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sidebar
open sidebar

    

둥근 엄마

박혜영(길음2동)


나의 엄마는 둥글다

얼굴도 둥글고 눈의 쌍꺼풀도 둥글고

볼펜 스프링처럼 이어진 머리카락도 둥글다


농사일을 한 손가락마디에는 달팽이가 둥근 집을 지었고

세월이 잡아당긴 등에는 둥근 거북이도 한 마리 산다


발이 아파 항상 둥근 신발을 신고

걸음도 둥글게 둥글게 걸어 둥근 길만 다니신다.


둥근 해가 뜬 아침이면 내게 전화를 해서

“영아야, 밥 묵읏냐?

날 칩다. 따시게 단디 입고 다니그라”


엄마의 둥근 목소리가 데굴데굴 굴러온다

둥근 엄마가 낳은 둥근 딸에게로 둥근 사랑이 온다.



< 읍면동 복지허브화 성공적 추진을 위한 우수체험수기 당선작소개 >

지난 2015~2016년 보건복지부 사회보장급여 이용 및 사례관리체험수기에 공모하여 가작에 당선 되었습니다.


나의 새로운 가족

박영민(가명, 17세, 남)



엄마는 초등학교 1학년에 집을 나가셨다. 엄마가 안 계셨던 나는 자주 외로워서 울곤 했다. 초등학교 5학년, 엄마가 안 계시다는 게 적응이 될 무렵 이번엔 알코올중독으로 아버지가 정신병원에 입원하셨다. 그렇게 난 철저히 혼자가 되었다. 집에 들어와 불을 켜면 흐르는 적막감……. 그게 나의 가족이었다. 밤새 혼자인 것도, 혼자 먹는 편의점 도시락도, 귀찮으면 안 먹고 지내는 하루가 내 삶의 전부였다.


그런데 이 침묵을 깨는 사건이 발생했다. 어느 날 주민센터 선생님이라는 사람이 집에 찾아온 것이다. 요즘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해서 왔다고 했다. 병원에서 휴가를 받고 오신 아버지는 그날도 술에 취한 상태셨다. 선생님은 나에게 물었다. “영민이는 지내면서 힘든 점이나 불편한 점은 없니?” 난 몸이 많이 말랐다. 신체검사에서는 빈혈이라고 나왔고 가끔 머리가 어지러웠다. 그래서 살이 찌고 싶은데, 잘 되지 않았다. 수급비는 월세와 공과금을 내기에도 빠듯한 금액이었고, 하루 한 끼 지원되는 급식카드는 편의점 도시락을 사먹기도 부족했다. 그래서 내가 택한 방법은 학교에 다녀온 후 배가 고프기 전에 미리 잠들어서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었다. 그렇게 하면 하루 한 끼가 지원되는 급식카드로 저녁 겸아침을 먹을 수 있었다. 편의점 도시락 한 끼가 내가 집에서 먹는 유일한 밥이었다. 그래서 난 대답했다. “고기가 먹고 싶어요”라고.


주민센터 선생님은 알겠다고 하고선 집을 여기저기 둘러보더니 돌아갔다. 그리고 다신 안 올 줄 알았던 선생님이 1시간 만에 돌아왔다. 어리둥절하게 문을 열었던 나에게 선생님은 한아름 선물을 줬다. 추석선물이라고 했다. 새삼 추석이라는 것을 느낀 나는 선물을 하나씩 풀어보았다. 햄, 참치, 라면, 쌀……. 이번 연휴에는 먹을 게 많다고 생각하니 조금 웃음이 났다. 추석연휴가 지나고 다시 선생님에게 연락이 왔다. 급식카드 한도를 늘려주었다는 것이다. 이제 하루 두 끼를 먹을 수 있다는 생각에 안도감이 들었다. 선생님은 같이 고기를 먹으러 가는 게 어떻겠냐고 물었지만 나는 그건 왠지 부담스러워서 싫다고했다. 그 후에도 선생님은 여러 번 찾아와 반찬과 과일을 사다주고 갔다.


11월의 어느 날, 선생님이 장학금을 추천해줘서 받은 날이었다. 큰돈이 생긴 나는혹시나 잊어버릴까봐 받자마자 가방에 넣어서 왔다. 집에 와서 하얀 봉투에 들은 장학금을 자랑스럽게 책상 위에 올려놓고 학교에 다녀왔는데 봉투가 감쪽같이 사라졌다. 당황스러웠지만 더 무서운 건 집에 도둑이 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누구에게 말을 해야겠는데 딱히 말할 곳이 없었다. 나는 선생님에게 전화를 했다. 장학금을 추천해줘서 받았는데 잃어버렸다고, 죄송하다고 이야기했다. 선생님은 괜찮다고 하며 어찌된 것인지를 물었고 나는 아마 집에 도둑이 든 것 같다고 말했다. 선생님은 그 후에 아빠와 친척들과 여러 번 만나서 이야기를 나눴고 결국 주민센터 근처의 더 깨끗하고 안전한 집으로 이사를 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선생님이 자주 찾아오는 것도, 이야기하는 것도 부담스러웠다. 혼자 지내는 시간이 많아서였을까? 하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이제는 자연스러워졌다. 지금도 선생님과 자주 연락을 하며 진로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고민 상담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도움에 감사한 마음이 든다. 선생님은 알고 있을까? 이제 난 세상이 따뜻하다는 것을 믿게 됐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성북소리는 구민 여러분의 소중한 사연(글, 사진)을 기다립니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난 이야기, 아름다운 이웃들의 사연, 우리동네 자랑거리, 시와 수필 등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자신만의 솜씨를 뽐내보세요. 보내주신 원고는 편집방향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주제 제한없음
분량 A4 1장 내
보내실 곳 성북구 보문로 168 성북구청 홍보전산과 성북소리 담당자
이메일 kim1202@sb.go.kr
참고사항 작품의 제목과 설명, 보내시는 분 성함, 주소, 연락가능한 휴대폰 번호를 꼭 기입해 주세요. 반드시 본인의 작품을 보내주시기 바라며, 저작권 및 초상권 침해의 소지가 있는 글과 사진은 채택되지 않습니다.


문의 홍보전산과 ☎ 02-2241-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