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sidebar
open sidebar
input image

“서울시 전체가 커다란 학교!”

 

얼마전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이 화제를 모았다, 불과 몇 년 전만해도 바둑을 제패하는 컴퓨터는 상상하기 어려웠지만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서울시는 시민들의 살 자리와 일 자리를 지키는 원동력이 배움에서 나오고 교육을 통해 길러진 시민력이 서울을 키운다고 보고 있다. 누가 뭐래도 교육이 힘이다. 교육도시 서울,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자.


서울시민대학 네트워크 확대

서울시가 성별, 연령, 문화, 지역에 차별받지 않고 누구나 평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성인 공교육 시대를 연다. 서울시는 2019년까지 총 870억 원을 투자하여 민관협력을 통해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구성, 시민들의 일상 속 교육기회를 늘리고, 시민들의 참여와 실천이 지역 사회에 환원되는 평생학습도시 모델을 만든다. 서울시는 기존 17개소였던 서울시민대학을 531개소의 네트워크형 시민대학인 서울자유시민대학(가칭)으로 확대하고 전역을 그물망처럼 연결하여 서울 어디서나, 시민 누구나 질 높은 교육서비스를 누릴수 있게 할 계획이다.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 될 서울자유시민대학 본부 캠퍼스는 서울복지재단 건물 리모델링 후 2017년부터 본격 운영한다. 도심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 동북권 등 권역별 5개의 분교와 대학·기관단체를 연계하여 525개소의 민간 네트워크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독일 뮌헨시민대학 등 해외 시민대학의 사례를 바탕으로 학점은행제 과정, 비학위 정규과정, 일반교양 과정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일정 기준을 수료한 시민은 서울시장 명의의 인증서를 받는 방식이다.


일상에서 쉽게 학습하는 서울시 평생학습포털 확대

확대일상학습 문화가 확산되도록 1인 1학습동아리 등 일상과 밀접한 교육을 확대한다. 1인 1학습동아리는 배움을 매개로 시민들이 만나는 주민공동체이다.최근 1인 가구 급증 등 가족 형태의 변화에 맞는 다양한 교육 과정도 개발된다. 응급처치, 건강관리, 죽음학, 아름다운 이별학교 등 시민들의 삶 전반을 아우르는 아우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예정이다.이와 더불어,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평생학습포털(sll.seoul.go.kr)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쌍방향 학습 공간으로 개편하여 365일 무료로 들을수 있는 강좌를 올해 516개 온라인 과정과 269개 모바일 과정으로 확대 운영한다.


사회적 삶이 단절되지 않도록 생애 전환기 맞춤학습 지원

시는 중장년층 및 소외계층 성인의 삶에 동기를 부여하고 배움의 결실이 사회적으로 환원 될 수 있도록 생애 전환기 맞춤 학습을 지원할 예정이다.직장인과 퇴직자를 대상으로 전문대 직업교육과정과 연계한 야간주말강좌를 운영하고, 시 산하 기술교육원과 농업기술센터에서도 취업 및 창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이 운영 된다. 아울러, 자치구, 민간기관 등이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시, 민간기관, 자치구, 기업, 교육청 등이 협업해 학습-여가-고용이 이어지도록 만들 계획이다. 


각 교육 기관들의 프로그램 정보를 한눈에 보는 온라인 평생학습지도, 평생교육 관련 콘텐츠를 한번에 제공하는 서울 평생학습 디지털 아카이브 등도 구축된다. 또, 서울시를 거대한 학교로 만들기 위해, 도서관이나 자치회관 등 시민들이 가까운 공공시설을 학습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우리동네 학습장(가칭)을 지정해 2019년까지 1,000개소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위대한 서울은 위대한 시민이 만들고, 위대한 시민은 평생학습이 만든다”며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공부를 시키고자 했던 부모의 마음으로, 어려울수록 평생학습에 더 열을 내는 독일의 지혜처럼 배움에 투자해야한다”고 밝혔다.


문의 평생교육담당관 ☎2133-3964


input image

input image 


직장맘 고충상담 전용콜 이용하세요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는 직장맘 고충상담 전용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출산전후 휴가, 육아휴직을 둘러싼 노동권 전반의 문제 등 직장 내 고충을 겪고 있는 직장맘과 직장대디는 120 다산콜(내선번호 5번)로 상담하면된다. 상담은 전문노무사들이 진행 한다.

상담시간 : 평일 오전 9시 ~ 오후 10시 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이밖에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에서는 직장맘 역량강화 교육사업과 직장부모커뮤니티 지원 사업 등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문의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332-7171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비 지원

태양광 미니발전소는?

- 태양광 모듈을 콘센트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

- 베란다, 옥상 등 작은 공간에 설치하며, 이사시 이전 가능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 혜택

- 설치용량(W)에 따라 설치비 50%(30~60만원) 지원

- 10가구 이상 공동설치 시 추가지원(5~10만원)

- 에코마일리지 절약 인센티브(최대 5만원)

신청 및 세부내용

- 시 또는 서울시 햇빛지도 홈페이지 참조


문의  녹색에너지과☎2133-3565, 자치구 에너지 담당부서직장맘


동주민센터 282개소,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로 변신

동주민센터 202곳이 오는 7월부터 기존의 민원o행정 중심 공간에서 시민의 복지와 건강을 살피고, 공동체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지난해 7월, 80개 주민센터가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로 탈바꿈한데 이은 추가 전환이다.

이를 위해 올 4~6월까지 동주민센터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여 극장, 전시회장, 카페 등 주민이 원하는 공간으로 변신한다.또, 필요할 때는 복지플래너가 찾아가 도움을 준다. 출산가정, 빈곤위기가정, 65세 어르신들을 한분 한분 찾아가 꼭 필요한 맞춤형 복지를 제공한다.

우리동네 주무관도 운영된다. 다양한 마을의 구성원을 연결하여 안전하고 촘촘한 마을복지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이다. 이웃과 함께 마을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주민 중심의 공동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역 별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여 주민과의 ‘소통창구’ 역할을 하게 된다.


문의 자치행정과 ☎2133-5836동주민센터


input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