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sidebar
open sidebar

  

현재 성북구에는 6개의 종합대학교와 14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이는 사대문과 가깝다는 지리적 요건때문일 터이지만 한편으로는 성북구 지역의 높은 교육열의 반영일 것이다. 그리고 이런 높은 교육열의 단초는 성북리(당시 주소)에 세워진 삼산학교(三山學校)에서 찾을 수 있다.


19세기 말 개항으로 시작된 근대화라는 거대한 파도는 대한제국을 덮쳤고, 교육도 그 거대한 변화에 적응해야 했다. 1895년 소학교령, 1899년에는 중학교관제가 대한제국 정부에 의해 제정되었다. 민간에 의한 사립학교 설립도 가속화되었는데, 황현이 지은 「매천야록」에 의하면 1910년 국권을 상실할 때까지 전국에 3,000여개의 학교가 설립되었다고 한다. 성북동 삼산학교의 설립은 이런 사회 분위기에서 이루어졌다.


1908년, 삼산학교가 처음 세워졌을 때의 이름은 삼산의숙(三山義塾)이었다. 성북동은 물론 성북구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의 설립이었다. 당시 성북동에 거주하던 김수영(金洙榮)은 성북동에 제대로 된 근대식 교육기관이 없음을 아쉬워했고, 지역유력자들에게 근대식 학교의 설립을 제안했다. 봉시(奉侍)황수연(黃壽延)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는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학교를 세우는 자금을 제공했음은 물론 자비를 들여 소풍비용을 대고, 공책과 연필 등의 학용품도 제공했다.


일본에게 국권을 빼앗긴 이후에도 삼산의숙은 계속유지되었다. 황수연의 적극적인 노력 때문이었다.그는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 없을 때에도 홀로 학교를 운영하였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학비를 받지 않고 무상교육을 실시했다. 1912년에는 드디어 첫 졸업생도 배출했다.


1916년 사실상 홀로 삼산의숙을 운영하던 황수연이 별세했다. 삼산의숙은 자금난에 부딪치게 된다.지역 주민들이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 돈을 걷어 운영 경비를 대기도 하였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했다. 지역유지, 면장 등이 적극적으로 학교를 지키려 노력하여 간신히 유지될 뿐이었다. 무엇보다 성북동 부호들이 삼산의숙 운영에 관심이 없었다.


1930년부터 삼산의숙은 삼산학교로 불리기 시작한다. 당시 삼산학교는 4년제 사립학교로 정규학교가 아니었다. 1930년 일본 와세다대학을 졸업하고 보성고등보통학교 선생으로 재직하던 하윤실이 교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삼산학교를 6년제 보통학교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이때 당시 그의 부인이었던 김일엽(金一葉, 1896~1971)도 잠시 이 학교의 교편을 잡았다. 하지만 보통학교로 승격되기 위해선 자금력이 필요했고, 결국 승격이 무산되고 말았다.


하지만 공립학교 승격 노력은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결국 1943년 3월 3일 공립국민학교로 바뀌게 된다. 운영의 어려움을 성북동 주민의 끈질긴 노력과 단합으로 이겨낸 결과였다. 무상교육도 계속해서 실시했던 것으로 보인다. 단, 토지 소유가 개인에서 경성부로 바뀐 것을 보면 아마도 국가에 기부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것 같다.


해방 이후인 1946년 2월, 삼산학교는 다시 공립학교로 승격되고, 9월 경성성북공립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바로 우리가 아는 지금의 서울성북초등학교이다. 1908년에 설립되어 이미 100년을 훌쩍 넘긴 이 학교의 역사에는 지역 아동들의 교육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의 치열한 노력이 담겨 있다.

(성북문화원 향토사연구팀)


input image

『대경성부대관(大京城府大觀)』 (조선신문사, 1936) 중 성북정(城北町, 일제강점기 성북동의 이름) 부분. 지도 오른쪽 하단에 ‘삼산소학교(三山小學校)’라는 표기가 보인다. 당시에는 지금의 성북초등학교 자리가 아닌 그보다 더 깊숙히 들어가야 하는 이강공저(李堈公邸, 현 성락원) 초입에 학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input image

서울성북초등학교. 1942년 공립삼산국민학교로 인가되어 제1대 하윤실 교장이 취임하였고 1946년 서울성북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마을 안에서 물놀이! <제2회 성북문화바캉스>


input image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도심 속 문화바캉스, 학교에서 펼쳐지는 여름 물놀이 ‘제2회 성북문화바캉스’가 개최됩니다.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주민들에게 집 근처에서 편하게 즐기는 물놀이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성북문화바캉스’는학교 안에 물놀이장을 만들어 휴가를 떠나지 못하는 주민들이나 아이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바캉스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input image

입장료 : 무료(수영모 또는 모자를 반드시 착용해야 풀장 입장이 가능합니다.)
※ 주차가 불가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성북문화재단 ☎ 070-8644-8322


미디어로 만드는 마을, 성북마을TV 8월 주간편성표


마을이 만드는 방송, 성북마을TV! PC와 스마트폰을 통해 http://sbtv.kr로 접속하시면, 언제 어디서든 주민들이 직접 제작한 다양한 마을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방송시간
- 정규방송 : 평일 10:30~12:00, 18:00~20:00
- 재방송 : 평일 12:00~18:00, 20:00~24:00 / 주말 10:30~24:00
편성표 ( ※토, 일 10:30~24:00은 재방송 시간입니다.)

input image


문의 : 성북마을미디어지원센터 ☎ 02-2241-2223


성북구자원봉사센터 여름방학(8월) 청소년 봉사활동 안내


input image

※ 봉사활동 신청은 1365 자원봉사포털(www.1365.go.kr)에서만 가능합니다.


문의 : 성북구자원봉사센터 ☎ 02-2241-2366


한국문화대학 제5기 수강생 모집


성북구 한국문화대학은 지역주민들의 노후대비 제2의 인생을 준비하도록 돕는 기관입니다.100세 시대, 삶의 시간이 길어진 만큼 ‘얼마나 건강하고 알차게 살아갈 것인가’는 우리 모두의 바람이자 과제가 되었습니다. 성북구 한국문화대학은 이러한 염원을 담아 인생 후반기 삶이 더욱 풍요롭도록 다음과 같이 강의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모집기간 : 2016. 7. 18.~8. 31.

교육장소 : 삼선동주민센터 2층 강의실

교육기간 : 2016. 9. 1.~2017. 2월(1학기 6개월)

등록금 : 9만원(수강료 무료)

접수처 : 성북구청 12층 북카페

강의내용 : 태극기공 건강수련법, 신비로운 마술강좌, 컨디션조절운동, 행복한웃음운동, 즐거운 노래교실, 댄스스포츠 강사자격증반, 전통국악교실, 36시간 수강으로 한문교사자격증 취득, 역사탐방 문화강좌, 경매실전·상속세법·임대차세법


접수 및 문의 : 한국문화대학 ☎ 02-922-3233, 02-927-3233


통쾌한 수다, 유쾌한 마을을 만나다

<마을 in 수다>


input image

성북구립도서관에서 열리는 일상에서 부딪히는 질문에 대해 이웃과 함께 편안하게 공론하고 이해하는 자리인 ‘마을 in수다’가 지난 6월 28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각 주제에 맞는 자문위원과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도서관에 질문을 던지며 고민을 함께 이야기합니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내 안의 물음표, 지나치지 말고 유쾌한 사람들과 통쾌한 수다를 시작해 보세요. ‘마을 in 수다’는 11월까지 구립 도서관, 사립 작은도서관에서 진행됩니다.


8월 마을 in 수다

input image


접수 및 문의 : 도서관기획팀 ☎ 070-8644-8326
홈페이지 : www.sblib.seoul.kr
블로그 : sblib.tistory.com


성북문화원 2016년 가을학기

수강생 모집(9~11월, 12주 과정)


강좌기간 : 2016. 9. 1.(목)~11. 23.(수), 총 12주

접수기간 : 2016. 8. 1.(월)~8. 31.(수),

접수방법 : 인터넷 및 방문접수(성북문화원 2층 사무국)

무료참관기간 : 2 016. 7. 25.(월)~7. 29.(금)(사전접수 필수)

강좌내용

- 성인 강좌 : 경기민요, 선소리산타령, 대금·단소, 장구, 규방공예, 스포츠댄스, 한국무용(초·중급, 심화), NEW생활요가, 사군자, 수묵산수화(A·B), 한글서예, 한문서예(A·B), 동화구연가/시낭송가 양성과정, 문예창작실기, 기초소묘에서 유화까지, 유화로 그리는 인물화, NEW수채화,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 원어민영어회화(NEW기초) 초급, 중급, 고급

- 어린이 강좌 : 어린이 역사교실(초4~초6), 어린이 한자교실(초1~초4), 원어민 영어회화(기초, 초급, 중급), 유아발레(Level 1, Level 2), 어린이 미술체험(A·B)

-  NEW야간강좌 : NEW원어민 중국어회화(초급), NEW한국사능력검정시험, NEW생활요가

※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주세요.


문의 : 성북문화원 ☎ 02-765-1611
홈페이지: http://www.isbcc.or.kr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클래식 프로그램 <수박Su-Vac프로젝트>


input image


문의 : 꿈의숲아트센터 ☎ 02-2289-5411