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려진 철길의 화려한 변신
경의선숲길 전구간 조성 완료!
허물고 다시 짓기보다는 수명을 다한 공간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 것. 바로,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정신이다. 한때 지상으로 달리다, 2005년부터 지하화를 시작한 경의선의 좁고 긴 지상구간을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 ‘경의선숲길’이 마침내 시민들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경의선숲길’의 구간별 특징과 만들어지기까지 과정을 알아보자.
총길이 6.3㎞ … 102,008㎡ 면적의 대규모 녹지
한 때는 의주와 서울을 잇는 선로의 일부였으나, 지하 선로 운행으로 더 이상 쓸모없어진 용산~가좌 구간의 폐철로가 새로운 녹지공원 경의선숲길로 화려하게 탈바꿈 했다. 서울시는 경의선 폐철로 부지를 경의선 숲길공원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2011년 시작하여 지난 5월 21일 완료, 시민에게 개방했다. 이번 경의선숲길 조성 사업은 총 길이 6.3km, 면적 102,008㎡의 대규모 녹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지상 부지를 무상 제공하고, 서울시에서 2011년부터 총 457억 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경의선 지상 구간을 공원화 한 것이다. 경의선숲길에는 길마다 크고 작은 잔디마당이 광장과 연결되어 있다. 이 공간들은 주민들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하면서 필요한 시설을 넣어 지역의 화합과 소통의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완성해 나가게 된다. 이번에 완공된 경의선숲길의 매력과 조성 포인트를 알아보자.
역사성, 시민소통의 장 등 독특한 매력 갖춰 조성
① 연남동(1,268m)구간은 요새 가장 뜨는 동네인 연남동을 가로지르고 있어 경의선숲길에서 가장 활력 넘치는 길이다. 지하철 홍대입구역 3번 출구로 나오면 큰 소나무가 경의선숲길 연남동 구간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② 와우교(366m)구간은 땡땡거리라고 불리는 옛 창전 동 철길 교차로가 있던 자리에 조성됐다. 홍대 인디음악의 발원지인 땡땡거리의 장소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문화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크고 작은 열린공간을 공원 곳곳에 도입하였다.
③ 신수동(390m)구간은 서강대학교 전면부를 따라 위치하며, 향후 지역주민과 학생들이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는 ‘청춘의 마당’을 주제로 기획되었다. 특히 공원을 따라 흐르는 작은 물길을 조성하여 도심 속 휴식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④ 대흥동(760m)구간은 경의선숲길 구간중에서 가장 먼저 개장하였으며, 봄이면 수백그루의 벚나무가 화려 하게 꽃을 피운다. 공원에 조성된 산책로와 자전거길을 따라 많은 시민들이 여유롭게 여가를 즐길수 있다.
⑤ 염리동(150m)구간은 공덕역과 연결되며, 메타세콰이어길과 느티나무 터널이 보는 것만으로도 시원하다. 과거 철길을 재현한 공간, 작은 연못, 탁 트인 잔디밭, 곳곳에 심은 나무들이 어우러져 알찬 느낌을 준다.
⑥ 새창고개(630m)구간은 현재 용산의 유래가 되는 곳으로 경의선으로 단절되었던 구간을 이어 역사성을 재 해석했다. 마포구 도화동 현대아파트 부근의 지하철 공덕역 10번 출구와 바로 연결된다.
⑦ 원효로(330m)구간은 경의선숲길의 시점부로, 옛 철길의 기억을 회상하고 추억할 수 있는 상징적인 공간 으로 조성되었다. 공원 내에는 철길 플랫폼을 연상시키는 쉼터와 함께 화물열차 1량을 설치하여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토록했다.
시민과 함께 완성해가는 공원
시는 이처럼 각각의 매력을 지닌 경의선숲길의 올바른 운영과 시민이 주도하는 공원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의선숲길 지역 협의체를 21일 개원과 함께 발족했다. 시민, 전문가, 문화·예술가, 지역 상인으로 구성된 ‘경의선숲길지역협의체’는 경의선숲길을 서울시 최초 로 시민 주도로 운영하는 공원으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경의선 100년의 역사 위에 만들어지는 경의선숲길은 시민과 함께 완성해 가는 공원으로, 지역의 문화와 예술, 과거와 현재를 한 길에서 만나는 시민공간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문의 ☎공원조성과 2133-2065
2016 서울시 농부의 시장 놀러 오세요
전국 82개 시군이 추천한 130여 농수특산물을 시중가보다 10~30%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농부의 시장이 4월부터 11월 까지 열리고 있다.
기간 : 2016년 4월 27일 ~ 11월 6일, 10:00~18:00
장소
능동어린이대공원, 보라매공원(매주 수·목)
서울혁신파크, 덕수궁돌담길(2, 4주 토·일)
내용 : 농산물 직거래판매, 문화행사
문의 ☎ 도시농업과 2133-5396
서울시 신속행정서비스 이용 하세요
서울시가 건축허가 신속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건축 허가가 오랫동안 지연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건축 절차는 어디부터 시작 해야 할지, 이해가 안 되는 법령이나 규정은 어디에 물어봐야하는지 등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서울시 건축허가 신속행정서비스를 이용하자. 건축허가 관련 문제점, 궁금증을 시민 입장에서 속 시원하게 도와주고 있다.
내용 : 행정절차 컨설팅, 신속한 행정처리를 위한 부서 간 쟁점 조정, 건축법령, 규정 상담
이용방법 : 방문(서소문청사 2동), 유선(신속행정 프로젝트 매니저 ☎2133-4248~9), e-mail( fasttrack@seoul.go.kr)
문의 ☎ 신속행정추진단 2133-4248~92016
서울시 봉사상 후보 추천 하세요
서울시가 2016년 서울특별시 봉사상 후보자를 추천 받는다
기간 : 2016.5.19(목)~ 7.18(월)
대상
- 기부선행, 시민화합, 지역사회발전 등에 헌신 봉사한 모범시민 및 단체
- 자신의 재능을 이웃과 함께 나누는 재능봉사를 실천한 모범시민 및 단체
- 문화,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를 실천한 모범시민 및 단체
- 가족단위의 봉사를 실천한 모범가족
추천권자
- 행정기관, 행정기관에 등록되어 있는 단체
- 개인 추천시 10인 이상 서울시민 연서
접수 : 방문, 우편, e-mail(kim0761@seoul.go.kr)
※ 추천서식은 시 홈페이지 내 서울소개/시민상·시민표창/시민상 후보자 추천안내 다운로드
문의 ☎ 시 자치행정과 (2133-5829) 및 자치구 시민 표창 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