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sidebar
open sidebar


다가오는 봄,성북동을 함께 걸을까요?


끝나지 않을 것 같던 겨울이 지나고 어느덧 입춘을 지나 봄이 성큼 다가왔다.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혹은 연인과 함께 담소를 나누며 성북동을 걸어봄으로써 조금은 특별한 봄을 맞이해 보는 것은 어떨까?


성북동은 예부터 수많은 작가들이 창작의 고향으로 뿌리를 내렸고, 수도를 지키는북악산과 어울려 경관이 수려했다. 지금도 서울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살아보고픈 동네로 손꼽을 만큼 성북동은 그 기품과 호젓함이 여전하다.


한양도성의 북쪽 마을이라 성북동(城北洞)이라 불리는 이 특별한 동네를 경험하기위한 걷기코스의 시작점은 한성대입구역이다. 개찰구를 빠져나와 아래와 같은 매력적인 볼거리를 구경하고 한양도성길까지 걷는다면 더없이 멋진 봄날의 마무리가 될 것이며, 한나절이 어렵다면 선잠단지-길상사-심우장 코스를 호젓하게 산책하는 것도 탁월한 선택이다.


한성대입구역 → 최순우옛집 → 선잠단지 (※ 북악산 한양도성길은 군사보호지역이라 신분증을 소지해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것이 아름답다

최순우옛집


성북동의 이름 난 전통찻집, 수연산방은 상허 이태준이 1933년부터 14년 동안 살던 집이다. 이태준은 문체가 탁월해 그가 활동할 당시‘상허의 산문, 지용의 운문’이라 할 정도였다고. 100여평이 조금 넘는 규모에 이어진 안채와 사랑채, 아담한꽃밭, 사철나무 등 아늑하고 정겨운 풍경이 많다. 전통차의 그윽한 향기와 함께 격조있는 한옥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어 외국인에게도 인기가 많다.

※ 동절기에는 휴관이니, 사전에 문의가 필요하다.

최순우옛집 ☎ 02-3675-3401



도심 속 청정도량

길상사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최고급 요정이었던대원각이 도심속 청정도량이된 것은 1997년. 연인 백석을 평생 기다리며 살던 대원각의 주인 故김영한 여사가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감명 받아대원각을 스님께 시주했다. 여사의 법명(길상화)을 따길상사가 되었으며 일반인은 물론 외국인도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다.

길상사 ☎ 02-3672-5945




만해 한용운의 마지막 11년

심우장


독립운동가이자 승려, 시인이었던 만해 한용운이 말년을 보낸 곳이다. 3·1 운동으로 옥고 후 성북동 골짜기 셋방살이를 하던 한용운은 지인들의 도움으로 집을짓게 되었는데 그곳이 바로 그가 유일하게 소유했던 집,심우장이다. 「님의 침묵」을 출판해 저항 문학에 앞장섰던 그의 저항 정신은 조선총독부를 등지고 지은 동북향집에서도 잘 볼 수 있다. 방 안에는 그의 친필 원고와 논문집, 유품 등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의(衣)의 풍요를 빌다

선잠단지


선잠단지는 조선 성종 (1457~1494) 때 ‘뽕나 무가 잘 크고 살찐 고치 로 좋은 실을 얻게 해달라’는 기원을 드리기 위해 혜화문 밖에 세운 제단이다. 나라에서는 일반 백성들에게 누에치기를 장려하기 위해 왕비가 손수 뽕잎을 따고 누에에게 뽕잎을 먹이는 행사인 ‘친잠례’를 열기도 했다. 지금은 터만남아 있지만 왕비들의 기원을 아직도 간직한 듯한 역사적인 유적지로서 의미가 있다. 매년 5월 이곳에서 선잠제례가 재현된다.




오랜 명성 그대로

이태준가옥(수연산방)


성북동의 이름 난 전통찻집, 수연산방은 상허 이태준이 1933년부터 14년 동안 살던 집이다. 이태준은 문체가 탁월해 그가 활동할 당시‘상허의 산문, 지용의 운문’이라 할 정도였다고. 100여평이 조금 넘는 규모에 이어진 안채와 사랑채, 아담한꽃밭, 사철나무 등 아늑하고 정겨운 풍경이 많다. 전통차의 그윽한 향기와 함께 격조있는 한옥의 멋을 한껏 느낄 수 있어 외국인에게도 인기가 많다.이태준가옥(수연산방)

☎ 02-764-1736




가벼운 산책이 제격

와룡공원


와룡공원은 삼청공원, 창경공원, 북악산 도시자연공원이 인접해 있는 곳으로 용(龍)이 길게 누워 있는 형상이라 와룡동이라고도 한다. 봄에는 벚꽃, 산수유, 매화, 진달래, 개나리 등이 피어나 가족 단위로 즐기기 좋고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운동, 산책, 휴식을 즐길 수 있다.


             

        


성북여성회관 2016 봄학기 수강생 모집안내


input image

 ※ 그 외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성북문화재단 : www.sbculture.or.kr)
문의 : 성북여성회관 ☎ 02-929-0883, 서울 성북구 성북로 4길 177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녹색장터 개장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 또는 교환하여 자원을 활용하고 순환시키는 아_나_바_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성격의 녹색장터를 개장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사용하지 않는 의류나 용품, 장난감 등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


판매자 접수방법

접수기간 : 2016. 3. 2.~3. 23.

접수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월곡)

접수인원 : 총 30팀

접수방법 : 방 문접수(1층 안내데스크),전화접수(☎ 02-918-8080), 선착순 접수


구매자 이용방법

일시 : 2016. 3. 26.(토) 11:00~15:00

장소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3층 아리알찬홀(서울시 성북구 오패산로 10길 19)

대상 : 이용을 원하는 누구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장난감(부분작동하지 않거나,분실부품을 구할 수는 없지만 놀이 가능한 장난감)은오후 1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문의 : 성북구육아종합지원센터 아이조아(월곡) ☎ 02-918-8080 


2016년도 1학기 문예체멘토링 멘토 모집

성북구 관내의 아동청소년들과 문예체 전공 대학(원)생들을 매칭하여 멘토와 멘티가 함께 성장하는 [문예체멘토링-살짝 활짝 단짝] 프로그램에 참여할 멘토들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본프로그램은 전시와 공연까지 진행하는 문예체 프로그램으로 멘토링의 경험이 없는 대학(원)생들에게는 슈퍼멘토(전문강사)를 연결시켜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니 지역 문화예술에 관심이있는 대학(원)생 멘토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alt

프로그램 운영방식

멘토링 경험이 없는 멘토들은 슈퍼멘토(전문강사)와 함께 프로그램진행, 자체적으로 운영해보고 싶은 멘토링 프로그램이 있는 멘토들은 독립적 진행

프로그램 운영기간 : 2016년 3 월부터 7월까지(주 1회, 총 10~15회

활동장소 : 성북구 내 학교 및 도서관, 아동청소년센터

지원내용 : 교 육봉사활동, 교보재, 슈퍼멘토 컨설팅▒▒모집기간 : 2 016. 2. 5.~2. 27.

프로그램

input image

문의 : 성북문화재단 성북청소년문화공유센터

☎ 070-8644-8122성북구 동소문로26다길 8-2


sb장난감도서관 마주프로그램
‘베이비 마사지&놀이요가’신설 강좌 안내


특강일 : 2 016. 2. 18.(목) 14:00~3. 31.(목) 14:00
(매주 목요일, 7주 과정)
대상 : 2 ~10개월 영아 + 부모 10명
수강료 : 회 차당 아이 1인 2,000원
※ 회원가입 후, 안내데스크에서 선착순 접수 후 이용 가능합니다.
※ 매주 목요일 오후 2시는 강좌로 인해 새싹놀이터 이용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 없으시길 바랍니다.
※ 환불은 하루 전까지 방문으로 가능, 당일은 취소불가
※ 자세한 사항은 장난감도서관으로 문의 바랍니다.

             

2016 성북유소년FC 축구교실 참가자 모집


운영일시 : 2016. 3월~12월주 1회 또는 주 2회(수요반, 금요반)

대상 : 성북구 관내 초등학생 200여명(추가모집)

장소 : 월곡인조잔디축구장

접수기간 : 2016. 2. 11.~3. 1.

접수방법 : 구청 홈페이지 전산접수 또는 전화접수

참가비 : 월 2만5천원(3개월씩 납부 7만5천원)

※ 유니폼비 5만원 별도

주최 : 국 민생활체육 성북구축구연합회


input image

문의 :

성북구축구연합회 ☎ 02-913-5343,

손영수 사무국장 ☎ 010-9145-2221,

정진행 감독 ☎ 010-4707-6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