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국내 사망원인 2위 심장 질환...
대표적인 치료법은 관상동맥중재술

“현재의 키보다는 크는 속도를 정기적으로 체크해야...”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면서 주의해야 할 질환이 있다. 바로 심장 질환이다. 국내 사망원인 2위로 지목되는 심장 질환은 고령화, 비만, 대사성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증가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이 있다.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근육의 일부에 혈액 공급이 감소하거나 중단되어 발생한다. 혈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다.

치료 방법은 크게 약물치료, 관상동맥중재시술,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이 있다. 약물치료는 모든 관상동맥 질환 치료의 근간이 된다. 혈관이 심하게 좁아져 혈관을 다시 열어주어야 할 때에는 관상동맥중재시술이나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을 한다. 관상동맥중재시술은 대퇴동맥이나 손목에 위치한 요골동맥을 통해 풍선 카테터나 스텐트 등의 의료기기를 삽입하여 좁아지거나 막힌 심혈관을 확장하고 넓혀주는 치료 방법이다. 우회로 수술 대비 회복이 빨라 널리 시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텐트라고 하는 얇은 금속망을 넣어 혈관을 확장시키는 스텐트 삽입술 치료가 있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어떤 차이는?
관상동맥은 대동맥이 시작되는 부위에서 나와 심장을 감싸고 있으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혈관이다. 관상동맥의 내경이 심각하게 좁아져서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원활치 않으면 가슴 통증을 일으키는 협심증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면 혈액 공급이 전혀 되지 않아 심장근육이 괴사 되는데 이는 심근경색증이다.

스텐트삽입 후,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한다던데.
기본적으로 스텐트는 외부에서 삽입된 이물질이기 때문에, 혈액과 접촉되면 혈전이 생긴다. 이것이 스텐트 혈전증이다. 혈전으로 인해 혈관이 다시 막히는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후 6개월에서 1년까지는 두 종류의 항혈소판제(이중항혈소판요법)를 복용하고, 그 이후에도 한 종류의 항혈소판제를 평생 복용해야 한다.

스텐트삽입술이 관상동맥중재시술 치료의 가장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한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스텐트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되었다. 그럼에도, 한번 스텐트가 삽입되면 스텐트 관련 합병증으로부터 평생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항혈소판제 지속 복용에 따르는 출혈 위험 때문에 수술은 물론이고 치과 치료나 내시경 시술, 조직 검사 등을 할 때, 일일이 심장내과 전문의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항혈소판제를 중단할 때에는 혈전증으로 스텐트가 막히지 않을까 항상 노심초사해야 한다.

스텐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치료법은?
약물방출풍선(Drug-Coated Balloon, DCB)을 이용한 관상동맥 확장성형술은 스텐트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다. 기존 약물스텐트는 금속망에 약물을 코팅한 것으로, 시술 후 금속망이 체내에 잔존한다. 약물방출풍선은 풍선카테터에 약물을 코팅한 것으로 혈관 내에서 풍선을 부풀리면 외부에 발라진 약물이 혈관 벽에 전달된다. 좁아진 혈관 부위를 풍선확장술로 선제 확장시키고 확장 반응이 양호한 경우, 약물 풍선을 넣어 혈관 벽에 약물만을 전달한다. 약물을 전달한 매개체인 풍선은 다시 몸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몸 안에 남는 이물질이 없다.

약물방출풍선 시술 후 약 1-3개월 정도로 짧게 이중항혈소판요법을 시행한다. 그 이후에 복용하는 항혈소판제도 완전히 중단할 수도 있어 출혈위험도가 높은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스텐트와 마찬가지로 재협착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혈관 내에 남는 이물질이 없어 병변이 재발하더라도 재시술이 용이하고, 혈관 우회술 같은 수술적 치료로 전환하는 데에도 저해 요소가 없다. 개인적으로 가능하면 약물방출풍선 치료를 하려고 노력한다.

약물방출풍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행 빈도가 낮은 이유는.
약물방출풍선 시술을 위해서는 좁아진 혈관을 충분히 확장시키는 적극적인 선제 확장 과정이 필요하다. 스텐트가 지나갈 정도로 가볍게 확장하고 스텐트를 넣어 확장시키는 기존 스텐트 삽입술과는 차이가 있다. 여러 차례의 확장성형 과정으로 인해 스텐트 삽입술 대비 시간과 노력이 더 든다. 좋은 시술 결과를 위해 풍선 종류와 사이즈 결정에서부터 확장 강도 조절까지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다른 이유는 보험급여 적용 여부다. 현재 약물방출풍선은 스텐트 시술 후 재협착이 발생했거나 직경 2.5±0.25mm의 가는 관상동맥 혈관질환에 대해서만 보험급여가 적용된다. 큰 혈관일 경우에는 보험 적용이 안 된다. 반면에 스텐트는 대부분의 병변에 급여 적용이 가능하다.

약물방출풍선 치료에 대한 임상 경험과 근거가 축적되고 급여 적용 범위가 확대되면 현장에서 시행 비율이 점차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한다. 질환이 심한 환자에서는 스텐트와 약물방출풍선를 같이 사용해 스텐트 삽입 개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약물방출풍선 치료를 통해 혈관을 가능한 한 자연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지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 제공: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순환기내과 김선원 교수
· 전문분야 : 협심증, 심근경색, 심혈관중재시술, 고지혈증, 고혈압, 실신
· 담당클리닉 : 흉통 클리닉(심장중재시술 클리닉)

SNS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