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북문화원은 이 글을 시작으로 조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성북동 역사이야기를 게재합니다.이 글은 그 가운데 성북동의 탄생을 담은 글입니다.
성북동은 성(城)의 북쪽(北)에 있는 마을(洞)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성은 한양도성이니, 성북동은 한양도성이 만들어진 이후에 붙은 이름이다.한양 땅에서 동소문이라고 불리는 혜화문이 세워진 낮은 언덕을 넘고, 미아리고개를 오르는 길은 동북면으로가는 가장 빠른 길이었다. 성북동은 이 중요한 교통로에 접한 마을이다. 한양에서 혜화문 고개를 넘으면 바로 성북천이 흘렀고 왼쪽으로 성북천을 따라 자리한 마을이 바로 성북동이다. 성북동은 또한 아늑한 마을이었다. 백두대간은 힘차게달려 내려와 그 일부가 한양의 백악산까지 이른다. 백악산에 이르기 직전 작은 두 봉우리-구준봉과 응봉-에서 내려온 산자락이 감싸고 있는 마을이 성북동이다. 그산자락 사이로 흐르던 것이 성북천이었으니, 성북동은한양과 가깝고, 물이 흐르고, 산이 감싸고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었다.
하지만 경치가 아름답다고 사람의 삶에도 좋은 것은 아니었다. 성북동의 토질은 농사에 적합하지 않았다. 더구나 산 사이에 개천이 흐르는 일종의 계곡과 같은 지형이었으므로 넓은 경작지를 확보하기도 힘들었다. 조선시대 중국의 제도를 따라 북쪽 외각인 성북동에 선잠단을 쌓고 나라의 큰 제사인 선잠제향을 봉행하였지만, 그것이 성북동을 사람살기에 맞춤인 마을로 바꾼것은 아니었다.성북동에 사람을 살게 한 것은 교통과 자연환경이었다.한양도성의 북문으로 만들어 놓은 숙정문은 너무 산속에 있었고, 문을 열어 두면 음란한 풍속이 돈다는 풍수상의 이유도 겹쳐 문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 동소문은 동북면으로 가는 가장 빠른 위치에 있었고, 그만큼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문이었다. 군사적으로 중요할 수밖에 없었다. 또 혜화문 밖 삼선평은 말 그대로 넓은 평야여서 군사 훈련하기에도 좋았다. 영조는 이곳에한양을 지키는 세 부대 가운데 하나인 어영청의 북둔(北屯)을 설치한다.
군 시설을 놓고, 군사들을 살게 하였지만, 이것으로는부족했다. 병농일치 사회에서 성북동에 사는 주민들이많아야 국방이 안정될 수 있었다. 그리고 여전히 농사를 짓기 힘든 땅이었던 성북동에는 사람이 많이 살지 않았다. 영조는 이곳에 사람을 살게 하기 위해 그들의 생업을 보장해 주는 방법을 택했다. 성북동에서 쑨 메주와 마전한 포백을 국가가 값을 보장하고 사 주기로 결정하고 문서로 보장하였다. 지금도 남아 있는 「성북동포백훈조계완문절목」은 바로 이것을 보장한 문서이다.이로써 성북동에는 많지는 않아도 사람들이 모여 살기시작했다. 드디어 성북동에 마을다운 마을이 만들어진 것이다. 1766년의 일이었다.
1840년대에 만들어진 「수선전도」, 성북동이란 지명이 산과 산 사이 골짜기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9기 성북협동조합 마을학교 수강생 모집
“우리, 협동조합 한 번 해볼까?”“협동조합~! 어떻게 하는 건데?”그 궁금증을 성북구 『제9기 성북협동조합 마을학교』에서 풀어 드립니다.
기간 : 2016. 4. 19.(화)~6. 14.(화) 10:00~12:00, 주 1회 총 8강
장소 : 성북구 평생학습관(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상가 3층)
대상 : 협동조합에 관심있는 누구나
모집인원 : 선착순 100명
신청기간 : 2016. 3. 28.(월)~4. 18.(월)
수강료 : 무료
기타 : 각과정 4강 중 3강 이상 수강자 수료증 수여
문의 및 접수 : 성북구청 홈페이지 강좌신청(온라인접수)
성북구청 마을사회적경제과 전화 또는
이메일(violem@sb.go.kr, kbkjj@sb.go.kr) 접수
문의 : 마을사회적경제과 ☎ 02-2241-3922, 3924 / 팩스 : 02-2241-6573
성북여성회관 2016 봄학기 수강생 모집
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 성북구 성북로 4길 177
성북예술창작터 성북예술동N 전시지원 작가공모
<실눈뜨기 Opening half-closed eyes>展
성북예술창작터는 성북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관련 주제를 다루는 역량있는 작가들을 발굴하기 위해 ‘2016 성북예술동N 전시지원 작가공모’를 진행했고, 최종 선정된 작가들의 전시는 성북예술창작터와 성북도원 두 곳에서 개최됩니다.
전시일정 : 2016. 3. 23.(수)~4. 17.(일)
전시장소
-성북예술창작터(성북구 성북로 23) -지연리(회화), 박종호(회화)
-성북도원(성북구 성북로 31길126-9)- 김도희(영상, 설치),신이피(영상, 퍼포먼스)
아티스트 토크 : 2016. 3. 30.(수) 16:00~19:00 성북도원
클로징 파티 : 2016. 4. 15.(금) 17:00 성북예술창작터
문의 : 성북예술창작터 ☎ 02-2038-9989
성북구립미술관 2016 봄 기획전시
<소정 변관식>展 개최(4. 12.~5. 22.)
성북예술창작터는 성북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관련 주제를 다루는 역량있는 작가들을 발굴하기 위해 ‘2016 성북예술동N 전시지원 작가공모’를 진행했고, 최종 선정된 작가들의 전시는 성북예술창작터와 성북도원 두 곳에서 개최됩니다.
전시기간 : 2016. 4. 12.(화)~5. 22.(일)
※매주 월요일 휴관
주최·주관 : 성북구립미술관, 성북문화재단
관람료 : 성인 1,000원(매주 토요일 무료)
위치 및 장소 : 성북구립미술관 제1, 2전시실(성북구 성북로 134)
<외금강 삼선암 추색, 1966>
문의 : 성북구립미술관 ☎ 02-6925-5011
2016년 지구의 날 행사 안내
성북구에서는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우리가 살고 있는 하나뿐인 지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지구 환경 보전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일들을 구민 여러분과 공유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차 없는 거리에서 지구의 날 행사를 개최합니다.
행사일시 : 2016. 4. 23(토) 10:00~16:00
장소 : 성북동 성북로(성북동주민센터 맞은편) 일대
행사내용 : 무대행사, 친환경 에너지 기기 전시(LED, 태양광 등), 성북동 어린이와 함께 하는 나눔바자회, EM발효액 만들기 및 판매, 동네 자전거 수리공방, 전기차 카셰어링 홍보, 자동차 부수기 퍼포먼스, 인력거 타기 체험, 차없는 거리 행사 등
찾아오시는 길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방향(도보 10분 거리)
문의 : 환경과 ☎ 02-2241-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