 단계 낮은 요금단가 적용※ 할인이 적용되지 못한 고객은 익월분 요금에서 차감하여 청구※ 할인요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문의처로 연락 바랍니다.문의 : 한국전력공사 강북지사 ☎ 02-901-4325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 123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실시추석을 맞이하여 자동차 무상점검 받고, 안전하고 편안한 귀성길되세요.일시 : 2016. 9. 4.(일) 10:00~16:00장소 : 성북구청과 성북경찰서 뒤편 일방통행길점검내용- 엔진오일·워셔액·브레이크오일 등의 보충, 타이어 공기압 등점검, 각종 전구류 및 와이퍼 교환 등 차량 전반에 걸친 안전점검- 기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정비가 필요할 경우에는 실비부담 정비 및 상담문의 :교통행정과 ☎ 02-2241-3442서울시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  성북구지회 ☎ 02-941-9280 사업장 연탄재 유상 수거 안내시행일 : 2017. 1. 1.부터∼대상 : 성북구 내의 모든 사업장(가정용은 제외)근거 : 『서울특별시 성북구 폐기물 조례』 제9조제2항, 제16조제3항, 제27조1항제1호배출방법 : 20ℓ영업용봉투에 연탄재 6장을 원형 그대로 담아 배출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제3기 성북구 인권위원회 위원 모집 공고모집기간 : 2016. 8. 22.(월)~9. 2.(금)모집인원 : 4명(위원 임기 : 2년, 연임가능)위원회 기능- 주민의 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과 관행 개선 권고 및 의견 표명- 인권지표 개발 및 인권침해 진정사건 권고 및 의견표명신청 접수 : 방문, 우편, 팩스, 이메일을 통해 지원서(소정양식) 접수- 접수처 : 서울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감사담당관 인권센터(우 02848 )※ 접수기간 내 접수처에 도착한 것에 한하여 유효함- 팩스 : 02-2241-6524, 이메일 : may-1@sb.go.kr문의 : 인권센터 ☎ 02-2241-2194 난방개선을 위한 집수리비용 융자지원 안내융자규모 : 150억원(서울시 기후변화기금)융자기간 : 2016. 12. 9.까지(단, 융자기금 소진 시 조기 종료)지원항목 : 단열창호, 단열재, 고효율보일러·고효율LED조명 교체 등취급은행 : 우리은행(보증보험은 서울보증보험 가입)융자절차 : 융자신청 → 융자심의 → 대출심사 → 사업시행 → 사업결과보고 → 대출실행융자대상 : 모든 주택(단독·아파트)지원대상 : 주택 소유자지원사업 : 에너지 절약시설 설치사업융자금액 : 공사비의 100%(200만원~1,500만원)융자조건 : 연리 1.45% 8년 균등 분할 상환기타 : 무담보 융자지원 시 보증보험 가입문의 : 환경과 ☎ 02-2241-3022 알고 계세요? 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도장이 필요 없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한 본인서명사실확인서를 발급 받으세요.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란?- 본인이 직접 서명하고 기재한 내용을 행정기관이 확인해주는 제도- 인감증명서와 효력이 동일하며, 전국 시·군·구청 민원실 및 읍·면·동 어디서나 발급 가능문의 : 행정지원과 ☎ 02-2241-4354 , 거주지 동주민센터]]> Wed, 24 Aug 2016 16:07:30 +0000 9 <![CDATA[성북 혁신교육지구! 마을이 교육을 품다 ]]> 성북구, 2016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으로 마음모아 스스로 삶을 세우는 교육마을 성북을 만들어갑니다2016 서울형혁신교육지구로 성북구가 선정되면서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과 온 마을이 함께 참여하여, 행복한 마을을 만들기 위해 힘차게 달리고 있습니다. 학교와 마을이 하나 되어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성북구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소개합니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란?공교육 혁신을 이루기 위해 교육청·서울시·자치구·지역주민이 참여하고, 지역사회와 학교가 협력하여 새로운 교육모델을 실현하도록 서울시와 교육청이 지정하여 지원하는 자치구input image 왜 혁신교육일까요?  input image 어떠한 변화가 일어날까요?20개의 다양한 사업 중 대표적인 사업을 알려드립니다.문예체 협력교사 지원예술과 어울림- 중학교 1학년 15개 학교 대상- 음악, 미술, 연극 등 지역 예술 강사가 문예체 협력교사로 지원- 예술강사의 서울형자유학기제 동아리활동 및 선택프로그램 운영 지원대학생과 청소년 동아리로 만나다성북 대청(大靑)마루- 공통 관심 분야의 청소년 동아리와 대학 동아리가 하나의  연합 동아리 구성- 대학생이 멘토로 활동하여 연합공연, 지역사회 공헌 프로젝트 등을 함께 기획 및 실행마을과 학교가 만나는 1동1교,동교동락(洞校同樂)- 학교와 마을의 여건에 맞는 결연사업 추진- 1동1교 결연을 기반으로 동단위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동과 결연된 학교 또는 마을에 청소년 자원봉사동아리 구성  input image민학관 공감소통 민학관 거버넌스 구축·운영- 운영협의회, 실무협의회, 분과위원회, 주체별협의체- 18개 사업별 추진단 운영(추진단 위원 146명)   input image  input image석관중 애니메이션 수업                                      input image혁신교육 학교설명회                                      input image꿈틀꿈틀 진로창의체험(조향사체험)  input image청소년과 대학생 댄스동아리의 만남  input image장위3동과 남대문중의 동교동락 토론회  input image청소년 인권캠프  ]]> Wed, 24 Aug 2016 13:51:43 +0000 9 <![CDATA[성북의 청년들이여! ‘성북구락부’를 아시오? ]]>   일제강점기 성북동 청년들의 단결력은 어느 지역보다도 끈끈한 편이었다. 1923년 성북동에는 청년회조직이 결성되어 있었는데 바로 ‘성북구락부(城北俱樂)’라는 단체였다. 성북구락부는 창립한 지 2년이 지난 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당시 총무로 선임되었던 삼산학교 교사 서광훈(徐光勳, 1901~?)의 역할이 컸다.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 계열 운동의 영향을 받은 성북구락부의 청년들은 마을에 필요한 공공사업이 있으면 논의를 통해 필요한 자금과 인력을 모아 사업을  진행시켜 나갔다. 마을 유지로부터 의연금을 모집해 소방도구와 도난당한 마을 상여를 구입하였고 운동기구도 마련했다. 여름철에는 밤늦게 물놀이를 하거나 술에 취한 피서객이 많아 주민들에게 방해가 되므로 이것을 금지하는 활동도 펼쳤다. 성북구락부는 마을의 공공사업과 함께 주민들의 계몽과 관련된 교육운동도 전개했다. 무엇보다 먼저 삼산학교가 잘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성북소년회’를 창립하고 그 산하에 ‘성북야학원’을 설립, 운영하기도 했다. 돈이 없어서 학교에 못가는 ‘무산어린이’들에게 무상교육의 기회를 주기 위함이었다.여기에는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도 수업에 참가했다. 눈에 띄게 거창한 사업을 벌이지는 않았지만 성북구락부의 활동은 성북동 주민들의 삶에 은근한 활력을 주었다. 성북동의 청년들은 주민들의 생활에 무엇이 필요한지 점검하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차근차근 해결점을 찾아 실행에 옮겼다. 이점을 생각할 때 1920년대 활동했던 성북구락부의 존재는 갈수록 이웃 간 벽이 높아져 가는 오늘날,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소중한 기억이자 후세에 물려줄 빛나는 자산임에 틀림없다. (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 input image1930년대의 성북동 일대. 파란색은 하천, 빨간색은 길이다 . 노란색 사각형은 서광훈이 살았던 집. (경성부 발행, 『(지번구획입)대경성정도』, 1936)input image서광훈(1901~?)1917년 강원도 평강군 평강면 서기가 되었다가 1918년 사직하고 평강역 앞에서 운송점을 개업했다. 1922년 고양군 숭인면 성북리로 와서 삼산학교 교사가 되었으며 1924년 형평사 서기로 선출되었다. 1926년 형평사집행위원에 선출되고 한양청년연맹 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1927년 1월 19일 고려혁명당 사건 관련자로서 신의주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강제 연행되었다. 즐거운 아빠 학교 ‘아빠에게 말을 걸다’일시 : 2016. 10. 8.(토) 10:00~12:00장소 : 성북구청 4층 성북아트홀대상 : 관내 유아기·아동기 자녀를 둔 아빠 100명내용 : 음악과 연극이 있는 아빠교육- 아빠가 된다는 것은? 육아관련 나의 소통 현주소는?※ 교육 후 즐거운 아빠 학교 교육 수료증 발급(2h)신청방법 : 성북구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sbfc.familynet.or.kr)문의 : 성북구건강가정지원센터 ☎ 02-3290-1660 성북문화원 2016년 가을학기 수강생 모집강좌기간 : 2016. 9. 1.(목)~11. 23.(수), 총 12주접수방법 : 인터넷 및 방문접수(성북문화원 2층 사무국)강좌내용- 성인 강좌 : 경기민요, 선소리산타령, 대금·단소, 장구, 규방공예, 스포츠댄스, 한국무용(초·중급, 심화), NEW생활요가, 사군자, 수묵산수화(A·B), 한글서예, 한문서예(A·B), 동화구연가/시낭송가 양성과정, 문예창작실기, 기초소묘에서 유화까지, 유화로 그리는 인물화, NEW수채화,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 원어민영어회화(NEW기초) 초급, 중급, 고급-어린이 강좌 : 어린이 역사교실(초4~초6), 어린이 한자교실(초1~초4), 원어민 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유아발레(Level 1, Level2), 어린이 놀이미술(A·B)-NEW야간강좌 : NEW원어민 중국어회화(기초), NEW한국사능력검정시험,NEW생활요가※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주세요.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http://www.isbcc.or.kr 세계맥주로 즐기는 소통의 문화! 세계맥주축제 개최input image일시 및 장소 : 2016. 9. 24.(토) 14:00~20:00, 성북천 분수마루(개막식 : 16:00)주최/주관 : 성북구청/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참가품목 : 리오(태국), 미얀마맥주(미얀마), 브런티스(영국), 수제맥주(독일, 스위스), 슈타이거(슬로바키아),에스텔라(스페인), 옌징(중국), 옐렌(세르비아), 필스너우르켈(체코) 등행사내용- 세계맥주 및 국가별 대표 먹거리, 기념품 판매- 세계맥주 혼합법, 제조법, 맛있게 마시는 방법 등 맥주정보 소개- 맥주와 어울리는 Pop 또는 Rock공연, 버스킹 공연- 국내 맥주·안주 판매(분수마루 주변 상가 참여)- 맥주 빨리 마시기, 맥주퀴즈 등 이벤트판매가격 : 맥주별 상이행사페이지 : www.facebook.com/worldbeerfestival기타 : 행사수익금의 일부를 부스별 자율기부문의 : 성북글로벌빌리지센터 ☎ 02-2241-6381~4 인디서울 2016 성북독립영화상영회input image독립영화를 재미있게 보고 쉽게 이해하는 ‘성북독립영화상영회’가 매월 첫째·셋째주 화요일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가오는 9월 6일(화)에는 ‘스틸 플라워’(박석영 감독)를 상영합니다. 독립영화를 사랑하는 분들의 많은 관람 바랍니다.일시 : 매월 첫째·셋째주 화요일 저녁 7시 30분장소 : 아리랑시네센터 3관(성북구 아리랑로 82)입장료 : 무료문의 : 성북문화재단 ☎ 070-8644-8365 미디어로 만드는 마을, 성북마을TV 9월 주간편성표방송시간- 정규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시청방법 :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편성표 (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input image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동북4구 시민 페스티벌(토크 콘서트)」 개최동북4구(성북·강북·도봉·노원구)의 지속적인 상생과 협력을 위한 「동북4구 시민 페스티벌(토크 콘서트)」 에 구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장소 : 플랫폼창동61(창동역 1번 출구 앞, 도봉구 마들로11길 74)※ 세부 행사 내용은 문의처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동북4구 토크 콘서트:일시 : 2016. 9. 22.(목) 14:00~16:00참석자 : 서울시장, 서울시교육감, 동북4구 구청장, 동북4구 국회의원, 동북4구 시의원·구의원, 동북4구 시민·학생 등행사내용 : 주민과 함께 묻고 답하는 토크 콘서트를 진행하여, 동북4구의 다양한 공동 의제 논의를 통한 사업과제 발굴 및 제안동북4구 시민 페스티벌일시 : 2016. 9. 20.(화)~9. 24.(토), 5일간행사 내용 : 동북4구 토크 콘서트, 동북4구문화 DAY, 정책전시회, 플리마켓, 공연 등※ 플리마켓 신청 및 문의 : ☎ 02-907-9303http://band.us/@db4gumarket문의 : 기획예산과 ☎ 02-2241-3805 성북구의 협동조합을 소개합니다브릿지 협동조합input image브릿지 협동조합은 사회적경제기업과 공공시장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어, 사회적경제기업이 공공시장에 경제적,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구와 도서출판, 공공서비스 사회적경제 공급망 구축을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성공적인 공공시장 진출을 돕고 있으며 또한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가격, 품질, 성장전략 컨설팅 및 강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주요 사업사회적경제기업 공공시장 진출 전략수립 및 지원- 공공시장분석, 기업평가, 전략마련, 입찰준비 지원을 통한 사회적경제기업의 공공시장 진출 컨설팅- 공공시장 진출 교육 : 공공시장 입찰과정, 심화과정, 수탁과정 단계별 교육사회적경제기업 지속가능경영전략(품질전략) 수립 및 지원- 장기 계약을 위한 지속가능한 소셜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세미나 진행-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경쟁우위 전략 및 시스템 구축 지원, 컨설팅문의 : 브릿지 협동조합 ☎ 02-943-1946, 홈페이지 : www.bridgecoop.kr위치 : 성북구 종암로 167, 101-2001(하월곡동, 동일하이빌뉴시티)             협동조합 누리마실 친구들input image협동조합 누리마실 친구들은 지역 내 다양한 문화들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상호 작용하기 위한 문화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누리마실 친구들은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과 문화다양성 일상 활동을 연계하여 성북의 문화다양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주요 사업주민이 함께 만드는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 주민이 만들고 주민이 즐기는 축제를 위한 기획단 운영- 누리마실 축제를 위한 일상사업 진행성북 문화다양성 네트워크 운영- 지역의 다양한 문화들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일상사업진행문의(이메일) : 협동조합 누리마실 친구들 nurimasilfriends@gmail.com홈페이지 : www.facebook.com/nurimasilfriends위치 : 성북구 정릉로27길 42(정릉동)]]> Thu, 25 Aug 2016 13:15:15 +0000 9 <![CDATA[일터로 변신한 경로당에 어르신들이 왔다 ]]> 전국 최초로 경로당을 활용해 어르신 공동작업장 사업을 추진해온 성북구가 4호점 문을 열었다. 길음1동 舊대동경로당(성북구 길음로 9길 113)이 그 현장으로 8월 10일(수) 오후 4시 개소식과 함께 어르신들의 일자리에 대한 갈증을 다소나마풀게 되었다. 어르신 공동작업장 4호점은 길음뉴타운 일대를 기반으로 어르신 마을 택배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길음종합사회복지관이 맡았다. 친환경 먹거리를 제조·판매하는 ‘길음실버그린이(Silver-greeny)’ 사업을 통해 어르신 30명이 일자리를 갖게 되었다. 어르신들은 카페 운영, 액상차 제조, 쿠키 제조, 친환경 농산물 소분을 통한 한박스 사업, 협동조합과 연계한 제철 농산물 판매활동을 한다. 매달 34시간씩 근무하고 기본급 21만원을 받는다.  근로시간을 초과하면 시간당 추가 인센티브도 받는다.  그래도 어르신들은 ‘210만원이나 다름없는 귀하디 귀한 월급’이라고 입을 모은다. 물론 더 많이 주면 마다하지는 않겠다고 한다. 월급을 더 받고 또 더 많은 노인들이 함께 일을 할 수 있도록 맛 좋고 건강한 먹거리를 만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성북구는 어르신들의 이런 바람을 반영해 어르신 공동작업장 4호점을 컨소시엄형식으로 구성하고 차별화를 꾀했다. 전문성을 갖춘 다양한 주체들을 모아 시너지를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의 질을 높였다. 4호점 구성 주체는 마을기업 키득키득, 밈컴퍼니, 이새fnc, 성북구마을부엌협동조합이다. 성북구마을부엌협동조합은 마을기업 키득키득과 소리마을센터 내 카페에서 친환경 먹거리를 제조하고 판매하며, 생협사업도 펼친다. 청년기업 밈컴퍼니와는 친환경 먹거리 제조, 판매와 친환경 농산물 소분 판매를 한다. 이새fnc와 함께 오가닉 라이프 먹거리 제조도 한다. 앞으로도 성북구는 경로당을 활용한 어르신 공동작업장처럼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현장에 계신 어르신의 말씀을 경청하면서 보다 행복한 일자리,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문의 : 어르신복지정책과 ☎ 02-2241-2402 성북구한국문화대학 제5기 수강생 모집성북구한국문화대학은 시민들의 노후대비 제2의 인생준비를 위한 평생교육기관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재교육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양과 취미활동, 나아가 대인관계의 폭을 넓히는 소중한 기회가 되리라 확신합니다.모집기간 : 2016. 8. 1.∼9. 4.접수처 : 성북구청 12층 북카페등록금 : 9만원(1학기 6개월간)교육기간 : 2016. 9. 5.∼2017. 2. 28.교육장소 : 삼선동주민센터 2층 강의실강의내용 : 한자강사자격증반, 경매 실전 및 부동산 세법,컨디션 조절운동, 노래교실, 웃음운동, 건강수련법, 마술강좌, 댄스스포츠, 역사문화강좌, 전통국악교실, 태극기공 수련법 등문의 : 성북구한국문화대학 ☎ 02-922-323302-927-3233 보건지소 100세 건강강좌주제 : 당뇨병과 안과질환강사 : 최상열 교수(원자력병원 안과 )일시 : 2016. 9. 27.(화) 10:00장소 : 동선보건지소 2층 회의실대상 : 누구나신청 : 전화 및 방문접수(선착순 30명 )문의 : 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 20대 건강이 돌아온다!! 어르신 건강 부메랑 운동교실input image모집기간 : 2016. 9. 19.~9. 21.(18:00까지)대상 : 65세 이상 어르신(필수조건) 선착순 45명참여기간 : 2016. 10~12월, 매주 월·수16:00~17:00 / 10주(총 20회)운동장소 : 보건소(월곡본소) 9층 sb문화홀접수방법 : 전화접수(방문접수 불가)프로그램 내용- 집중력, 기억력을 증진할 수 있는 요가 및 말초운동 동작- 집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근력 운동 프로그램- 낙상 예방을 위한 관절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문의 : 건강정책과 ☎ 02-2241-5946, 5948, 5960~1 ]]> Wed, 24 Aug 2016 16:30:22 +0000 9 <![CDATA[예비맘을 위한 '걸으며 힐링 숲태교' ]]> kisun725@sb.go.kr)문의 : 보건소 의약과 ☎ 02-2241-6133             행복한 엄마와 아이를 위한 아장아장 오감발달 신체활동 놀이터모집기간 : 2016. 8. 29.~9. 30.참여기간 : 2016. 9월~12월매월 둘째·넷째 토요일 10:30~11:30운동 장소 : 성북구보건소(월곡본소) 9층 sb문화홀접수방법 : 전화접수비용 : 무료대상인원 : 선착순 12쌍(5개월~24개월)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8, 59609월 주민주도 성북구민 걷기행사걸으며 하나되는 월곡산 둘레길 걷기일시 : 2016. 9. 24.(토) 09:00~11:00장소 : 월곡인조잔디구장대상 : 성북구민 누구나(신청없이 무료참여)코스 : 월곡산 둘레길(2.1km, 약 50분 소요)월곡인조잔디구장(출발) → 월곡산 둘레길 → 월곡인조잔디구장(도착)주최·주관 : 성북구 걷지우연합회·새마을금고중앙회 성북구협의회행사내용 : 건강체조, 걷기운동, 건강한마당 운영, 경품행사 등찾아오시는 길(주차 불가)- 지하철 6호선 월곡역 2번 출구 → 도보 10분- 버스 120, 1017, 1113 : 월곡동 두산아파트 하차 → 도보 5분- 버스 163, 1111, 1226 : 월곡역 하차 → 도보 10분- 마을버스 10 : 월곡인조잔디구장 하차※ 행사당일 오전 9시까지 오셔야 걷기대회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33 대사증후군 무료검진으로 만성질환 예방하세요※ 대사증후군이란? 복부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 혈당장애 등 5개 요인 가운데 3개 이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검진일시 : 평일 09:00~18:00(점심시간 12:00~13:00 제외)둘째·넷째주 토요일 09:00~13:00(보건소, 동선지소)검진장소 : 성북구보건소 4층 대사증후군관리센터,동선보건지소 2층 대사증후군관리센터,장위1동 및 정릉2동주민센터 1층대상 : 만 20~64세(거주지 제한 없음)검진내용 : 혈액검사(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LDL), 혈압,복부둘레, 체성분검사준비사항 : 검사전날 밤 10시부터 금식문의 : 보건소 대사증후군관리센터 ☎ 02-2241-6104~9,동선보건지소 ☎ 02-2241-6224,장위1동 대사증후군관리센터 ☎ 02-2241-6113,정릉2동 대사증후군관리센터 ☎ 02-2241-6114아이를 행복하게! 육아프로그램 안내종이접기/모빌 만들기일시 : 2016. 9. 20.(화), 9. 27.(화) 10:00~12:00장소 : 보문동 육아종합지원센터 1층 부모어울림터대상 : 임산부 또는 영유아 가정 30명내용 : 강사와 함께 발달수준에 맞는종이접기를 이용한 모빌제작개인준비물 : 가위, 풀, 모빌을 연결할 실, 바늘※ 사전예약 필수우리아이 건강관리의사 상담일시 : 매주 수요일 14:00~18:00장소 : 보문동 육아종합지원센터 1층 영유아 건강상담실대상 : 0 ~12세 영·유아·아동내용 : 0 ~12세 영·유아·아동 건강상담참여방법 : 방문상담 및 전화예약(☎ 02-2241-6043)척척박사 예비맘교실일시 : 2016. 9. 23.~10. 21. 매주 금요일 14:00~16:00장소 : 보건소 9층 sb문화홀대상 : 임산부 및 가족 50명내용 : 출산과정, 호흡법, 산전체조, 태교방법, 신생아돌보기, 모유수유 등에 대해 교육과 실습※ 사전예약 필수문의 : 보건소 건강관리과 ☎ 02-2241-6007, 6003]]> Wed, 24 Aug 2016 16:36:53 +0000 9 <![CDATA[2016년 하반기 성북구 인문학강좌 ]]> 문의 : 성북구 평생학습관 ☎ 02-2241-2420~5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안내접수 : 구청 홈페이지 인터넷 접수(2016. 8. 30.까지) → 전산추첨(2016. 8. 31.) → 선정 공지(2016. 9. 1. 예정)※ 수강료는 2016. 9. 1. 선정 공지 후 선정 메시지를 받고 입금하시면 됩니다.교육장소 : 성북구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뉴시티 업무동 3층)※ 수강접수 및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 성북구청 홈페이지 참조※ 일정, 세부내용, 강사진 등은 내부사정 및 강사의 사정 등에 의하여 변경 가능 input image문의 : 성북구 평생학습관 ☎ 02-2241-2420 ~ 5 다문화가족 사회통합프로그램 엄마와 아이가 함께하는 다문화가정 한글교실[엄마반]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관련 어휘 정리/틀리기 쉬운 한국어문법/한국어발음교정/초등학교 입학 준비과정 알아보기2016. 9. 3.~10. 29. 매주 토요일 10:00~12:00[자녀반] 한글교육 및 학습지도(1:1 멘토링), 체험놀이 활동 등2016. 9. 3.~10. 29. 매주 토요일 10:00~12:00가족봉사단과 함께하는 한국문화 이해하기, 전래동화 및 전통 민속놀이2016. 10. 29.(토) 10:00~12:00모집인원 : 10가정(이주민·다문화아동)장소 :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라이시움) 110호, 111호(성북구 안암로 145)신청방법 : 전화접수(☎ 02-3290-1660, 070-7725-0753) 구민정보화교육 9월 수강생 모집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성북구청 홈페이지 ▶ 강좌신청 메뉴 하단구민정보화교육), 현장접수(성북정보화센터(제1교육장))※ 전화접수 불가(컴퓨터입문, 컴퓨터기초 활용 가능)수강료 : 10,000원/1개월(‘컴퓨터입문’ 과정은 하단참조,우리은행 1006-801-350789, 예금주 : 성북구청)※ 접수 후 본인 이름으로 입금(현장 현금납부 불가), 교재비 별도※ 개강 전일까지 미입금자는 취소 처리, 개강 이후 수강료 환불 불가접수기간 : 2016. 8. 26.(금) 09:00~29.(월) 17:00[결과 발표(미달과목 추가접수) : 8. 30.(화) 11:00]수강생 선발 방법 : 선착순※‘성북구민’ 우선 선발, 주소 미기재시 자동 취소될 수 있음과목별 접수 및 교육일정※ 추석연휴와 관련, 성북정보도서관(상월곡동) 월·수·금반은월 8회 2시간 30분 강의 input imageinput image※ 제2교육장은 도서관 휴관일(매월 첫째주, 셋째주 월요일)에 쉽니다.※ 강의실 좌석은 앞번호부터 연장자순으로 배정※ 월별 1인당 1강좌 신청(정원미달 강좌에 한해 추가접수시 1인 1강좌 및 타 구민 신청가능)※ 컴퓨터입문 교육은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55세 이상자, 결혼이민자 등 국가정보화기본법 35조에 의한 사람만 무료 수강※ 기초생활수급자 및 국가유공자는 연 1회에 한하여 무료입니다.문의 : 구민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제14기 최고경영자 연구과정 수강생 모집모집인원 : 성북구 소재 기업체 대표 및 임원 40명 내외모집기간 : 2016. 7. 11.(월)~9. 9.(금)제출서류 : 입학지원서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증명사진(파일도 가능)교육기간 : 2016. 9. 21.(수)~11. 23.(수), 기간 중 수요일 17:00~19:00(주 1회, 매주 수요일, 총 10회, 워크숍 포함)교육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 3층)비용 : 수강료 무료, 교류회비 30만원교육내용 : CEO 핵심역량 및 미래 경영 과정접수방법 : 성북구상공회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받아 작성 후 이메일(ksjoon77@korcham.net), 팩스(02-909-8197) 전송문의 : 서울상공회의소 성북구상공회 ☎ 02-909-8195~6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역사와 문화재 탐방학교(제4기) 참여자 모집일시 : 2016. 9. 24.~12. 10. 매주 토요일 총 10회대상 : 초등학교 3~6학년 학생과 학부모장소 : 회기별 탐방장소(※ 자세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문의 바랍니다)내용 : 오리엔테이션, 회기별 탐방장소 답사, 수료식해설 : 궁아리/문화유산해설사 단체참가비 : 자녀 1명 10,000원(입장료, 교재비 별도)문의 :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이웃성장팀 ☎ 02-916-9193]]> Wed, 24 Aug 2016 16:40:57 +0000 9 <![CDATA[청년은 우리 가족의 미래입니다 ]]> Q1 청년활동지원사업이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A 우리나라의 청년 실업률은 12.5%(2016. 2월 기준)로, 서울시 20대 청년 144만 명 중 장기미취업, 불안정고용 등 ‘사회 밖’ 청년이 50만 명에 이른다. 이런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서울시는 청년들에게 6개월 범위에서 월 50만원의 활동지원금을 지원하여, 구직 등 청년들의 사회진출을 돕고자 청년활동지원사업을 마련했다. Q2 서울시 청년수당은 누가 받나? A 서울에 1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만19~29세 청년(근무시간 30시간 미만) 가운데 가구소득, 미취업기간, 부양가족 수 등을 기준으로 별도의 선정심사위원회에서 대상자를 선정한다. 지원된 청년수당은 취·창업과 연관된 활동(구직활동에 필요한 각종 기술학원·취업학원 비용 및 면접을 위한 교통비나 스터디 비용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Q3 다른 나라에도 비슷한 제도가 있나? A 유럽연합 이사회는 청년 무직자를 대상으로 2014~2020년까지 총 600억 유로(약75조1천700억원)을 투입하는 청년보장(Youth Guar-antee)사업을 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2015년 구직활동과 직업참여를 약속한 18~26세 청년들에게 월452유로(약 57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다양한 직업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청년보장제도(La Garantie Jeunes)를 시행하고 있다. Q4 중앙정부는 왜 반대하고 있나? A 보건복지부는 서울시 청년수당이 청년들의 도덕적 해이를 초래하게 되고 구직활동과 무관한 항목에 사용할 수 있는 무분별한 현금 지급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매달 활동결과보고서 점검 및 지출내역(현금영수증 및 신용카드영수증 첨부) 확인 등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구직활동 이외에 다른 곳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부정 사용시는 대상자에서 제외된다.Q5 돈만 받고 구직 활동을 게을리 하지 않을까? A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1년간 1천 유로씩 46명에게 기본소득을 주는 독일의 ‘마인 그룬트아인콤멘’ 프로젝트의 경우, 참가자는 모두 지급받은 기본소득으로 직업훈련이나 교육을 받고, 학교 진학 등 새로운 길을 찾으려 노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Q6 과도한 세금낭비 아닌가? A 3천명 대상의 시범사업으로 중앙정부의 2조원 청년예산의 0.4%에 불과한 90억원이다.Q7 50만원, 고작 용돈 수준 아닌가? A 청년수당 50만원은 최저임금 6,030원 기준으로 환산하면 청년에게 하루 약3시간을 미래에 투자할 수 있는 여유를 준다. 단지 돈이 아닌 시간과 기회의 문제일수 있다. Q8 저소득층, 어르신 등 더 어려운 사람도 많지 않은가? A 청년수당은 단순히 청년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부모님은 자녀에게 용돈을 주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고, 청년은 취직 준비에 몰입할 수 있다. 또 저소득층, 어르신, 취학전 아동을 위해서는 기초생활수급자제도, 기초노령연금, 보육수당 등이 있지만, 청년들을 위한 사회안전망은 갖춰져 있지 않다.               input image 2016 추석절 농수산물 서울장터우리나라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서울광장에서 2016 추석절농수산물 서울장터가 열린다.기 간 : 2016. 9. 7(수) ~ 9. 11(일) 10:00~18:00※개막식 9.7(수)16:00 /야간장터9.9(금)10:00~22:00 장 소 : 서울광장, 무교로 일원참 가 : 전국 12개 시·도, 130개 시·군내 용 : 농산물 직거래판매, 문화행사 등 부대행사문의 ☎ 도시농업과 2133-5396 지하철 출입구 금연구역 집중 단속 오는 9월부터 지하철 출입구 금연구역 단속이 본격 실시된다. 지난 5월 서울시에서 시민들을 간접흡연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서울시는 모든 지하철 출입구(10m)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한데 따른 조치이다.지정근거 : 서울특별시 간접흡연 피해방지 조례 제5조제1항제6호 및 제8호지정장소 및 범위 :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로부터 10m이내금연단속 : 2016. 9. 1~계속 ※ 집중단속 : 2016. 9. 1 ~ 9. 9과 태 료 : 10만원(노원, 서초구는 5만원)문의 ☎ 건강증진과 2133-7566 ]]> Wed, 24 Aug 2016 16:47:39 +0000 9 <![CDATA[생활쓰레기 배출(수거)요일 안내 ]]> 문의 : 청소행정과 ☎ 02-2241-4400 스마트 국민제보 앱, 인증샷 톡톡여성 불안 신고 ‘스마트 국민제보 앱’ 설치 인증샷을 찍어 SNS에 올려 주시는 분께 종암경찰서에서 추첨을 통해 ‘푸짐한 선물’을 드립니다.input image참여기간 : 2016. 8. 25.(목)~9. 6.(화)당첨자 발표 : 2016. 9. 8.(목)이벤트 선물 : 캐릭터 호신용 경보기 5개, 보조배터리 5개문의 : 서울종암경찰서 ☎ 02-3396-7232 지역주택조합 꼼꼼하게 따져보세요최근 지역주택사업이 추진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합원 가입을 일반분양으로 잘못 알고 사업에 참여하여 재산상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있어, 지역주택조합의 유의사항 등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우리구에서는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 홍보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지역주택조합 관련 자료는 성북구청 홈페이지 우측 상단의 ‘지역주택조합 바로알기’를 선택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홍보유인물은 구청 및 각 동주민센터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지역주택조합원 자격요건을 따져보세요!조합설립 인가 신청일 현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무주택자 또는 주거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1채 소유한 세대주여야 합니다.지역주택조합사업의 추진과정을 따져보세요!input image조합원모집 과정에서 세대수, 층수 등 확정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으며, 95% 이상의 토지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지확보 가능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문의 : 주거정비과 ☎ 02-2241-2913, 2915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재산세를 9월 30일까지 꼭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은 토지를 포함한 1년 세액의 1/2과토지분 재산세가 과세됩니다.납세의무자 : 2016. 6. 1. 현재 주택, 토지 소유자납부 기간 : 2016. 9. 16.~9. 30.납부 방법 : 전국 은행, 농협, 우체국 등 방문 납부하거나 인터넷(http://etax.seoul.go.kr) 및 전용계좌로 납부 가능하며 ARS(☎1599-3900)나 스마트폰으로 납부하실 수 있고 국내 모든 신용카드로 납부 가능합니다(할부이자 본인부담).서울시 각 구청 세무과 및 주민자치센터에서 고지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문의 : 세무1과 ☎ 02-2241-4063~4068, 4072~408 아나바다+프리마켓 <동선나누장> 안내대상 : 주민 누구나 (초·중·고 학생 및 가족, 단체 등)내용 : 중고 생활용품 및 프리마켓, 다양한 체험행사일시 및 장소 : 2016. 9. 24.(토) 12:00~16:00, 동선동주민센터 골목 일대신청방법 : 전화 및 문자(반짝단 담당자 ☎ 010-4436-4085), 이메일n(anakim3@gmail.com), 선착순 접수주관 : 동선동 마을활력소 마을활력단(동동마당 반짝단)문의 : 동선동주민센터 ☎ 02-2241-5098 더불어 함께하는 장위1동, 제4회 『 사랑모아 기쁨나눔 바자회』 개최일시 : 2016. 9. 3.(토) 10:00~16:00장소 : 장위중앙교회(성북구 장월로 101)행사내용 : 개막식, 후원물품 알뜰장터, 나눔 먹거리 장터, 경품행사, 체험행사, 공연 및 전시, 복지협의체 활동 홍보주최 : 장위1동 지역사회복지협의체수익금 사용계획 : 100세 어르신 세배하기, 홀몸어르신 생신선물 지원, 청소년 장학금 지원사업 ,주거취약계층 집수리 지원, 위기가구 긴급지원, 사랑의 김장·쌀 나눔 등문의 : 장위1동주민센터 보건복지지원팀 ☎ 02-2241-6320 시민노동법률학교 참여 안내일시 : 2016. 9. 8.(목)~10. 13.(목) 19:00~21:00(매주 목요일, 총 5회)장소 : 성북구청 3층(성북배움터)접수기간 : 2016. 8. 22.(월)~9. 7.(수)수강료 : 무료, 다과제공강의내용(총 5강)1. 비정규직이 뭐죠? 기간제는 또 뭐구!2. 최저임금, 퇴직금. 나도 보호받을 수 있나요?3. 쉬고 싶어요. (연차)휴가, 휴게시간을 주세요.4. 이건 너무 억울해! 부당해고, 징계5. 명사초청 특강문의 및 접수 : 성북구노동권익센터 ☎ 02-909-3987 ‘성북장학회 제13회 특별미술전’ 개최우리구에서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미술가들이 뜻을 모아 만든 장학단체인 성북장학회에서 미술작품 판매를 통해 장학기금을 마련하고자 성북구청과 함께 특별미술전을 개최합니다. 구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기간 : 2016. 9. 26.(월)~9. 29.(목) <4일간, 09:00~18:00>장소 : 성북구청 성북아트홀(4층)작가 : 성북장학회원 및 성북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국내 유명 작가전시작품 : 동양화, 서양화, 조각, 서예 등 40여 점내용 : 작품전시 및 장학기금 마련을 위한 출품작품 판매주최 및 후원 : 성북장학회 / 성북구청관람료 : 무료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04 『성북구택견이야기 사진전』 개최input image일시 : 2016. 9. 1.(목)~9. 9.(금)장소 : 성북구청 2F 갤러리주관 : 성북구택견연합회(회장 방만식)문의 : 문화체육과 ☎ 02-2241-2622         2016 성북문화가족 어울마당 축제 - 전시마당어울마당 축제는 성북문화원 문화강좌를 수강했던 수강생들이 그동안 다져온 기량을 펼쳐 보이는 행사입니다.일시 : 2016. 9. 22.(목)~9. 30.(금), 9일간장소 : 성북예술창작터전시내용 : 서양화, 수묵산수화, 규방공예, 사군자, 한글서예, 한문서예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지역의 에너지복지 기금마련을 위한 ‘소나기 축제’일시 : 2016. 9. 24.(토) 14:00~19:30장소 : 정릉 벧엘교회(솔샘로 17길 8)내용 : 사랑의 음악회(마로니에프렌즈, 전원석, 노현희, 정철규 등),나눔바자회(의류 및 잡화, 시끌시끌벼룩장터)※ 행사당일 지역주민을 위한 경품추점이 진행됩니다.※ 사랑의 음악회는 출연자의 사정으로 프로그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소나기 축제의 후원금(1구좌 10,000원)은 정릉지역 에너지빈곤층 서비스지원을 위해 사용됩니다.주최 : 정릉종합사회복지관주관 : 향기를 나누는 사람들의 모임(자원봉사단체 향·나·모)문의 : 정릉종합사회복지관 지역조직팀 ☎ 02-909-0434~6 아동친화도시 성북구 어린이집·지역아동센터 주변 금연구역 확대지정 지하철 출입구 10미터 금연, 9월 1일부터 과태료 부과성북구는 간접흡연으로부터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하여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주변을, 지하철 이용 시민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출입구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합니다.input image문의 : 보건소 건강정책과 ☎ 02-2241-5943]]> Wed, 24 Aug 2016 16:52:05 +000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